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inventory 작성 및 배출계수 개발
Development of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Emission Factor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연구책임자 홍지형
참여연구자 정동일 , 김정수 , 김종춘 , 김대곤 , 이수빈 , 류정호 , 유영숙 , 이성호 , 송형도 , 김민수 , 이재광 , 김대욱 , 손용기 , 김선문 , 안수진 , 이동민 , 엄동섭 , 김현근 , 최경식 , 정인권 , 정동희 , 최은화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8-07
과제시작연도 2007
주관부처 환경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환경기술진흥원
등록번호 TRKO201200011512
과제고유번호 1485005815
사업명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온실가스.이산화탄소.메탄.아산화질소.배출목록.배출계수.산업.수송.환경기초시설.모니터링.측정지침.Greenhouse Gas.CO2.CH4.N2O.Emission Inventory.Emission Factor.Industrial.Transport.Waste.Monitoring.SOP.

초록

- 산업 및 환경부문 온실가스 배출원 목록 및 배출계수 개발
- Non-$CO_{2}$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원 목록 및 배출계수 개발
- 차종 및 차속별 온실가스 배출특성연구 및 배출계수 개발
- 산정방법론별(실측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과 IPCC 및 선진국 배출량 등) 배출량 비교
- 각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계수의 불확도 평가
- 자연생태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정량 분석 및 배출계수 개발
- 측정된 실측치와 배출 예측치와의 비교를 통한 차이 규명
- 산림토양에서의 메탄 산

Abstract

1. Development of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Emission Factors (Industrial process & Waste)
A better knowledge of greenhouse gases emission inventories and characteristics can serve several important functions such as provision of public information, identification of primary sources, assessment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3
  • 보고서 초록 ... 5
  • 요 약 문 ... 7
  • SUMMARY ... 12
  • CONTENTS ... 16
  • 제목차례 ... 23
  • 표차례 ... 31
  • 그림차례 ... 40
  • 제1장 서 론 ... 51
  • 제 2장 국내외 산정지침 ... 67
  • 제 1절 국내 온실가스 산정지침 ... 67
  • 제 2절 국외 온실가스 산정지침 ... 69
  • 제 3장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 79
  • 제 1절 환경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Inventory 작성 및 배출계수 개발(CO2 배출원) ... 79
  • 1. 연구방법 ... 79
  • 1.1 산업부문 온실가스 배출 사업장 현황 ... 79
  • 1.1.1 시멘트 산업 ... 79
  • 1.1.2 화학 산업 ... 82
  • 1.1.3 철강 산업 ... 85
  • 1.1.4 비철금속 ... 87
  • 1.1.5 펄프산업 ... 89
  • 1.1.6 폐기물 소각 ... 91
  • 1.2 산업부문 온실가스 배출 사업장 선정 ... 92
  • 1.2.1 시멘트 산업 ... 95
  • 1.2.2 화학 산업 ... 95
  • 1.2.3 철강 산업 ... 97
  • 1.2.4 비철금속 ... 97
  • 1.2.5 펄프산업 ... 98
  • 1.2.6 폐기물 소각 ... 99
  • 1.3 사업장 현장조사 ... 100
  • 1.3.1 대상 사업장별 조사표 개발 ... 100
  • 1.3.2 CO2 측정 방법 ... 101
  • 1.4 온실가스(CO2) 배출량 산정방법 ... 102
  • 1.4.1 배출계수를 이용한 배출량 산정방법 ... 102
  • 1.4.2 배출계수 등급 산정방법 ... 103
  • 1.4.3 에너지부문 ... 106
  • 1.4.4 시멘트 산업 ... 113
  • 1.4.5 화학 산업 ... 116
  • 1.4.6 철강 산업 ... 133
  • 1.4.7 비철금속 산업 ... 137
  • 1.4.8 펄프산업 ... 144
  • 1.4.9 폐기물 소각 ... 147
  • 2. 연구결과 ... 155
  • 2.1 대상사업장 제조공정 및 CO2 배출정보 ... 155
  • 2.1.1 시멘트 산업 ... 155
  • 2.1.2 화학 산업 ... 159
  • 2.1.3 철강 산업 ... 172
  • 2.1.4 비철금속 산업 ... 174
  • 2.1.5 펄프산업 ... 178
  • 2.1.6 폐기물 소각 ... 181
  • 2.2 온실가스(CO2) 배출계수 ... 183
  • 2.2.1 실측농도와 배출량 분석 ... 183
  • 2.2.2 CO2 배출계수 산정결과 ... 198
  • 2.3 온실가스(CO2) 배출량 추이 분석(1999~2006) ... 230
  • 2.3.1 시멘트 산업 ... 230
  • 2.3.2 화학 산업 ... 233
  • 2.3.3 철강 산업 ... 237
  • 2.3.4 비철금속 산업 ... 241
  • 2.3.5 펄프산업 ... 245
  • 2.3.6 폐기물 소각 ... 246
  • 2.4 산업부문 CO2 배출량 ... 251
  • 3. 결론 ... 252
  • 제 2절 환경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Inventory 작성 및 배출계수 개발(수송부문) ... 255
  • 1. 연구방법 ... 255
  • 1.1 수송부문 국외 온실가스 배출계수 산정방법 ... 255
  • 1.1.1. 2006 IPCC Guideline ... 255
  • 1.1.2 미국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 ... 261
  • 1.1.3 유럽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 ... 265
  • 1.1.4 일본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 ... 269
  • 1.1.5 호주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 ... 270
  • 1.2 국내 온실가스 배출계수 산정방법 ... 271
  • 1.2.1 배출계수 산정 시험방법 ... 271
  • 1.2.2 배출계수 산출모형 및 평가 ... 273
  • 2. 차종별 온실가스 배출특성 조사 ... 278
  • 2.1 시험대상 차량 선정 ... 278
  • 2.2 시험 내용 및 방법 ... 285
  • 2.2.1 소형차대동력계 시험방법 및 시험모드 ... 285
  • 2.2.2 대형차동력계 시험방법 및 시험모드 ... 287
  • 2.2.3 엔진동력계 시험방법 및 시험모드 ... 289
  • 2.2.4 온실가스 분석방법 ... 291
  • 2.2.5 사용연료 ... 292
  • 2.2.6 저공해차량 ... 295
  • 2.3 온실가스 배출특성 시험결과 ... 297
  • 2.3.1 차종별, 배기량별 온실가스 배출특성 ... 297
  • 2.3.2 연식별 온실가스 배출특성 ... 299
  • 2.3.3 연료별 온실가스 배출특성 ... 301
  • 2.3.4 연비와 CO2와의 상관관계 ... 304
  • 2.3.5 적용기술별 CO2 배출특성 ... 305
  • 2.3.6 가감속 패턴에 따른 CO2 배출특성 ... 306
  • 2.3.7 차량 총중량에 따른 CO2 배출특성 ... 307
  • 2.3.8 변속기에 따른 CO2 배출특성 ... 308
  • 2.3.9 동력계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특성 ... 308
  • 2.3.10 시험모드간 상관성 ... 309
  • 2.3.11. 저공해 연료(바이오 에탄올)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특성 ... 312
  • 2.3.12 하이브리드 차량의 온실가스 배출특성 ... 313
  • 2.3.13 수입차량의 온실가스 배출특성 ... 314
  • 2.4 배출계수 산정결과 ... 315
  • 2.4.1 시험데이터의 통계처리 방법 ... 315
  • 2.4.2. 차종별 연식별 온실가스 배출계수 ... 318
  • 2.4.3. 외국의 배출계수와의 비교 ... 329
  • 2.4.4. 대표차속 배출계수 결과 ... 331
  • 3. 결론 ... 334
  • 제 3절 사업장의 온실가스 실측을 통한 배출계수 확인 연구 ... 335
  • 1. 연구방법 및 내용 ... 335
  • 1.1 폐기물 부문 및 시멘트 사업장 현황 ... 335
  • 1.1.1 폐기물 소각장 ... 335
  • 1.1.2 시멘트 생산 시설 ... 339
  • 1.1.3 하수처리장 ... 340
  • 1.2 본 연구의 조사 대상 사업장 시설 ... 341
  • 1.2.1 폐기물 측정 시설 ... 341
  • 1.2.2 시멘트 생산에서의 측정 시설 ... 346
  • 1.2.3 생활폐기물 소각장과 하수처리장에서의 측정 시설 ... 348
  • 1.3 온실가스 산정지침 ... 349
  • 1.3.1 CH4 및 N2O ... 349
  • 1.3.2 HFCs, PFCs 및 SF6 ... 353
  • 1.4 온실가스(CH4, N2O) 모니터링 구축 및 SOP ... 360
  • 1.4.1 시료 채취 ... 360
  • 1.4.2 분석 방법 및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 ... 362
  • 1.5 모니터링 구축 및 SOP에 대한 QA/QC ... 367
  • 1.5.1 시료채취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 ... 368
  • 1.5.2 시료분석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 ... 373
  • 2. 결과 및 고찰 ... 381
  • 2.1 폐기물 소각장 및 시멘트 생산시설에서의 배출계수 및 배출량 산정 ... 382
  • 2.1.1 배출계수 산정 ... 382
  • 2.1.2 배출량 산정 ... 385
  • 2.2 생활폐기물 및 산업공정 시설과 하수처리장의 배출계수 및 배출량 산정 ... 394
  • 2.2.1 생활폐기물 소각장과 산업공정 시설 ... 394
  • 2.2.2 하수처리장 ... 399
  • 3. 결론 ... 407
  • 제 4절 자연생태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Inventory 구축 ... 411
  • 1. 자연생태계의 이산화탄소 배출계수 산정 ... 411
  • 1.1 순일차생산량을 이용한 산림생태계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흡수량 추정 ... 414
  • 1.2 IPCC method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배출/흡수량 추정 ... 423
  • 2. 자연생태계의 메탄 제거능 산정 ... 425
  • 2.1 자연에서 발생·소멸되는 메탄 ... 425
  • 2.2 메탄 산화 세균 ... 429
  • 2.3 산림 토양의 메탄 산화에 영향을 주는 환경 인자 ... 431
  • 2.3.1 온도 ... 431
  • 2.3.2 pH ... 431
  • 2.3.3 무기 질소 ... 432
  • 2.4 산림 토양의 메탄 산화 실측 ... 433
  • 2.4.1 측정 장소 ... 433
  • 2.4.2 메탄 산화 측정 방법 ... 434
  • 2.4.3 메탄 산화율 측정 결과 ... 434
  • 2.5 대기 중 질소 침적에 따른 메탄 산화 저해 작용 ... 437
  • 2.5.1 선행 연구 조사 ... 437
  • 2.5.2 대기 중 질소 침적 량 조사 ... 442
  • 2.5.3 질소 침적에 따른 메탄산화능 변화 분석 ... 444
  • 2.6 연안 습지에서의 메탄 거동 ... 446
  • 2.6.1 국외 선행 연구 조사 ... 446
  • 2.6.2 국내 연안 습지의 분포 ... 446
  • 2.6.3 국내 연안습지에서의 메탄 거동 분석 ... 447
  • 2.7 국내 벼논에서의 메탄 발생량 추정 ... 450
  • 2.8 농업생태계에서의 이산화탄소 흐름 및 메탄 발생량에 대한 추정 ... 451
  • 3. 자연생태계에서의 아산화질소 거동 ... 455
  • 3.1 실측된 아산화질소 자료를 이용한 국내 아산화질소 Inventory 작성 ... 456
  • 3.2 농경지의 비료시용에 따른 아산화질소 배출량 현황 ... 457
  • 제 5절 환경정책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프로그램 개발 ... 460
  • 1. 폐기물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 ... 460
  • 1.1 GHG Protocol(http://www.ghgprotocol.org/) ... 460
  • 1.2 CCAR의 CARROT (Climate Action Registry Reporting Online Tool) ... 462
  • 1.2.1 온라인 계산 도구 ... 463
  • 1.2.2 Certification ... 465
  • 1.3 미국 캘리포니아 Sonoma country의 온실가스 계산방법 ... 466
  • 1.3.1 배출원 목록 (emissions inventory)의 작성 ... 466
  • 1.3.2 온실가스 배출계산 ... 467
  • 1.3.3 Sonoma County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제안 ... 472
  • 1.3.4 Sonoma County 산정법의 검토 결과 ... 473
  • 1.4. 매립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 474
  • 1.4.1. IPCC의 매립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지침 ... 474
  • 1.4.2 EPA의 매립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지침 ... 476
  • 1.4.3 캐나다의 매립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지침 ... 479
  • 1.4.4 폐기물 매립부문 적용변수의 정의 ... 482
  • 1.4.5 IPCC 2006GL의 스프레드시트 모델 ... 484
  • 1.5 하폐수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 485
  • 1.5.1 Revised 1996 IPCC Guideline ... 485
  • 1.5.2 2000 Good Practice Guidance and Uncertainty Management ... 488
  • 1.5.3 EPA ... 489
  • 1.5.4 캐나다 하ㆍ폐수의 온실가스 산정방법 ... 493
  • 1.6 소각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 494
  • 1.6.1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방법 ... 494
  • 1.6.2 아산화질소 배출량 산정방법 ... 495
  • 1.7 그 외 국외의 온실가스 연구사례 ... 497
  • 1.8 국내현황 및 관련연구 동향 ... 498
  • 1.8.1 우리나라 폐기물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위한 문제점 검토 ... 503
  • 2. 폐기물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 508
  • 2.1 매립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 508
  • 2.1.1 메탄 배출량 산정 적용 변수 고찰 ... 508
  • 2.1.2 메탄 배출량 산정 결과 ... 518
  • 2.2. 하폐수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 522
  • 2.2.1. 메탄 배출량 산정 ... 522
  • 2.2.2. 아산화질소 배출량 산정 ... 527
  • 2.3. 소각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 529
  • 2.3.1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 ... 529
  • 2.3.2. 아산화질소 배출량 산정 ... 534
  • 2.4. 폐기물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경향성 파악 ... 538
  • 3 폐기물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 540
  • 3.1 매립부문 ... 540
  • 3.1.1 폐기물 매립량 전망 ... 540
  • 3.1.2 매립 부문 메탄 배출량 전망 결과 ... 547
  • 3.2 하폐수 부문 ... 550
  • 3.2.1 메탄 배출량 전망 ... 550
  • 3.2.2 아산화질소 배출량 전망 ... 552
  • 3.3 소각 부문 ... 553
  • 3.3.1 이산화탄소 소각량 전망 ... 553
  • 3.3.2 소각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결과 ... 554
  • 3.4 폐기물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경향성 파악 ... 555
  • 3.5 폐기물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결과에 대한 불확도 평가 ... 558
  • 3.5.1 매립부문 ... 560
  • 3.5.2 하폐수 부문 ... 563
  • 3.5.3 소각 부문 ... 567
  • 4.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프로그램 ... 571
  • 제 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575
  • 제 1절 목표달성도 ... 575
  • 1. 환경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Inventory작성 및 배출계수 개발 ... 575
  • 2. 사업장의 온실가스 실측을 통한 배출계수 확인 연구(Non-CO2 배출원) ... 577
  • 3. 자연생태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Inventory 구축 ... 578
  • 4. 환경정책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프로그램 개발 ... 579
  • 제 2절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580
  • 제 3절 연구실적 ... 581
  • 1. 총괄 ... 581
  • 2. 연구실적물 ... 581
  • 2.1. 논문게재 ... 581
  • 2.1.1. 국내 학술지 ... 581
  • 2.1.2. 국제 학술지 ... 582
  • 2.2. 학술대회발표 ... 582
  • 2.2.1 국내 학술대회(세미나)발표 ... 582
  • 2.2.2 국외 전문회의(세미나)발표 ... 584
  • 제 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587
  • 제 1절 추가 연구의 필요성 ... 587
  • 제 2절 활용계획 ... 587
  • 제 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 정보 ... 591
  • 제 1절 온실가스 모니터링과 SOP 방법론 평가 ... 591
  • 1. 시료채취 방법 ... 591
  • 1.1 시설 배출구에서의 시료채취 ... 591
  • 1.2 토양 및 수표면에서의 시료채취 ... 592
  • 2. 분석기기 ... 595
  • 2.1 CH4 및 N2O 분석 ... 596
  • 2.2 HFCs, PFCs 및 SF6 분석 ... 596
  • 2.2.1 SF6 측정시스템의 구축 및 SOP ... 597
  • 2.2.2 CF4 측정시스템의 구축 및 SOP ... 598
  • 제 7장 참고문헌 ... 603
  • [부록 1] 온실가스 시험데이터 분포현황 ... 614
  • [부록 2] 온실가스(CH4 및 N2O) 분석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 ... 625
  • [부록 3] 폐기물부문 온실가스 배출전망 프로그램 사용자 가이드 ... 63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