$\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청각 장애인 등 방송소외계층의 미디어 접근성 제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dia access improvement policy of broadcast marginalized groups including visually impaired, hearing impaired, elderly hearing los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방송학회
연구책임자 송종길
참여연구자 박태순 , 오경수 , 정세일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0-12
과제시작연도 2010
주관부처 지식경제부
사업 관리 기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등록번호 TRKO201100005917
과제고유번호 1415109517
사업명 방송통신정책연구(R&D)
DB 구축일자 2015-01-08

초록

연구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청각 장애인 및 난청 노인들에 대한 수신기 보급사업의 실태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수신기 보급사업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둘째, 디지털미디어 환경에서 자막방송 및 화면해설 방송을 위한 기술정책과 통합적 운영방향을 파악하기 위해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실시한다. 학계, 방송기술 전문가, 시청각 장애인 단체 등 20여명의 전문가에 대한 면접조사가 이루어졌다. 셋째,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의 경우 디지털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시청각장애인 등 소외계층을 위한 방송 수신환경 개선

Abstract

The scop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alyzing the actual broadcast receiving conditions of visually impaired, hearing impaired, elderly hearing loss. Second, analyzing the condition of broadcast receiving environment by in-depth interviews. Third, examining the policy practices direction

목차 Contents

  • 표지 ...1
  • 제출문 ...3
  • 목차 ...5
  • 표목차 ...10
  • 그림목차 ...15
  • Contents ...17
  • 요약문 ...21
  • SUMMARY ...31
  • 제1장 서 론 ...35
  • 제1절 연구목적 ...35
  •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39
  • 제2장 방송소외계층의 미디어 접근성 제고 필요성과 정책 현황 ...40
  • 제1절 디지털 시대 방송소외계층으로서의 시청각 장애인과 난청노인 ...40
  • 1. 디지털 시대 방송소외계층의 개념 ...40
  • 2. 시청각 장애인과 난청노인의 범위와 구조 ...45
  • 가. 시청각장애인 ...45
  • 나. 난청노인 ...52
  • 제2절 시청각 장애인과 난청노인의 방송 접근성 ...55
  • 1. 미디어 접근성의 의미와 중요성 ...55
  • 2. 방송 접근성 제고를 위한 수신기 보급사업의 기준 ...59
  • 3. 보급 실적 및 향후 계획 ...62
  • 제3장 소외계층 방송수신기 지원 실태 조사 및 개선방안 도출 ...63
  • 제1절 조사개요 ...63
  • 1. 조사목적 ...63
  • 2. 조사대상 및 기간 ...63
  • 3. 조사의 내용 ...64
  • 제2절 조사결과 ...65
  • 1. 청각장애인용 조사결과 ...65
  • 가. 청각장애인용 수신기 신청 및 보급 기준의 적절성 ...66
  • 나. 청각장애인용 수신기 보급 대상 선정과 홍보 및 수령 과정의 효율성 ...75
  • 다. 청각장애인용 수신기 보급사업의 방송소외상황 개선에 대한 기여도 ...80
  • 라. 청각장애인용 수신기에 대한 개선 및 요구 사항 ...93
  • 마. 소결 및 시사점 ...97
  • 2. 시각장애인 조사결과 ...100
  • 가. 시각장애인용 수신기 신청 및 보급 기준의 적절성 ...101
  • 나. 수신기 보급 대상 선정과 홍보 및 수령 과정의 효율성 ...109
  • 다. 수신기 보급사업의 방송소외 상황 개선에 대한 기여도 ...115
  • 라. 수신기에 대한 개선 및 요구 사항 ...126
  • 마. 소결 및 시사점 ...130
  • 3. 난청노인 조사결과 ...133
  • 가. 수신기 신청 및 보급 기준의 적절성 ...134
  • 나. 수신기 보급 대상 선정과 홍보 및 수령 과정의 효율성 ...140
  • 다. 수신기 보급사업의 방송소외 상황 개선에 대한 기여도 ...145
  • 라. 수신기에 대한 개선 및 요구 사항 ...156
  • 마. 소결 및 시사점 ...160
  • 제4장 방송수신 기술현황 및 개선방안 ...164
  • 제1절 장애인 방송기술 개관 ...164
  • 1. 자막방송 ...164
  • 2. 화면해설방송 ...169
  • 3. 수화방송 ...173
  • 제2절 장애인방송 수신환경 개선 심층면접 조사결과 ...174
  • 1. 조사개요 ...174
  • 가. 조사대상 ...174
  • 나. 조사내용 ...174
  • 2. 조사결과 ...175
  • 가. 제작단계 기술적.정책적 현황과 문제점 ...175
  • 나. 전송단계 기술적.정책적 현황과 문제점 ...180
  • 다. 수신단계 기술적.정책적 현황과 문제점 ...187
  • 제3절 장애인방송 기술.정책 개선방안 ...188
  • 1. 제작단계 ...189
  • 2. 전송단계 ...190
  • 3. 수신단계 ...191
  • 제4절 소결 및 시사점 ...192
  • 제5장 방송소외계층 디지털 미디어 수신환경 구축방안 해외사례 ...194
  • 제1절 영국 ...194
  • 1. 시청각 장애인 및 난청 노인 등 방송 소외계층의 방송 수신 환경 ...196
  • 2. 장애인의 방송 서비스 현황 ...197
  • 가. 자막방송 서비스(subtitling service) ...198
  • 나. 음성해설 방송 서비스(audio description service) ...199
  • 다. 수화통역 방송 서비스(sign language service) ...202
  • 라. 방송사 별 장애인 방송 지원 현황 ...203
  • 마. 장애인 방송 수신기 ...204
  • 3. 장애인 방송접근권 지원 ...205
  • 가. Communication Act 2003의 <텔레비전 접근 서비스(Television Access Service)> ...205
  • 나. 장애인 차별법 (DDA;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207
  • 4. 장애인 방송접근권 제고정책 방향 ...208
  • 제2절 미국 ...209
  • 1. 시청각 장애인 및 난청 노인 등 방송 소외계층의 방송 수신 환경 ...209
  • 2. 장애인 방송서비스 제공현황 ...210
  • 가. 자막방송 ...210
  • 나. 화면해설방송 ...211
  • 3. 장애인 방송 송출 현황 ...212
  • 가. 방송 프로그램의 폐쇄자막 (Closed Captioning of Video Programming) ...212
  • 나. 화면해설 서비스의 제작 ...215
  • 4. 장애인 방송 수신 현황 ...216
  • 가. Closed Caption (폐쇄자막) ...217
  • 나. 화면해설(Video Description) ...218
  • 5. 방송 수신환경 개선을 위한 정부 지원 ...218
  • 6. 장애인 방송접근권 개선정책 방향 ...220
  • 가. 장애인들의 통신 미디어 기술지원 ...221
  • 나. 디지털 미디어의 장애인 방송 송출 정책 ...224
  • 제3절 일본 ...227
  • 1. 시청각 장애인 및 노인 등 방송 소외계층의 방송 수신 환경 ...227
  • 가. 장애인 방송 현황 ...227
  • 나. 장애인방송 수신 현황 ...235
  • 다. 디지털방송을 위한 정부 지원 ...238
  • 라. 고령자 및 장애자용 인터페이스 과제 ...246
  • 2. 장애인 방송 수신기 기술 환경 ...248
  • 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 ...248
  • 나. 모바일 폰으로 자막강의 수신 기술 ...250
  • 다. 디지털방송시스템 표준 모델안 ...251
  • 라. 지상파디지털방송 자막 프로그램 제작 ...252
  • 제4절 프랑스 ...254
  • 1. 장애인 방송 현황 ...254
  • 가.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 ...255
  • 나. 디지털 지상파 방송 ...256
  • 2. 수신 지원 상황 ...259
  • 가. 프랑스 장애인 현황과 지원 체제 ...259
  • 나. 디지털 전환에 따른 텔레비전 접근성을 위한 지원 방향 ...262
  • 3. 장애인방송 수신지원을 위한 기술적 운영 체계 ...264
  • 가. 자막 방송의 수신 체계 ...264
  • 나. 화면해설 방송의 기술체계 ...267
  • 다. 멀티미디어 접근 지원 기술 ...270
  • 제6장 결론 : 통합적 수신환경 개선정책 방향 ...274
  • 제1절 해외사례 시사점 ...274
  • 1. 영국 ...274
  • 2. 미국 ...275
  • 3. 일본 ...277
  • 4. 프랑스 ...279
  • 제2절 수신기 지원정책 개선 방향 ...282
  • 1. 수신기 보급기준 개선 ...282
  • 2. 수신기 신청 및 수령 방법 개선 방향 ...284
  • 3. 수신기 수령자 선정의 공정성 개선 방향 ...285
  • 4. 수신기 활용 및 교체 관련 정책 방향 ...286
  • 5. 방송수신기 보급사업 홍보활동 강화 방향 ...286
  • 가. 문제점 규정 및 향후 목표 설정 ...286
  • 나. 핵심 메시지 선정 ...287
  • 다. 주요 홍보 전략 ...287
  • 제3절 방송소외계층의 통합적 방송접근권 제고방향 ...294
  • 1. 제작단계 ...294
  • 2. 전송단계 ...295
  • 3. 수신단계 ...295
  • 참고문헌 ...297

표/그림 (31)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