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법률 개정 연구
Research for the Amendment of Laws on National Vaccination Injury Compensation Schem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법무법인 로고스
연구책임자 기문주
참여연구자 한정애 , 장승준 , 임범상 , 김미란 , 성준 , 문응필 , 서윤서 , 김리룡 , 이무섭 , 김다희 , 이한나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6-11
주관부처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등록번호 TRKO201900000844
DB 구축일자 2019-06-22
키워드 예방접종피해.국가보상제도.국가피해보상법.예방접종.Vaccination Injury.National Compensation Scheme.National Injury Compensation Law.Vaccination.

초록

전염병 발생으로 인한 대규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국가가 의무적인 예방접종을 시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예방접종에 사용되는 백신도 다른 일반 의약품과 같이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다. 현재 예방접종 부작용 피해 신고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2010년 신종인플루엔자 확산을 방지하고자 시행하였던 예방접종에 대한 부작용 신고는 한해 252건으로 전년도 대비 약 14배가 증가된 바 있다. 이처럼 예방접종으로 인한 피해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피해보상의 절차, 인과관계 심사

Abstract

The government’s enforcement of a mandatory vaccination is the most efficient way to prevent a large scale damage due to the occurrence of infectious diseases. However, we cannot completely eliminate the possibility that, like other general medicines, vaccines used for various vaccinations may incur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정책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점검보고서(최종) ... 2
  • 목차 ... 3
  • 보고서 요약문 ... 13
  • Summary ... 14
  • 정책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 ... 15
  • 제1장 최종 목표 ... 15
  • 제2장 국내외 기술 현황 ... 16
  • 제3장 최종 연구내용 및 방법 ... 17
  • 제4장 최종 정책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 ... 20
  • 제1절 국내 예방접종 피해보상 관련 법제도 비교 분석을 통한 구체적 보상기준 연구 ... 20
  • 1.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인해 장애 및 노동력 상실 등으로 장애인복지법이 아닌 타법에서 장애등급을 받는 경우, 타법을 준용하여 장애일시보상금이 지급되도록 하는 것 등이 타당한지 여부 및 구체적 보상금 산정 기준 ... 20
  • 2. 희귀난치성 질환의 경우 등 장기치료일시보상금 지급 및 이에 따른 법적 근거 마련 여부 ... 44
  • 제2절 피해보상 재원 마련에 대한 연구 - ‘예방접종 피해구제 부담금제도’의 도입에 대한 검토 ... 49
  • 1. 문제의 소재 ... 49
  • 2. 예방접종 피해구제 부담금제도의 위헌성 검토 ... 49
  • 3.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부담금 제도와의 비교 ... 54
  • 4. 다른 국가의 예방접종 피해구제 부담금제도와의 비교 ... 57
  • 5. 소결 ... 60
  • 제3절 예방접종 피해에 관한 인과관계 심사기준 및 구체적인 보상금액 산정 연구 ... 60
  • 1. 예방접종과 발생한 피해 사이의 인과관계 심사 기준 검토 ... 60
  • 2. 사망한 사람에 대한 일시보상금 산정에 관한 현행 법령의 문제점 ... 76
  • 제4절 예방접종에 따른 이상반응 발생에 대한 최근 판례 검토 ... 101
  • 1. 예방접종에 따른 이상반응 발생에 대한 피해보상 판례 검토 ... 101
  • 제5절 예방접종 피해 보상절차 및 피해조사 방법에 대한 법령 개정 연구 ... 109
  • 1. 현행 예방접종 피해 보상신청 절차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향 ... 109
  • 2. 피해보상 신청기간 및 보상금 소멸시효 규정의 신설 검토 ... 115
  • 3. 보상금 지급기한의 존재 필요성 ... 118
  • 4. 보상신청 가능 최소 피해금액 및 보상신청 가능 횟수 규정에 대한 연구 ... 120
  • 5. 피해조사 방법에 대한 연구 ... 123
  • 6. 보상심의위원회 구성 및 내부절차에 대한 연구 ... 128
  • 제6절 예방접종 등에 따른 피해의 보상금 산정 기준 검토 ... 135
  • 1. 서설 ... 135
  • 2. 보상금 산정 기준 및 범위 개관 ... 135
  • 3.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에 관한 규정 시행규칙 상의 피해 구제 급여의 산정 기준 및 범위 개관 ... 137
  • 4. 비교 및 검토 ... 138
  • 5. 개정안 제시 ... 139
  • 제7절 예방접종 등에 따른 피해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진 후 장애등급이 변경되는 경우 재심의 신청절차 및 재심의 기준에 대한 검토 ... 140
  • 1. 장애등급 변경에 따른 추가 보상 및 재심의 관련 규정의 필요성 ... 140
  • 2.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재심사 및 장해등급 재판정에 따른 장해 급여 지급에 관한 검토 ... 141
  • 제8절 외국의 예방접종 피해에 관한 보상제도 현황 및 비교법적 연구 ... 160
  • 1. 미국의 국가백신피해보상제도 ... 160
  • 2. 영국, 호주 등의 백신접종 피해보상제도 ... 180
  • 3. 일본의 예방접종 관련 피해보상제도 ... 199
  • 4. 중국의 예방접종 관련 피해보상제도 ... 255
  • 제5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277
  • 제6장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 301
  • 제7장 정책연구용역사업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302
  • 제8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 302
  • 제9장 연구비 사용 내역 및 연구원 분담표 ... 302
  • 제10장 참고문헌 ... 305
  • 제11장 첨부서류 ... 308
  • 끝페이지 ... 309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