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inventory 작성 및 배출계수 개발(Ⅱ)
Development of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EmissionFactors(Ⅱ)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연구책임자 홍지형
참여연구자 정동일 , 김종춘 , 김정수 , 류정호 , 유영숙 , 김대곤 , 이수빈 , 엄윤성 , 송형도 , 이성호 , 김대욱 , 손용기 , 최경식 , 정인권 , 정동희 , 최은화 , 이재광
보고서유형연차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7-01
과제시작연도 2006
주관부처 환경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환경기술진흥원
등록번호 TRKO201200011496
과제고유번호 1480001096
사업명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1.1연구의 필요성 및 최종목표
지구 온난화를 유발하는 대기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국제적인 대응책으로 1992년 브라질 리우에서 개최된 UN 환경개발회의에서 기후변화협약을 체결하게 되었고,특히 지난 1997년 12월 일본의 교토에서 개최된 기후변화협약 제3차 당사국총회를 통하여 교토의정서가 채택됨으로서 더욱 활발한 양상을 띠고 있다.교토의정서에서는 지구온난화 원인 물질 중 규제 대상 가스로서 6개 물질(CO2,CH4,N2O,HFCs,PFCs,SF6)을 설정하였으며,흡수원에 대한 인정과 국가간 배출권 거래를 인정하도록 합의하였고,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제 목 차 례 ... 4
  • 표 차 례 ... 8
  • 그 림 차 례 ... 13
  • 진 도 연 차 보 고 서 ... 17
  • 가.연구의 진척도 ... 18
  • 1. 주관기관 :국립환경과학원 ... 18
  • 2. 위탁연구기관 :서울대(조경덕) ... 19
  • 3. 위탁연구기관 :이화여대(강호정) ... 19
  • 4. 위탁연구기관 :서울대(이승묵) ... 20
  • 나. 연구수행내용 및 결과 ... 21
  • 1. 서론 ... 2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최종목표 ... 21
  • 1.2 연구체계 및 과제추진 사항 ... 24
  • 2. 당해년도 연구 목표 및 계획대비 추진 실적 ... 26
  • 2.1 환경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Inventory작성 및 배출계수 개발(CO2배출원 및 수송부문) ... 26
  • 2.2 사업장의 온실가스 실측을 통한 배출계수 확인 연구(Non-CO2배출원) ... 28
  • 2.3 자연생태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inventory구축 ... 28
  • 2.4 환경정책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프로그램 개발 ... 31
  • 3. 연구 추진결과 ... 33
  • 3.1 환경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Inventory작성 및 배출계수 개발(CO2배출원,수송부문) ... 33
  • 3.1.1 온실가스 산정지침 사례조사 ... 33
  • 3.1.1.1 국내 온실가스 산정지침 ... 33
  • 3.1.1.2 국외 온실가스 산정지침 ... 33
  • 3.1.1.3 온실가스 산정지침 활용방안 ... 37
  • 3.1.2 산업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원 ... 38
  • 3.1.2.1 산업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원 목록 개발방법 ... 39
  • 3.1.2.2 산업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원 목록 ... 41
  • 3.1.3 산업부문 CO2 배출특성 조사 ... 42
  • 3.1.3.1 산업부문의 온실가스 배출 사업장 선정 ... 42
  • 3.1.3.2 대상 사업장별 조사표 개발 ... 44
  • 3.1.3.3 CO2 측정 방법 ... 45
  • 3.1.3.4 온실가스 배출계수 작성방법 ... 46
  • 3.1.4 온실가스 배출계수 산정방법 ... 50
  • 3.1.4.1 에너지 부문 ... 50
  • 3.1.4.2 산업공정 부문 ... 55
  • 3.1.5 대상 업종별 배출원에 대한 배출특성 조사 분석 ... 67
  • 3.1.6 현장실측 조사결과 ... 82
  • 3.1.6.1 사업장별 배출원정보 및 조사표 ... 82
  • 3.1.6.2 CO2 측정결과 ... 86
  • 3.1.6.3 사업장 시설별 배출계수 ... 92
  • 3.1.7 CO2 배출량분석을 통한 배출계수 검증 ... 94
  • 3.1.7.1 사업장별 CO2 배출량 분석 ... 94
  • 3.1.7.2 사업장별 CO2배출량을 통한 배출계수 검증 ... 99
  • 3.1.8. CO2 배출계수 산정결과 ... 102
  • 3.2 환경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Inventory작성 및 배출계수 개발(수송부문) ... 105
  • 3.2.1 국내외 수송부문 배출량 산정 지침 개발 사례 ... 105
  • 3.2.1.1 IPCC Guideline ... 105
  • 3.2.1.2 미국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 ... 109
  • 3.2.1.3 유럽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 ... 114
  • 3.2.1.4 일본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 ... 118
  • 3.2.1.5 호주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 ... 118
  • 3.2.1.6 국내 온실가스 배출계수 산정방법 ... 120
  • 3.2.2 차종별 온실가스 배출특성 ... 131
  • 3.2.2.1 시험대상 차량 선정 ... 131
  • 3.2.2.2 시험 내용 및 방법 ... 136
  • 3.2.2.3 온실가스 배출특성 ... 141
  • 3.2.3 배출계수 산정결과 ... 152
  • 3.2.3.1 배출계수 산출모형 및 평가 ... 152
  • 3.2.3.1 차종별 연식별 온실가스 배출계수 ... 159
  • 3.2.3.2 외국의 배출계수와의 비교 ... 164
  • 3.3. 사업장의 온실가스 실측을 통한 배출계수 확인 연구 ... 166
  • 3.3.1 N2O와 CH4 가스의 특징과 반응 ... 166
  • 3.3.1.1 온실가스(N2O와 CH4)의 대기화학 ... 166
  • 3.3.1.2 대기 중의 CH4와 N2O 가스 ... 167
  • 3.3.1.3 CH4와 N2O의 주요한 발생원 ... 169
  • 3.3.1.4 배출계수 설정을 위한 인자들 ... 171
  • 3.3.2 온실가스(N2O,CH4)QA(qualityassurance)/QC(qualitycontrol) ... 172
  • 3.3.2.1 시료채취 ... 172
  • 3.3.2.2 분석방법 ... 173
  • 3.3.2.3 결과 및 고찰 ... 177
  • 3.3.3 폐기물 소각장에서의 샘플링 분석 ... 182
  • 3.3.3.1 지정폐기물 (폐기물관리법 제2조) ... 183
  • 3.3.3.2 생활폐기물 ... 184
  • 3.3.3.3 소각기술 ... 185
  • 3.3.3.4 본 과업의 진행사항 ... 186
  • 3.3.4 시멘트 생산시설에서의 샘플링 분석 ... 191
  • 3.3.4.1 국내외의 고로슬래그시멘트 생산 및 사용현황 ... 191
  • 3.3.5 배출가스 중에서 N2O 및 CH4 가스의 배출량 산정 ... 194
  • 3.3.6 N2O 및 CH4 가스의 배출계수 산정 ... 204
  • 3.4. 자연생태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inventory구축 ... 207
  • 3.4.1 대기 중 질소 침적에 따른 메탄 산화 저해 작용 ... 207
  • 3.4.1.1 선행 연구 조사 ... 207
  • 3.4.1.2 대기 중 질소 침적 량 조사 ... 214
  • 3.4.1.3 질소 침적에 따른 메탄 산화능 변화 분석 ... 215
  • 3.4.2 연안 습지에서의 메탄 거동 ... 217
  • 3.4.2.1 국외 선행 연구 조사 ... 217
  • 3.4.2.2 국내 연안 습지의 분포 ... 217
  • 3.4.2.3 국내 연안습지에서의 메탄 거동 분석 ... 218
  • 3.4.3 국내 벼논에서의 메탄 발생량 추정 ... 221
  • 3.5. 환경정책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프로그램 개발 ... 223
  • 3.5.1 폐기물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 223
  • 3.5.1.1 매립 부문 ... 223
  • 3.5.1.2 하폐수 부문 ... 237
  • 3.5.1.3 소각 부문 ... 247
  • 3.5.1.4 폐기물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경향성 파악 ... 257
  • 3.5.2 폐기물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 258
  • 3.5.2.1 매립부문 ... 258
  • 3.5.2.2 소각 부문 ... 261
  • 3.5.2.3 하폐수 부문 ... 264
  • 3.5.2.4 폐기물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경향성 파악 ... 269
  • 3.5.3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프로그램 ... 269
  • 3.5.3.1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프로그램 개발 검토 :매립장을 중심으로 ... 269
  • 3.5.4 업종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주요인자의 불확도 조사 ... 272
  • 3.5.4.1 불확도 조사 방법 ... 272
  • 3.5.4.2 사업장별 배출계수 산정 및 불확도 평가 ... 275
  • 4. 결론 ... 277
  • 참 고 문 헌 ... 281
  • 다.중요 연구변경사항 ... 292
  • 라.연구수행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향 ... 292
  • 마.사업비 집행내역 ... 293
  • 부 록 ... 298
  • 부록 1.온실가스 배출원 및 흡수원의 중분류(IPCC 2006) ... 298
  • 부록 2.연료별 저위발열량 default값(IPCC 2006에너지부문) ... 299
  • 부록 3.IPCC 고정연소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계수 초기값(IPCC,2006) ... 300
  • 부록 4.IPCC에서 제시하고 있는 연료별 탄소함량 초기 값(default) ... 302
  • 부록 5.산업부문 온실가스 발생원별 분류(2006IPCC Guideline) ... 303
  • 부록 6.에틸렌(Ethylene,C2H4) ... 305
  • 부록 7.에틸렌 비닐 클로라이드(EthyleneDichloride,C2H4Cll2 2)와 비닐클로라이드(VinylChlorideMonomer,CH2CHCl) ... 306
  • 부록 8.아크릴로니트릴(Acrylontrile,CH2=CHCN) ... 307
  • 부록 9.에틸렌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Tier1,2,3방법을 이용한 사업장 총 CO2 배출량 산정방법(보일러 제외)-CHA사업장 ... 308
  • 부록 10.에틸렌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Tier1,2,3방법을 이용한 사업장 총 CO2 배출량 산정방법(보일러 제외)-CHB사업장 ... 310
  • 부록 11.에틸렌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Tier1,2,3방법을 이용한 사업장 총 CO2 배출량 산정방법(보일러 제외)-CHC사업장 ... 312
  • 부록 12.에틸렌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Tier1,2,3방법을 이용한 사업장 총 CO2 배출량 산정방법(보일러 제외)-CHD사업장 ... 314
  • 부록 13.에틸렌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Tier1,2,3방법을 이용한 사업장 총 CO2 배출량 산정방법(보일러 제외)-CHE사업장 ... 316
  • 부록 14.에틸렌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Tier1,2,3방법을 이용한 사업장 총 CO2 배출량 산정방법(보일러 제외)-CHF사업장 ... 318
  • 부록 15.에틸렌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Tier1,2,3방법을 이용한 사업장 총 CO2 배출량 산정방법(보일러 제외)-CHG사업장 ... 319
  • 부록 16.아크릴로니트릴(AN)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Tier1,2,3방법을 이용한 사업장 총 CO2 배출량 산정방법(보일러 제외)-CHH사업장 ... 321
  • 부록 17.아크릴로니트릴(AN)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Tier1,2,3방법을 이용한 사업장 총 CO2 배출량 산정방법(보일러 제외)-CHI사업장 ... 322
  • 부록 18.카본블랙(CB)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Tier1,2,3방법을 이용한 총 CO2 배출량 산정방법(보일러 제외)-CHK 사업장 ... 324
  • 부록 19.카본블랙(CB)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Tier1,2,3방법을 이용한 총 CO2 배출량 산정방법(보일러 제외)-CHN 사업장 ... 325
  • 부록 20.카본블랙(CB)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Tier1,2,3방법을 이용한 총 CO2 배출량 산정방법(보일러 제외)-CHO 사업장 ... 327
  • 부록 21.아디프산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Tier1,2,3방법을 이용한 총 CO2 배출량 산정방법(보일러 제외)-CHP 사업장 ... 328
  • 부록 22.온실가스 시험데이터 분포현황 ... 330
  • 부록 23.시험모드별 DATA 95% 신뢰구간 ... 333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