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대비 선박배출 온실가스 통계구축 및 저감기술개발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인천대학교
University Of Incheon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1-10
과제시작연도 2010
주관부처 국토교통부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등록번호 TRKO201200000778
과제고유번호 1615001954
사업명 해양환경기술개발(기후변화)
DB 구축일자 2013-05-20
키워드 선박.온실가스.통계시스템.배출계수.배출량.VESSEL.GHG.Statistic system.emission factor.emissions.

초록

∙ 국내의 경우 선박부문 온실가스 배출 통계 및 기초 자료의 부족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국가 고유의 독자적 기술부재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임.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특성에 맞는 선박온실가스 산정방법 및 배출량을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한 통계시스템을 개발함에 있음.
∙ 국내 일반선박과 어선의 비율을 살펴보면 어선96%, 일반선박 4%으로 선박수는 어선이 많으나 배출량을 보면 일반선박이 93%, 어선이 7%를 차지하고 있음.
∙ 일반선박의 배출량을 살펴보면 Tier1 약 2,900만톤, T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4
  • 제목차례 ... 7
  • 표차례 ... 11
  • 그림차례 ... 15
  • 보고서요약서 ... 20
  • 요약문 ... 21
  • 제1장 서론 ... 28
  • 1.1 연구개발의 목적 ... 28
  •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 31
  • 1.2.1 기술적 측면 ... 31
  • 1.2.2 경제.산업적 측면 ... 32
  • 1.2.3 사회.문화적 측면 ... 34
  • 1.3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36
  • 제2장 온실가스 인벤토리 가이드 연구 ... 37
  • 2.1 온실가스 배출목록(Emission Inventory) 구축 ... 37
  • 2.2 온실가스 인벤토리 가이드라인 검토 ... 40
  • 2.2.1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 40
  • 2.2.2 CORINAIR Guidebook 2009 ... 47
  • 2.2.3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편람(국립환경과학원, 2007) ... 61
  • 2.2.4 해상운송 업종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Good Practice 가이드라인 ... 63
  • 제 3장 선박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연구 ... 65
  • 3.1 국내 선박 배출목록(Emission Inventory) 작성 및 구축 ... 65
  • 3.1.1 일반선박의 구분 ... 65
  • 3.1.2 어선의 구분 ... 67
  • 3.2 선박배출 온실가스 배출계수 측정/분석 ... 69
  • 3.2.1 배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69
  • 3.2.2 배출계수 측정 및 분석 ... 71
  • 3.2.3 고찰 ... 88
  • 3.3 일반선박 및 어선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론 ... 89
  • 3.3.1 선박 배출량 산정 자료 ... 89
  • 3.3.2 연료 소비량 통계를 이용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 ... 89
  • 3.3.3 활동도 자료를 이용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 ... 91
  • 3.3.4 어선 온실가스 배출 산정에 대한 고찰 ... 99
  • 제 4장 국내 선박 분석 및 2차년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결과 ... 100
  • 4.1 현황조사 ... 100
  • 4.1.1 일반선박 등록현황 ... 100
  • 4.1.2 어선의 등록현황 ... 103
  • 4.2 선박의 제원 분석 ... 112
  • 4.2.1 일반선박의 제원 분석 ... 112
  • 4.2.2 일반선박 보조엔진 제원 분석 ... 113
  • 4.2.3 어선 제원 분석 ... 115
  • 4.3 국내 선박 활동도 현황 ... 120
  • 4.3.1 일반선박 활동도 조사 및 분석 ... 120
  • 4.3.2 어선 활동도 현황 및 분석 ... 126
  • 4.4 선박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 140
  • 4.4.1 연료소비량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 140
  • 4.4.2 선박 활동도 자료에 의한 선박 온실가스 배출량(Tier3) ... 150
  • 4.4.3 방법론에 따른 배출량 비교 분석(Tier 1 VS Tier3) ... 158
  • 제5장 선박온실가스 배출량 통계시스템 개발 ... 161
  • 5.1 선박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시스템 산출 로직 ... 161
  • 5.1.1 선박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시스템 산정 개요 ... 161
  • 5.1.2 선박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 ... 162
  • 5.2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시스템의 입력 및 출력 자료 구조 ... 167
  • 5.3 Tier3 B/U 방식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 로직도 ... 169
  • 5.3.1 일반선박 Tier3 B/U 방식의 산출 로직 ... 169
  • 5.3.2 일반선박 Tier3 B/U 방식의 산출 로직에 따른 제원 및 활동도 자료 ... 170
  • 5.3.3 어선 Tier3 B/U 방식의 산출 로직에 따른 제원 및 활동도 자료 ... 175
  • 5.4 주요 자료로부터의 주요 구성인자별 출력결과의 도출 ... 178
  • 5.4.1 석유수급통계연보의 주요 구성인자별 출력결과 도출(일반선박_Tier1 T/D) ... 178
  • 5.4.2 활동도 자료를 고려한 주요 구성인자별 출력결과 도출(일반선박과 어선_Tier3 B/U 및 Tier1 B/U) ... 180
  • 5.5 PORT-MIS의 선박입출항신고 현황 자료 ... 182
  • 5.5.1 PORT-MIS 자료 주요 지방항만청의 선박입출항신고 현황 ... 182
  • 5.5.2 PORT-MIS의 선박입출항신고 자료의 데이터분석 과정 ... 185
  • 5.5.3 각 선종별/기관별/운항모드별 운항자료의 활용 ... 189
  • 5.6 선박 DB 구축 관련 각종 분류체계 보완 및 코드부여 등 ... 190
  • 5.6.1 선종별/세부선종별 코드 ... 190
  • 5.6.2 국적코드 ... 192
  • 5.6.3 지역관련 코드-법인 소재지 지역, 선박등록지 항구 코드, 선적항 등 ... 192
  • 5.6.4 선박에 주로 사용되는 연료종류 구분과 관련 계수 등 ... 196
  • 5.7 선박 제원정보 등 업데이트의 한계극복 및 효율적인 보완 ... 198
  • 5.7.1 선박등록기관 KR, KST로부터 기확보된 자료 이외의 보완 ... 198
  • 5.7.2 선박 DB 업데이트 위한 유관사이트 활용 작업 및 애로사항 등 ... 198
  • 5.7.3 기존 확보반영된 선박제원/활동도 자료DB 관련 사항 및 보완 ... 199
  • 5.7.4 기존 일반선박 DB자료로부터 선박제원 등의 보완사례 및 검토의견 ... 200
  • 5.8 통계프로그램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결과 비교 ... 201
  • 5.8.1 Tier1과 Tier3방법에 따른 결과 비교(일반선박) ... 201
  • 5.8.2 Tier1과 Tier3방법에 따른 결과 비교(어선) ... 203
  • 5.9 통계시스템에 따른 주요 인자별 배출특성 결과분석 ... 205
  • 5.9.1 석유수급통계연보 자료에 따른 결과분석 ... 205
  • 5.9.2 수협의 면세유 자료에 따른 결과분석(어선) ... 220
  • 5.9.3 활동도 자료를 고려한 결과분석(일반선박과 어선의 Tier3 B/U) ... 227
  • 5.10 개발된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한 선박제원 및 활동도 자료 등 활용 ... 250
  • 5.11 통계프로그램의 주요 기능 및 특징 ... 251
  • 5.11.1 통계프로그램의 주요 기능의 설계 상세내용 ... 251
  • 5.11.2 프로그램 기능의 특징적인 예시 화면 ... 253
  • 5.12 국내의 온실가스 배출량 관련 시스템의 개발사례 ... 255
  • 5.12.1 국내의 주요 시스템 개발사례 ... 255
  • 제 6장 국제동향분석 ... 262
  • 6.1 국제 해운부문 온실가스 정세 현황 및 전망 ... 262
  • 6.1.1 국제 선박 온실가스 배출 현황 ... 262
  • 6.1.2 국제 선박 온실가스 관리 기구(IMO) 및 역할 ... 263
  • 6.2 항만 부문 온실가스 국제 논의 ... 265
  • 6.2.1 각 차수별 IMO MEPC 회의 주요 논의사항 ... 266
  • 6.3 주요 항만국 온실가스 현황 및 대응방안 ... 284
  • 6.3.1 미국 - 캘리포니아 ... 284
  • 6.3.2 유럽연합 ... 288
  • 6.3.3 일본 ... 290
  • 6.3.4 중국과 대만 ... 291
  • 제 7장 연구의 활용방안 및 연구성과 ... 292
  • 7.1 활용방안 ... 292
  • 7.2 연구성과 ... 293
  • 제 8장 결론 및 제언 ... 295
  • 8.1 선박 분류 및 제원 분석 ... 296
  • 8.1.1 일반선박 분류 및 제원분석 ... 296
  • 8.1.2 어선분류 및 제원분석 ... 298
  • 8.2 선박의 활동도 분석/개발 ... 301
  • 8.2.1 일반선박 활동도 분석 ... 301
  • 8.2.1 어선의 활동도 분석 ... 303
  • 8.3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계수 측정/분석(예비산정) ... 306
  • 8.4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 309
  • 8.4.1 일반선박의 온실가스 배출량 ... 310
  • 8.4.2 어선의 온실가스 배출량 ... 313
  • 8.5 통계시스템 ... 316
  • 8.6 국제동향분석 ... 321
  • 제 9장 참고 문헌 ... 324
  • 부록(기본용어설명 및 시스템 메뉴얼) ... 328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