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착용형(Wearable) 유헬스 디바이스 평가 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valuation method for wearable U-health device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유선국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0-11
과제시작연도 2010
주관부처 식품의약품안전청
사업 관리 기관 식품의약품안전청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등록번호 TRKO201100007777
과제고유번호 1475005911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디바이스,가이드라인,착용형,유헬스U-health,Device,Guideline,Wearable

초록

최근 인구의 고령화가 사회문제로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선진국의 경우에는 2025년이 되면 60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4분의 1을 넘을 것으로 전망되고, 우리나라도 2000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7%를 넘어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며, 2007년에는 전체 인구의 약 10%인 480만 명이 65세 이상 노인이 되었고, 이러한 노인인구 비율은 계속 증가하여 2018년 14%를 넘어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6년에는 20%를 넘어 5명중 1명이 노인인 초고령 사회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Recently, the social problems of population aging is emerging as a significant and in the case of developed countries by 2025 when the population is aged 60 and over one quarter of the total population is expected to exceed, in 2000, the nation's elderly population is already over 65 years over 7% o

목차 Contents

  • 용역연구개발과제 최종보고서...1
  • 표지...2
  • 제출문...4
  • 목차...5
  • I. 총괄연구개발과제 요약문...7
  • 1. 국문요약문...7
  • 2. 영문요약문...9
  • II.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11
  • 제1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적 및 필요성...11
  • 제2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25
  • 제3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결과 및 고찰...33
  • 제4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109
  • 제5장 총괄주요연구 변경사항...112
  • 제6장 총괄참고문헌...112
  • 제7장 총괄첨부서류...115
  • [별첨 - 2] 학술발표 (Firts AMA-IEEE Medical Technology Conference on Individualized Healthcare) Representation of real time bio-signal with emergency observation report for inter-operable telemedicine system...116
  • [별첨 - 3] 학술발표 (4th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Rehabilitation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Test of Portable Healthcare Device for Electromagnetic wave effect...118
  • [별첨 - 4] 학술발표 (재활복지공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착용형 유헬스 디바이스의 전자파 흡수율에 대한 영향 연구(A Study on Effect of the SAR for Wearable U-health Device)...123
  • [별첨 - 5] 정책활용 TC215 WG7(국내위원회) 위원으로 유헬스 표준특허 및 서비스 활성화 방안 세미나(좌장)...126
  • [별첨 - 6] 워크샵 의료기기상호운용성, U-healthcare 전자파 평가를 위한 가이드, Integrating the Healthcare Enterprise...128
  • [별첨 - 7] 대국민 교육 Health IT 표준기술 워크샵 (대한전자공학회)-표준기반 유헬스 게이트웨이...129
  • [별첨 - 8] 교육 2010 유헬스케어 의료기기 관련 제품 개발 책임자 과정-유헬스케어 게이트웨이의 요구사항...140
  • [별첨 - 9] 착용형 유헬스 디바이스의 안전성 시험결과 및 시험 성적서...151
  • [별첨 - 10] 착용형 유헬스 디바이스의 섬유적 특성/기능 시험 성적서(전도성섬유 / 일반섬유)...196
  • [별첨 - 11] 착용형(Wearable) 유헬스 의료기기 관련 가이드라인...203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