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수자원 관리기반 시스템 구축 연구기획
Research Plan to Build the Water Resources Management Basis System of Jeju-do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제주대학교
Cheju National University
연구책임자 김남형
참여연구자 양성기 , 정우열 , 한웅규 , 이준호 , 김재훈 , 김경미 , 고은주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0-11
과제시작연도 2010
주관부처 국토교통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Korea Insitute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등록번호 TRKO201200009417
과제고유번호 1615001687
DB 구축일자 2013-05-20

초록

• 제주도 물순환 해석 및 수자원 관리 기반구축 과제 공모를 위한 연구목표 및 연구 내용, 추진전략 수립
-국내외 기술환경 동향 및 시장분석
-제주도 물순환 해석 및 수자원 관리 기반구축을 위한 정량적 목표 설정
-모델 개발과 실증적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 작성
-선행연구과제 분석 및 신규 수요 도출
• 제주도 물순환 해석 및 수자원 관리 기반구축의 비전 및 추진전략 제시
• 세부과제 RFP 및 연구 예산 산출
- 기획위원회에서 결정한 세부 과제의 RFP 및 예산안 작성
-

Abstract

• Establishment of research purpose, research contents, and promotion strategies to invite public participation in interpretation of Jeju-do water circulation and determining the tasks of establishing water resources management basis
- Analysis on the trends of technological environment and the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요약문 ... 3
  • Summary ... 6
  • 차례 ... 10
  • 표 차례 ... 13
  • 그림 차례 ... 15
  • 제 1 장 연구의 개요 ... 17
  • 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 17
  • 2절 연구 목표 및 내용 ... 22
  • 1. 연구 목표 ... 22
  • 2. 연구 내용 ... 22
  • 3절 연구 추진 절차 ... 24
  • 1. 기획연구 추진 Framework ... 24
  • 2. 기획연구 추진 체계 ... 25
  • 제 2 장 환경분석 ... 27
  • 1절 선진사례분석 ... 27
  • 1. 미국 ... 27
  • 2. 일본 ... 31
  • 3. EU ... 33
  • 4. 한국 ... 41
  • 2절 기술동향분석 ... 46
  • 1. AHPs (Advanced Hydrologic Prediction Service) ... 46
  • 2. 분포형 홍수유출 모의 ... 46
  • 3. 지표수-지하수 연계 해석 ... 47
  • 4. MODFLOW ... 48
  • 5. GIS ... 49
  • 6. 침수예측 및 지도화 기술 ... 50
  • 7. 지침 ... 51
  • 3절 정책동향분석 ... 52
  • 1. 수자원 관리동향 ... 52
  • 2. 물산업동향 ... 60
  • 3. 제주도 지하수관리 현황 ... 66
  • 4절 SWOT 분석 ... 68
  • 5절 시사점 종합 ... 70
  • 제 3 장 현황 분석 ... 71
  • 1절 선행연구과제 분석 ... 71
  • 1. 국내외 연구과제 분석 ... 71
  • 2. 제주도내 연구과제 분석 ... 76
  • 2절 과제 유사성 및 타당성 검토 ... 80
  • 1. 과제의 유사성 검토 ... 80
  • 2. 적합성과 타당성 ... 83
  • 3절 신규 수요 도출 ... 84
  • 1. 기획회의 및 전문가 자문 ... 84
  • 2. 자문회의 결과 ... 86
  • 제 4 장 비전 및 추진전략 ... 88
  • 제 5 장 세부과제 구성 ... 90
  • 1절 세부과제 내용 도출 ... 90
  • 2절 세부과제 상호연계 분석 ... 92
  • 3절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 93
  • 제 6 장 세부과제 도출 ... 94
  • 1절 세부과제별 연구달성 목표 설정 ... 94
  • 2절 세부과제 도출 ... 95
  • 제 7 장 세부과제 실행계획 수립 ... 97
  • 1절 통합과제 기술로드맵 ... 97
  • 2절 연차별 목표 및 연구내용 설정 ... 98
  • 1. 1세부과제 : 제주도 하천유출 해석기술과 수자원 정보화 시스템 구축 ... 98
  • 2. 2세부과제 : 제주형 지표수-지하수 통합 수문해석 기술 개발 및 적용 ... 99
  • 3. 3세부과제 : 제주형 용수관리시스템 개발 ... 100
  • 3절 연차별 성과물 및 성과지표 설정 ... 101
  • 1. 연차별 성과물 ... 101
  • 2. 성과지표 설정 ... 102
  • 4절 세부과제별 실용화 방안 수립 ... 105
  • 5절 세부과제별 예산투입계획 수립 ... 106
  • 1. 연차별 세부과제별 예산 ... 106
  • 2. 예산 산출 근거 ... 106
  • 6절 연구단과제 및 세부과제별 RFP 도출 ... 108
  • 제 8 장 과제 적정성 검토 ... 114
  • 1절 기술적, 경제적, 정책적 타당성 검토 ... 114
  • 1. 기술적 타당성 ... 114
  • 2. 경제적 타당성 ... 114
  • 3. 정책적 타당성 ... 114
  • 2절 예산적정성 검토 ... 115
  • 1. 국내외 물산업 시장 현황 ... 115
  • 2. 정량적 기대효과 및 과제추진 타당성 분석 ... 116
  • 제 9 장 참고문헌 ... 118
  • [부록 1] 기획위원회 회의록 ... 121

표/그림 (65)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