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과제명 | 고춧가루의 제조공정별 위해요소분석, CCP 결정 및 한계기준 등 개발 |
---|---|
주관연구기관 | (사)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
연구책임자 | 양주홍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0-11 |
과제시작년도 | 2010 |
주관부처 | 식품의약품안전청 |
사업 관리 기관 |
식품의약품안전청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
등록번호 | TRKO201100007571 |
과제고유번호 | 1475005593 |
DB 구축일자 | 2013-04-18 |
키워드 | 위해요소분석,제조공정,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고춧가루HACCP,hazard analysis,CCP,powered red pepper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춧가루 식품을 대상으로 주요 원료 및 제조공정별 위해요소 도출 및 위해요소분석을 실시하여 HACCP 적용을 위한 과학적 근거자료를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요관리점/한계기준과 교육자료를 개발하는데 있다.
고춧...
본 연구의 목적은 고춧가루 식품을 대상으로 주요 원료 및 제조공정별 위해요소 도출 및 위해요소분석을 실시하여 HACCP 적용을 위한 과학적 근거자료를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요관리점/한계기준과 교육자료를 개발하는데 있다.
고춧가루의 위해요소 분석을 위하여 원료 및 제조공정별 위해요소, HACCP 모델, 제조공정 등의 자료를 조사하였고, 고춧가루 60개 제조업체를 선정, 현장조사를 통해 제조공정 등을 수집하여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고춧가루 제조ㆍ가공업체에서는 건조, 금속제거, 자외선살균 및 금속검출을 CCP로 관리하고 있었으며 제조공정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일반 제조공정도를 작성하고 제조공정을 코드화 하였다. 60개 업체에 대하여 원료 및 제조공정의 위해요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원재료 및 제조공정별 290건, 제조설비 표면오염도 및 주변환경 142건 등의 생물학적 위해요소를 분석하였고, 화학적 위해요소와 물리적 위해요소 평가는 위해요소 분석 자료와 국내 모니터링자료 및 업체 시험자료를 수집하여 평가하였다. 위해요소 분석방법에 따라 위해평가를 수행하여 고춧가루 원료 및 제조공정에서의 위해요소를 결정한 후 심각성과 발생가능성을 평가하여 위해요소 분석표를 작성하였다. 위해요소 분석결과 분쇄공정 이후 고춧가루의 일반세균 및 진균수가 증가하였다. 고춧가루 제조 공정과 미생물의 증감 현상을 비교해보면 원료에서 유래된 일반세균 및 진균이 에어브러쉬 세척 공정에서 제거되지 못하고 분쇄 공정으로 유입되는 단계, 분쇄 공정에서 분쇄기 내부로부터의 재오염, 자외선 살균의 효과 검증 미흡 등이 현재 운영되고 있는 HACCP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위해요소 분석결과 물리적 위해요소인 금속이물이 관리 가능한 금속제거공정과 금속검출 공정을 중요관리점으로 설정하였다. 제조업체별 중요관리점 관리방안, 국내문헌 자료조사를 근거로 제조공정 방법을 한계기준으로 수립하고 이를 모니터링하고 개선조치 방법을 수립하여 HACCP Plan을 작성하였다. 고춧가루 위해요소 분석결과와 조사자료 및 작성된 HACCP Plan을 반영하여 고춧가루 HACCP 교육교재를 개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scientific resources and activate HACCP application of powdered red pepper, to set critical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scientific resources and activate HACCP application of powdered red pepper, to set critical control point/critical limit by conduct of hazard factors and hazard analysi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o develop the edution materials.
To conduct of hazard factors of powdered red pepper, had investigated domestic and foreign references about manufacturing processes, raw materials, hazard factors of processes and HACCP model. To find the domestic hazardous factors and outbreak possibility, the diagrams of manufacturing processes and methods of 60 powdered red pepper manufacturers had been investigated in the fields, and other research papers and related literatures also had been surveyed. The current CCPs were dry, metal removal and metal detection in powered red pepper. All manufacturing processes were assigned with specific codes. Sample preparation and analysis: Raw materials of 290 manufacturing processes, surface contamination level and aerial microbe of 142 manufacturing equipments work areas had been tested to find biological hazard factors, hazard analyzed from 60 powered red pepper manufacturers. The chemical and physical hazards were evaluated based on examination certificate, self test result and domestic references. The hazard in raw material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of powered red pepper were determined and the hazard analysis chart were prepared. As a results, aerobic plate counts(APC), coliforms were increased after crushing process. Aerobic plate counts and coliforms from raw materials were not decreased by air/brush washing process. The metal removal and metal detection process were determined as CCPs. The CCP and critical limits for powered red pepper were provide by evalua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literatures and then the HACCP plan was prepared. The education and training manual including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hazard analysis and HACCP plan was provided for powered red pepper products.
참여 연구원 |
---|
고춧가루의 제조공정별 위해요소분석, CCP 결정 및 한계기준 등 개발 주관연구기관 : (사)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책임연구자 : 양주홍 발행년월 : 2010-11
닫기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고춧가루의 제조공정별 위해요소분석, CCP 결정 및 한계기준 등 개발 |
---|---|
연구책임자(Manager) : | 양주홍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2010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위해요소분석, 제조공정, 식품,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사)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
연구목표(Goal) : | 본연구는 집중과리 국민다소비식품인 고춧가루를 대상으로 현장조사와 원/부자재 및 제조공정별 위해요소분석을 통해 위해평가 및 중요관리점/한계기준을설정하여 HACCP 계획수립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자료를 마련하고 고춧가루 HACCP 일반모델과 교육자료를 개발하여 HACCP적용업소의실용적인정보를제공하고HACCP교육에활용하고자한다. |
연구내용(Abstract) : | 1. 기초조사 및 업소 현황 분석 - 고춧가루의 안전성 관련 선행연구결과 수집 및 분석 - 고춧가루 제조업소 60개소 이상 선정 - 선정업소 대상 제조업소 일반현황, 제조현황 및 관리현황 등 기본자료 조사2. 위해요소 분석 - 원/부자재 및 제조 공정자료 수집, 코드화 - 원/부자재 및 제조공정별 위해요소/발생요인 도출 - 고춧가루 원/부자재, 공정별 반제... |
기대효과(Effect) : | ○ 원/부자재 및 제조공정별 위해요소 분석자료의 과학적 근거자료 활용○ 고춧가루의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는 CCP 및 한계기준 설정○ HACCP 적용 업소의 시간적, 경제적 비용절감○ HACCP 지정, 정기조사 평가업무 객관성, 신뢰성 제고○ HACCP 교윤훈련기관의 교육과정 반영○ HACCP 지도관신규교육 및 보수교육자료 활용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