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 가뭄재해정보시스템 시범 개발
The Development of Pilot Drought Information System for National Disaster Reducti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이종형
참여연구자 박무종 , 오국열 , 진기현 , 조영래 , 박동혁 , 정 범 , 이현윤 , 안재현 , 서성호 , 박기훈 , 권진주 , 여호준 , 류정수 , 김상단 , 유인상 , 윤대한 , 김경노 , 이정훈 , 조선주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1-10
과제시작연도 2010
주관부처 소방방재청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등록번호 TRKO201200011807
과제고유번호 1665005659
사업명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9-11-16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200011807

초록

○ 가뭄 모니터링시스템, 가뭄 전망시스템, 가뭄 상황관리시스템, 가뭄재해 대응시스템을 통하여 가뭄피해 대책의 현실화 및 국가가뭄 정책 수립 역량 제고에 기여
○ 국가 가뭄재해정보시스템을 통한 체계적 가뭄피해 경감 대책 수립 및 시행 가능
○ 국가 가뭄재해정보시스템 운영을 통한 대국민 홍보 및 인식 제고

Abstract

1. Domestic and International drought research investigation
1) Drought monitoring research technique
2) Drought measures research management
3) Drought monitoring research system
2. Development of Drought Monitoring System
1)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ata monitoring for drough

목차 Contents

  • 제출문 ... 1
  • 요약문 ... 3
  • SUMMARY ... 5
  • 차례 ... 8
  • 1차년도 국가 가뭄재해정보시스템 시범 개발(기반연구) ... 56
  • 1. 가뭄 모니터링시스템 개발 ... 58
  • 제 1 장 서 론 ... 60
  • 1.1 연구개발의 목적과 필요성 ... 60
  • 제 2 장 국내·외 연구현황 ... 62
  • 2.1 국내 가뭄지수의 활용 현황 ... 63
  • 2.1.1 기상청 ... 63
  • 2.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64
  • 2.1.3 한국수자원공사 ... 65
  • 2.1.4 한국농어촌공사 ... 67
  • 2.1.5 농촌진흥청 ... 68
  • 2.1.6 국내 가뭄지수 활용 현황 비교 ... 69
  • 2.2 국외 가뭄지수 연구사례 ... 69
  • 2.2.1 미국 ... 70
  • 2.2.2 일본 ... 72
  • 2.2.3 호주 ... 72
  • 제 3 장 국내·외 가뭄지수의 조사 ... 74
  • 3.1 가뭄의 정의 ... 74
  • 3.2 가뭄의 학문적 분류 ... 75
  • 3.3 가뭄의 영향순서 ... 81
  • 3.4 가뭄지수의 정의 ... 82
  • 3.5 가뭄지수의 종류 ... 83
  • 제 4 장 국내·외 가뭄지수 특성 비교 분석 ... 92
  • 4.1 분석 대상 지점의 선정 ... 92
  • 4.2 가뭄 발생연도 조사 ... 98
  • 4.3 가뭄지수 심도 분류 ... 100
  • 4.4 가뭄지수 산정절차 및 분석 ... 100
  • 4.4.1 표준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 100
  • 4.4.2 팔머가뭄심도지수(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 ... 111
  • 4.4.3 보정 지표수분공급지수(Modified Surface Water Supply Index, MSWSI) ... 121
  • 4.4.4 토양수분지수(Soil Moisture Index, SMI) ... 134
  • 제 5 장 국내·외 가뭄전망기법 조사 ... 148
  • 5.1 SSA 저빈도 분석을 통한 가뭄전망 ... 149
  • 5.2 수문기상인자 해수면온도를 이용한 가뭄전망 ... 150
  • 5.3 기상청 장기예보를 이용한 가뭄전망 ... 152
  • 2. 가뭄 피해지역 분석시스템 개발 ... 156
  • 2-1 가뭄 취약성 평가 기법 ... 158
  • 제 1 장 서 론 ... 158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 158
  • 1.1.1 연구 배경 ... 158
  • 1.1.2 연구 목적 ... 158
  • 1.2 주요 연구내용 및 연구 추진 절차 ... 159
  • 1.2.1 주요 연구내용 ... 159
  • 1.2.2 연구 추진 절차 ... 160
  • 제 2 장 취약성 평가 개념 및 필요성 ... 162
  • 2.1 취약성 평가의 기본개념 ... 162
  • 2.2 취약성 평가의 필요성 ... 163
  • 제 3 장 취약성 영향인자 ... 164
  • 3.1 지역안전도 평가인자의 선정사례 및 활용방안 ... 164
  • 3.1.1 주요내용 ... 164
  • 3.1.2 활용방안 ... 167
  • 3.2 홍수피해잠재능 평가인자 사례 및 활용방안 ... 168
  • 3.2.1 주요내용 ... 168
  • 3.2.2 활용방안 ... 170
  • 3.3 홍수피해지표개발 사례 및 활용방안 ... 170
  • 3.3.1 주요내용 ... 170
  • 3.3.2 활용방안 ... 171
  • 3.4 영향인자 표준화 방안 및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 172
  • 3.4.1 표준화 방안 ... 172
  • 3.4.2 가중치 방안 ... 174
  • 3.4.3 시사점 ... 175
  • 제 4 장 취약성 지수 개발 ... 178
  • 4.1 취약성 지수 개발 사례 ... 178
  • 4.1.1 중국의 Flood Risk Assessment System 사례 ... 178
  • 4.1.2 CEVSA 모델을 이용한 산림생태계 취약성 평가 ... 180
  • 4.1.3 슬로베니아의 가뭄 취약성 평가 ... 183
  • 4.1.4 방글라데시의 가뭄 취약성 평가 ... 184
  • 4.2 취약성 지수 개발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 186
  • 제 5 장 취약성 지수의 활용 및 미국 NDMC 사례 ... 188
  • 5.1 취약성 지수의 활용사례 ... 188
  • 5.1.1 중국의 Flood Risk Assessment System 연구결과 ... 188
  • 5.1.2 CEVSA모델을 이용한 산림생태계 취약성 평가 연구결과 ... 189
  • 5.1.3 기후변화에 따른 벼 생산 취약성 평가 연구결과 ... 190
  • 5.2 취약성 지수의 활용 사례의 특징분석 ... 191
  • 5.3 NDMC ... The Near East Drought Planning Manual
  • 제 6 장 결 론 ... 196
  • 2-2 국내·외 가뭄 피해액산정 기법 ... 198
  • 제 1 장 서 론 ... 198
  • 1.1 연구 목적 및 배경 ... 198
  • 1.2 연구내용 ... 198
  • 1.3 연구의 활용성 ... 199
  • 제 2 장 자연재해 피해규모 산정방법 조사 ... 200
  • 2.1 농업부문의 피해액 산정 방법 ... 201
  • 2.1.1 농작물 피해액 ... 201
  • 2.1.2 생산비 피해액 ... 204
  • 2.1.3 농경지 피해액 ... 207
  • 2.1.4 복구지원금과 피해액 산정의 비교 ... 208
  • 2.2 농업부문 이외의 재해피해액 산정 방법 ... 209
  • 2.2.1 인명 피해액 ... 209
  • 2.2.2 가옥 피해액 ... 210
  • 2.2.3 공공시설물의 피해액 ... 211
  • 2.2.4 기타 피해액 ... 212
  • 2.2.5 간접 피해액 ... 212
  • 2.3 자연재해 피해규모 산정방법 조사 사례에 대한 검토 및 적용 ... 213
  • 제 3 장 국내 가뭄피해 추정기법 조사 ... 216
  • 3.1 가뭄피해 추정 방법론 ... 217
  • 3.2 생·공업용수 및 농업용수 부족에 따른 피해상황 ... 218
  • 3.2.1 생활용수 피해상황 ... 219
  • 3.2.2 공업용수 피해상황 ... 219
  • 3.2.3 농업용수 피해상황 ... 219
  • 3.3 가뭄피해규모 산정 ... 220
  • 3.3.1 벼에 대한 가뭄피해규모 ... 220
  • 3.3.2 채소·특작 ... 221
  • 3.3.3 과수 ... 222
  • 3.4 가뭄피해 추정 방법론에 대한 고찰 및 검토 ... 223
  • 제 4 장 국외 가뭄피해추정 기법 ... 224
  • 4.1 농업용수 부문 가뭄피해 분석 기법 ... 226
  • 4.1.1 농업용수 부문 가뭄피해 분석 기법에 대한 고찰 및 검토 ... 233
  • 4.2 생활용수 부문 가뭄피해 분석 기법 ... 233
  • 4.2.1 생활용수 부문 가뭄피해 분석 기법에 대한 고찰 및 검토 ... 237
  • 4.3 레크리에이션 부문의 가뭄피해 분석 기법 ... 237
  • 4.3.1 레크리에이션 부문 가뭄피해 분석 기법에 대한 고찰 및 검토 ... 240
  • 제 5 장 각 부문별 피해액산정기법 검토 및 2차년도 계획 ... 242
  • 5.1 생활용수부문의 피해액산정기법 검토 및 2차년도 계획 ... 242
  • 5.2 농업용수부문의 피해액산정기법 검토 및 2차년도 계획 ... 243
  • 3. 가뭄재해 대응시스템 개발 ... 246
  • 제 1 장 국내 가뭄재해 대응방안 및 법제도 현황 ... 248
  • 1.1 국내 가뭄재해 관련 법제도 현황 조사 및 분석 ... 248
  • 1.1.1 자연재해대책법 ... 248
  • 1.1.2 농어업재해대책법 ... 250
  • 1.1.3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 251
  • 1.2 국내 가뭄재해 대응체계 및 대응현황 ... 254
  • 1.3 국내 가뭄대응 정보시스템 ... 255
  • 1.3.1 가뭄정보시스템 ... 255
  • 1.3.2 농업가뭄정보시스템 ... 256
  • 제 2 장 국외 가뭄재해 대응방안 및 법제도 현황조사, 분석 ... 258
  • 2.1 미국 가뭄대응 현황 조사 및 분석(캘리포니아주) ... 260
  • 2.1.1 가뭄대비 기본방향 ... 260
  • 2.1.2 가뭄대책 현황 ... 260
  • 2.1.3 가뭄극복을 위한 제도 및 법령 ... 263
  • 2.2 일본 가뭄대응 현황 조사 및 분석 ... 269
  • 2.2.1 가뭄대비 기본방향 ... 269
  • 2.2.2 가뭄대책 현황 ... 271
  • 2.2.3 가뭄극복을 위한 제도 및 법령 ... 277
  • 2.3 영국 가뭄대응 현황 조사 및 분석 ... 279
  • 2.3.1 가뭄대비 기본방향 ... 279
  • 2.3.2 가뭄대책 현황 ... 281
  • 2.3.3 가뭄극복을 위한 제도 및 법령 ... 282
  • 2.4 호주 가뭄대응 현황 조사 및 분석 ... 286
  • 2.4.1 가뭄대비 기본방향 ... 286
  • 2.4.2 가뭄대책 현황 ... 287
  • 2.5 국외 현황조사 및 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 289
  • 제 3 장 국내 가뭄재해 대응방안 법제도 문제점 ... 290
  • 3.1 현행 대응방안 및 법제도의 문제점 검토 및 개선방안 ... 290
  • 3.1.1 자연재해대책법 ... 290
  • 3.1.2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 292
  • 3.1.3 농어업재해대책법 ... 294
  • 3.2 현행 대응방안 및 법제도의 개선방안 마련 ... 295
  • 3.2.1 비전과 목표 제시 ... 295
  • 3.2.2 제도 개선의 방향 제시 ... 296
  • 제 4 장 결 론 ... 298
  • 4. 가뭄 자료관리 시스템 개발 ... 300
  • 제 1 장 연구개요 ... 302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302
  • 1.1.1 연구배경 ... 302
  • 1.1.2 연구목적 ... 302
  • 1.2 연구내용 및 방법 ... 303
  • 1.2.1 연구내용 ... 303
  • 1.2.2 연구방법 ... 303
  • 제 2 장 기술동향 ... 304
  • 2.1 개요 ... 304
  • 2.2 현황조사 ... 305
  • 2.2.1 가뭄정보시스템 ... 305
  • 2.2.2 농업가뭄정보시스템 ... 307
  • 2.2.3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 308
  • 2.2.4 토양지하수종합정보시스템 ... 310
  • 2.2.5 통합수자원평가계획시스템 ... 311
  • 2.2.6 농업기상정보시스템 ... 313
  • 2.2.7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 ... 314
  • 2.2.8 국가지하수정보센터 ... 316
  • 2.2.9 물관리정보유통시스템 ... 318
  • 2.2.10 물환경정보시스템 ... 319
  • 2.2.11 국가재난정보센터 ... 320
  • 제 3 장 가뭄자료 분류체계 ... 322
  • 3.1 자료분류 ... 322
  • 3.1.1 자료 표준화 ... 322
  • 3.1.2 가뭄자료 분류 ... 324
  • 3.2 자료 구축 ... 325
  • 3.2.1 데이터베이스 구축 ... 325
  • 3.2.2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 ... 325
  • 제 4 장 가뭄자료관리시스템 구축 ... 326
  • 4.1 시스템 구성 ... 326
  • 4.1.1 시스템 구성 ... 326
  • 4.2 시스템 개발방안 ... 327
  • 4.2.1 요구사항분석 ... 327
  • 4.2.2 설계 ... 331
  • 4.2.3 구현 ... 335
  • 4.2.4 테스트 ... 338
  • 4.3 시스템 기능 ... 342
  • 4.3.1 기본구성 ... 342
  • 4.3.2 주요기능 ... 344
  • 부 록 A ... 352
  • 2차년도 국가 가뭄재해정보시스템 시범 개발(시스템 개발) ... 374
  • 1. 가뭄 모니터링시스템 개발 ... 374
  • 제 1 장 서 론 ... 376
  • 1.1 연구개발의 목적과 필요성 ... 376
  • 제 2 장 국내·외 연구현황 ... 378
  • 2.1 가뭄모니터링 기법 연구현황 ... 378
  • 2.2 가뭄지수와 기상인자와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현황 ... 378
  • 2.2.1 가뭄지수의 평가 및 비교분석에 대한 연구 동향 ... 379
  • 2.2.2 해수면온도를 활용한 연구 동향 ... 380
  • 제 3 장 우리나라에 적합한 가뭄 모니터링 기법의 개발 ... 384
  • 3.1 표준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 385
  • 3.2 토양수분지수(Soil Moisture Index) ... 388
  • 3.2.1 토양수분 물수지모형 ... 388
  • 3.2.2 표준화(Standardization) ... 392
  • 3.3 물가용지수(Water Availability Index)의 개발 ... 393
  • 3.3.1 Total Availability Water(TWA) ... 393
  • 3.4 가뭄등급의 통일 ... 400
  • 3.4.1 가뭄 등급의 다양성 ... 400
  • 3.4.2 등급 통일 기법 ... 400
  • 3.5 개선된 가뭄지수의 적용 ... 403
  • 3.5.1 적용지역 ... 403
  • 3.5.2 표준강수지수의 적용 ... 404
  • 3.5.3 토양수분지수의 적용 ... 406
  • 3.5.4 물가용지수의 적용 ... 408
  • 3.6 기상청 장기예보를 이용한 단기 가뭄 전망 ... 415
  • 3.6.1 기상청 장기예보 ... 416
  • 3.6.2 기상청 장기예보를 이용한 단기가뭄전망 ... 417
  • 제 4 장 시범지역의 가뭄 모니터링 기법의 적합성 평가 ... 418
  • 4.1 통계적 분석 방법 ... 418
  • 4.1.1 분석 방법 ... 418
  • 4.1.2 유역별 가뭄 특성 분석 ... 421
  • 4.1.3 지수별 가뭄특성 분석 ... 433
  • 4.2 2009년 태백 가뭄의 분석 ... 437
  • 4.2.1 개요 ... 437
  • 4.2.2 가뭄지수의 적용 ... 438
  • 4.2.3 광동댐의 분석 ... 441
  • 4.2.4 태백 가뭄분석의 요약 ... 450
  • 제 5 장 가뭄지수와 기상인자와의 ... 452
  • 5.1 분석 대상 자료 ... 453
  • 5.1.1 강우 및 온도 자료 ... 453
  • 5.1.2 해수면 온도 자료 ... 459
  • 5.2 가뭄지수 산정 및 비교 분석 ... 461
  • 5.2.1 팔머가뭄심도지수(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 461
  • 5.2.2 표준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 464
  • 5.2.3 EDI ... 468
  • 5.2.4 가뭄지수의 비교 분석 ... 471
  • 5.3 팔머가뭄심도지수와 해수면온도와의 상관성 분석 ... 474
  • 5.3.1 군집 분석 ... 474
  • 5.3.2 주성분 분석 ... 481
  • 5.3.3 상관성 분석 ... 495
  • 2. 가뭄 피해지역 분석시스템 개발 ... 504
  • 2-1 가뭄 피해지역 취약성 평가기법 개발 ... 506
  • 제 1 장 서 론 ... 506
  • 제 2 장 취약성 개념 및 가뭄 취약성 평가 연구방안 ... 508
  • 2.1 취약성 개념 ... 508
  • 2.2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사례분석 ... 509
  • 2.2.1 기후변화 영향 평가 및 적응시스템 구축 사례 ... 509
  • 2.2.2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표의 개발 및 도입방안 사례 ... 511
  • 2.3 가뭄 취약성 평가방안 ... 513
  • 제 3 장 가뭄 취약성 평가를 위한 사회경제적 가뭄평가 도입 ... 516
  • 3.1 사회경제적 가뭄의 개념 ... 516
  • 3.2 사회경제학적 가뭄평가 방법론 ... 518
  • 3.2.1 설문조사를 통한 방법론 검토 ... 518
  • 3.2.2 수요량 자료 수집 ... 521
  • 3.2.3 공급량 자료 수집 ... 524
  • 제 4 장 사회경제학적 가뭄지수 산정 ... 528
  • 4.1 용수공급능력 평가를 통한 사회경제학적 가뭄평가 ... 528
  • 4.1.1 생활용수부문 용수공급능력 평가 ... 528
  • 4.1.2 농업용수부문 용수공급능력 평가 ... 530
  • 4.2 사회경제학적 가뭄지수(Socioeconomic Drought Index) 산정결과 ... 532
  • 4.2.1 SDI 산정 방법 ... 532
  • 4.2.2 SDI 산정 결과 및 통계적 검정 ... 535
  • 제 5 장 대상유역의 가뭄평가결과 비교검토 ... 540
  • 5.1 SDI와 기존 가뭄지수의 비교방안 ... 540
  • 5.2 SDI와 기존 가뭄지수의 비교 및 검토 ... 541
  • 제 6 장 결론 ... 544
  • 2-2 가뭄 피해 취약성 평가기법의 시범지역 적용 ... 546
  • 제 1 장 서 론 ... 546
  • 1.1 연구목적 및 필요성 ... 546
  • 1.2 연구추진계획 ... 547
  • 1.2.1 농업부문 가뭄피해액 산정에 대한 연구추진계획 ... 547
  • 1.2.2 생활용수부문 가뭄피해액 산정에 대한 연구추진계획 ... 548
  • 제 2 장. 국내․외 가뭄피해관련 연구동향 ... 550
  • 2.1 국내 가뭄피해 분석 방법 ... 550
  • 2.2 국외 가뭄피해 분석 방법 ... 553
  • 제 3 장 부문별 가뭄피해자료 분석 ... 562
  • 3.1 농업부문의 가뭄피해지역 분석 ... 562
  • 3.1.1 농업부문 가뭄피해인자 검토 ... 562
  • 3.1.2 농업부문 설문조사 및 분석 ... 564
  • 3.1.3 농업부문 가뭄 피해관련 자료 수집 및 분석 ... 566
  • 3.2 생활용수 부문 가뭄피해관련 자료분석 ... 569
  • 3.2.1 생활용수부문 가뭄 피해인자검토 ... 569
  • 3.2.2 생활용수부문 설문조사 및 ... 569
  • 3.2.3 생활용수부문 가뭄 피해관련 자료 수집 및 분석 ... 571
  • 제 4 장 부문별 가뭄피해액산정식 ... 572
  • 4.1 농업부문 가뭄피해액 산정식 ... 572
  • 4.1.1 농업부문 가뭄피해인자 선택적 민감도분석 ... 572
  • 4.1.2 농업부문 가뭄피해관련 법령 및 규정 검토 ... 575
  • 4.1.3 농업부문 가뭄피해액산정식 제안 ... 575
  • 4.2 생활용수부문 가뭄피해액산정식 ... 579
  • 4.2.1 생활용수부문 가뭄피해인자 선택적 민감도분석 ... 579
  • 4.2.2 생활용수부문 가뭄피해 관련 법령 및 규정 검토 ... 583
  • 4.2.3 생활용수부문 가뭄피해액 산정식 제안 ... 583
  • 제 5 장 부문별 가뭄피해액산정식 적용 ... 586
  • 5.1 농업부문 가뭄피해액 산정 및 검토 ... 586
  • 5.2 생활용수 부문 가뭄피해액 산정 및 검토 ... 587
  • 제 6 장 결 론 ... 590
  • 6.1 농업부문 가뭄피해액 산정에 대한 고찰 및 검토 ... 590
  • 6.2 생활용수부문 가뭄피해액 산정에 대한 고찰 및 검토 ... 592
  • 6.3 3차년도 연구계획 ... 594
  • 3. 가뭄 재해 대응시스템 개발 ... 598
  • 제 1 장 서 론 ... 600
  • 1.1 국가 가뭄관리계획 ... 600
  • 1.2 중앙정부 가뭄관리계획 ... 604
  • 1.3 지방자치단체 가뭄관리계획 ... 605
  • 제 2 장 가뭄재해 수준별 관리방안 분석 ... 610
  • 2.1 가뭄재해 수준의 구분 ... 610
  • 2.1.1 국외 현황 ... 610
  • 2.1.2 국내 현황 ... 612
  • 2.2 가뭄재해 수준별 대책 ... 617
  • 2.2.1 중앙부처의 가뭄재해 대책 ... 617
  • 2.2.2 지방자치단체 가뭄재해 대책 ... 624
  • 제 3 장 가뭄재해 법제도 개선방향 제시 ... 632
  • 3.1 가뭄재해 대응 법제도 개선 필요성 ... 632
  • 3.1.1 개요 ... 632
  • 3.1.2 국내 가뭄대책의 제도적 보완 ... 633
  • 3.1.3 가뭄재해의 대응의 문제점 개선 ... 634
  • 3.2 가뭄의 법적 정의 ... 638
  • 제 4 장 가뭄재해 대응방안 개발 ... 642
  • 4.1 가뭄재해 대응방안 가이드라인 ... 642
  • 4.1.1 덴버시(미국) ... 642
  • 4.1.2 네바다 지역(Nevada County) ... 647
  • 4.1.3 빅토리아 주 (Victoria State) 및 멜버른 시(Melbourne City ... 650
  • 4.2 국내 가뭄 단계별 대응 방안 시나리오 ... 669
  • 4. 가뭄 자료관리시스템 개발 ... 676
  • 제 1 장 서 론 ... 678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678
  • 1.1.1 연구배경 ... 678
  • 1.2 연구내용 및 방법 ... 679
  • 1.2.1 연구내용 ... 679
  • 1.2.2 연구방법 ... 679
  • 제 2 장 국가가뭄재해정보시스템 설계 ... 680
  • 2.1 국가가뭄재해정보시스템 DB 및 아키텍쳐 분석 ... 680
  • 2.1.1 국가가뭄재해정보시스템 DB 구축 ... 680
  • 2.2 마르미 방법을 적용한 시스템 구축 과정 ... 685
  • 2.2.1 요구사항 분석 ... 686
  • 2.2.2 설계 ... 693
  • 2.2.3 구현 및 테스트 ... 699
  • 제 3 장 국가가뭄재해정보시스템 구축 ... 702
  • 3.1 시스템 구성 ... 702
  • 3.1.1 시스템 구성 ... 702
  • 3.2 시스템 기능 ... 703
  • 3.2.1 기본구성 ... 703
  • 3.2.2 주요기능 ... 704
  • 부 록 A ... 718
  • 부 록 B ... 734
  • 3차년도 국가 가뭄재해정보시스템 시범 개발(시스템통합) ... 750
  • 제 1 장 서 론 ... 752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752
  • 1.1.1 연구배경 ... 752
  • 1.1.2 연구목적 ... 753
  • 1.2 연구내용 및 방법 ... 754
  • 1.2.1 연구내용 ... 754
  • 1.2.2 연구방법 ... 755
  • 제 2 장 국내·외 연구현황 ... 756
  • 2.1 가뭄모니터링 기법 연구현황 ... 756
  • 2.2 국내·외 가뭄대책관리 연구현황 ... 758
  • 2.2.1 국내 가뭄대책관리 ... 758
  • 2.2.2 미국 ... 764
  • 2.2.3 일본 ... 768
  • 2.2.4 영국 ... 769
  • 2.2.5 호주 ... 770
  • 2.3 국내·외 가뭄모니터링 시스템 연구현황 ... 770
  • 2.3.1 기상청 ... 770
  • 2.3.2 미국(NDMC) ... 771
  • 2.3.3 미국 (USGS) ... 774
  • 2.3.4 호주 ... 776
  • 2.3.5 기타 국가 ... 777
  • 제 3 장 국가 가뭄재해정보시스템 구성 ... 780
  • 3.1 시스템 구성 ... 780
  • 3.2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 ... 781
  • 3.2.1 기상수문 자료 모니터링 ... 781
  • 3.2.2 용수공급 모니터링 ... 792
  • 3.2.3 가뭄지수 모니터링 ... 796
  • 3.2.4 가뭄 등급의 통일 ... 824
  • 3.3 가뭄 전망 시스템 ... 846
  • 3.4 가뭄상황관리 시스템 ... 848
  • 3.5 가뭄재해 대응 시스템 ... 855
  • 3.5.1 가뭄단계별 조치사항 ... 856
  • 3.5.2 법/제도별 개선방안 ... 885
  • 3.5.3 한국형 국가가뭄관리센터 구축방안 ... 895
  • 제 4 장 국가 가뭄재해정보시스템 개발 ... 908
  • 4.1 시스템 개발환경 ... 908
  • 4.1.1 시스템 기본구성 ... 908
  • 4.2 시스템 주요기능 ... 912
  • 4.2.1 국가가뭄재해정보시스템 ... 912
  • 4.2.2 Web 기반 프로토타입 시스템 ... 929
  • 부 록 A ... 934
  • 부 록 B ... 952
  • 참 고 문 헌 ... 98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