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건강정책 우선순위 개발
Development Prioritie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ies for Health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아주대학교
Ajou University
연구책임자 장재연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0-01
주관부처 보건복지가족부
사업 관리 기관 질병관리본부
Korea Center for Diease Control and Prevention
등록번호 TRKO201300000273
DB 구축일자 2013-05-20
키워드 기후변화건강영향.기후변화건강정응정책.기후변화건강포럼.impacts of climate changes on health.health adaptation strategies in climate changes.Forum for climate changes and Health.

초록

우리나라는 2008년에 기후변화 적응종합계획을 수립하고 보건복지가족부, 환경부, 기상청, 식약청 등 각 부처별로 건강분야 적응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건강분야 적응대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계획과 부처별 업무 조정, 민-관-학 전문가의 정보교환, 정책과제 수립, 기초연구조사, 적응대책의 우선순위 선정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과제는 기후변화 건강분야의 민-관-학 전문가의 논의구조를 구성하고 월례포럼을 통해,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적응대책의 개발, 대국민홍보 및 사회적 의제화를 추진하였다. 매달 사회적 또는 정책적으

Abstract

In Korea, there was a comprehensive plan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s in 2008 with each ministry including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working on their own adaptation plans for healt

목차 Contents

  • 표지 ... 1
  • 학술연구용역사업 최종결과보고서 ... 3
  • 목차 ... 5
  • 최종결과보고서 요약문 ... 15
  • Summary ... 16
  • 제1장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17
  • 제1절 연구 배경 ... 17
  • 1. 서론 ... 17
  • 2. 기후변화 대응 종합기본계획 ... 18
  • 3. 보건복지가족부와 질병관리본부 기후변화 TF ... 19
  • 제2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19
  • 제2장 연구 내용 및 방법 ... 22
  • 제1절 연구 내용 ... 22
  • 1. 기후변화와 건강분야의 파트너쉽 구축 ... 22
  • 2. 기후변화 건강정책 과제 개발 ... 22
  • 3. 기후변화 건강영향 연구현황 파악 ... 22
  • 제2절 연구 방법 ... 23
  • 1. 기후변화건강포럼의 구성 ... 23
  • 2. 의견수렴 및 소통을 위한 정기적 발표 ... 23
  • 3. 자문회의 ... 24
  • 4. 전문가 교육 ... 24
  • 제3장 연구 결과 ... 25
  • 제1절 기후변화와 건강분야의 파트너쉽 구축 ... 25
  • 1. 민-관-학 파트너쉽과 정부 부처 간 파트너쉽 ... 25
  • 가. 구축 현황 ... 25
  • 나. 활동 현황 ... 27
  • 다. 인터넷 카페 활용 현황 (http://cafe.naver.com/chealth) ... 31
  • 라. 조직 현황 ... 32
  • 제2절 기후변화 건강정책 과제 개발 ... 33
  • 1.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재해 현황과 적응정책 ... 33
  • 가. 기상재해의 변화추세와 전망에 따른 향후 방재대책의 방향 ... 33
  • 나. 기후관련성 재난의 발생현황과 대응체계 ... 42
  • 다. 결론 및 향후 정책방향 ... 48
  • 2. 말라리아 발생 현황과 적응정책 ... 50
  • 가. 우리나라 말라리아 퇴치사업의 현황 ... 52
  • 나. 말라리아 발생 현황 ... 52
  • 다. 말라리아 발생 감소의 원인 ... 56
  • 라. 말라리아 매개모기의 현황 ... 57
  • 마. 말라리아 매개모기의 관리대책 ... 58
  • 바. 말라리아 매개체 조사연구 현황 ... 59
  • 사. 군인 말라리아 예방관리 현황 ... 60
  • 아. 군 말라리아 예방대책의 문제점 ... 61
  • 자. 예측모형 ... 63
  • 차. 감염병 발생추이 모형 ... 65
  • 카. 예측모형을 통한 말라리아 취약성 평가 ... 66
  • 타. 결론 및 정책방향 제언 ... 69
  • 3. 쯔쯔가무시증 발생 현황 및 적응정책 ... 71
  • 가. 발생 현황 ... 72
  • 나. 퇴치사업의 현황 ... 74
  • 다. 예측모형 및 백신개발 현황 ... 79
  • 라. 쯔쯔가무시증 매개체의 특성과 관리 ... 82
  • 마. 결론 및 정책제언 ... 85
  • 4. 기후변화 국민건강 보호 적응정책 현황 ... 87
  • 가. 우리나라 기후변화 적응정책의 현황과 미래: 녹색성장위원회 ... 89
  • 나. 국가 기후변화 적응 종합계획- 환경부 적응정책 중심으로 : 환경부 ... 96
  • 다. 기후변화적응 건강관리대책: 보건복지가족부 ... 102
  • 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상청의 역할과 과제 : 기상청 ... 110
  • 마. 기후변화와 식량안보 : 농림수산식품부 ... 115
  • 바.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식품안전 영향예측 및 관리대책 : 식품의약품안전청 ... 120
  • 사. 결론 및 향후 정책방안 제언 ... 125
  • 제3절 기후변화 건강영향 연구현황 및 과제 ... 128
  • 1. 기후변화와 병원체 및 매개체 ... 129
  • 가. Aedes albopictus (Diptera: Culicidae)의 시간별 활동시간 조사 ... 129
  • 나. 국내에 서식하는 Aedes albopictus (Diptera: Culicidae)의 환경별 유충 발생원 조사 ... 130
  • 다. 기후변화와 국내 진드기, 벼룩, 이 매개질병 ... 133
  • 라. 기상인자와 세균성 장내질환 ... 135
  • 마. 쯔쯔가무시증 다발생 지역의 매개체와 기후요소 ... 137
  • 바. Effect of Temperature and rainfall on decrease of density of malaria vector mosquito in malaria epidemic area, ROK ... 138
  • 사. 웨스트나일바이러스감염증에 대한 진단법 개발 및 조류와 말에서의 국내 예찰 활동 ... 140
  • 2. 기후변화 역학 ... 142
  • 가. 국내 기후변화 관련 전염병의 기후요소와의 관련성 및 취약성 분석 ... 142
  • 나. 수목류 꽃가루에 감작된 성인 알레르기 환자 내원과 기상요인 간의 연관성 ... 144
  • 다. 2009년 경기남부 B시 말라리아 환자의 감염경로 조사 ... 145
  • 라. 기후변화와 장염 발생 예측 ... 147
  • 마. Optimal Treatment Strategies of a Two-Strain Tuberculosis Model/Optimal Strategies for Prevention of Avian Influenza ... 148
  • 바. Single tube multiplex PCR을 이용한 동부말뇌염, 서부말뇌염, 베네쥬엘라말뇌염바이러스의 검출 ... 149
  • 사. 소와 염소에서 리프트계곡열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검출을 위한 경쟁적 효소면역측정법개발 ... 151
  • 아. Single tube multiplex PCR을 이용한 리프트계곡열, 블루텅, 우역, 가성우역바이러스의 검출 ... 153
  • 자. 동아시아지역 유행 블루텅바이러스 혈청형 1, 2, 3, 4, 15, 16 감별을 위한 RT-PCR법 개발 ... 154
  • 3. 기상요인과 건강영향 ... 156
  • 가. 교통사고로 인한 손상과 온도의 관계 - 교통사고 종류와 지역별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라, 2006~2007 ... 156
  • 나. LAPS를 이용한 서울 도시열섬 표출 시스템 구축 ... 157
  • 다. 도심 및 환경계획을 위한 서울지역의 기후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 160
  • 라. 전국 7개 지점에서 관측된 꽃가루 농도 특성 및 꽃가루 관측환경 평가 ... 163
  • 마. 폭염으로 인한 초과사망자의 피해특성 및 고온건강경보시스템 운영 ... 164
  • 바. 한국의 기후변화와 기상재해 발생 및 피해 경향 분석 ... 166
  • 사. 최근 10년간 경기 남부지역에서 화분 알레르겐에 대한 감작률의 변화 ... 167
  • 아. 도시공간구조에 따른 열취약성 특성 분석 - 부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169
  • 자. 일부 대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도 조사 ... 170
  • 차. 서울시 일부 가정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 조사 ... 172
  • 카. 우리나라 기상재해 인명피해자의 사망원인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 1990~2008 ... 174
  • 타. 연일 발생하는 폭염을 계량화한 폭염누적지수의 개발과 검증 ... 175
  • 파. 열 스트레스(Heat stress)의 평가와 활용 : 인지온도(PT)와 사망률과의 관련성 ... 177
  • 하. 기상변수와 건강지표와의 연관성 고찰 ... 179
  • 거. 저탄소 도시계획을 위한 미기후 모델링 적용 기법- 부천시 고강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180
  • 너. Diurnal Temperature Range and Mortality ... 182
  • 제4장 연구 성과 ... 184
  • 1.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184
  • 제5장 참고문헌 ... 185

표/그림 (116)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