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0-12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
연구관리전문기관 |
질병관리본부 Korea Center for Diease Control and Prevention |
등록번호 |
TRKO201300000346 |
DB 구축일자 |
2013-05-20
|
키워드 |
간흡충,예방,사례관리Clonorchiasis,Prevention,Case Management
|
초록
▼
본 연구는 5대강 유역에 인접한 갑흡충 감염 고위험 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간흡충 감염 양성자 발견을 위한 검사, 예방을 위한 교육, 양성자에 대한 투약 및 사례관리를 적용한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금강, 낙동강, 영산강, 섬진강, 한강 유역별로 각각 4개씩 20개의 보건진료소를 시범 지역으로 선정하였고, 동일한 강유역 내에서 각각 4개씩 20개 보건진료소를 대조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조사에 동의한 주민을 대상으로 Formaline-ether 침전법에 의한 채변검사를 실시하였고, 간흡충 감염예방에 관한 지식
본 연구는 5대강 유역에 인접한 갑흡충 감염 고위험 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간흡충 감염 양성자 발견을 위한 검사, 예방을 위한 교육, 양성자에 대한 투약 및 사례관리를 적용한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금강, 낙동강, 영산강, 섬진강, 한강 유역별로 각각 4개씩 20개의 보건진료소를 시범 지역으로 선정하였고, 동일한 강유역 내에서 각각 4개씩 20개 보건진료소를 대조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조사에 동의한 주민을 대상으로 Formaline-ether 침전법에 의한 채변검사를 실시하였고, 간흡충 감염예방에 관한 지식 및 행태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검사 및 조사는 2010년 2월부터 3월까지, 2차검사 및 조사는 2010년 9월부터 10월에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년도에 이어 2년차에도 검사와 설문조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양성률 분석결과, 2009년도 검사결과 양성자 619명 중에서 재감염율 5.6%였으며 신규감염율 4.9%로 나타났다.
둘째, 2010년도 1차 검사결과에서 전체 양성률이 12.2% 수준으로 2006년도 토착지역 양성률 11.5%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Cho 등, 2008). 1차검사 결과 양성자로 확인된 경우 투약을 실시한 후 3개월이 된 시점에 2차 검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양성률은 6.4%로 감소하였다.
셋째, 2차검사 결과, 치료실패율이 시범지역 10.2%, 대조지역 8.1%로 나타났고, 신규양성률도 시범지역 4.7%, 대조지역 7.8%로 나타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간흡충 감염 예방에 관한 지식은 시범지역과 대조지역 모두 1차조사에 비에 2차조사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강유역중에서는 한강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문항별 정답률은 전반적으로 높아졌으나 '간흡충은 한 번 완치된 후에는 민물고기를 날로 먹어도 다시 걸리지 않는다'의 경우 정답률이 가장 낮은 문항이었다. 시범지역과 대조지역 모두 간흡충 감염 위험 행태 및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례관리 실시 후 민물고기 생식의도, 주방용기 처리, 손씻기, 생식권유 거절, 간흡충 예방 지식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간흡충 감염 고위험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보건진료소 중심의 간흡충감염 관리사업을 전국 수준으로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고, 장기간에 걸친 지속적인 사업수행과 변화추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Abstract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effect of clonorchiasis prevention program among the inhabitants living in villages along the 5 major rivers, Nakdong-gang(=river), Seomjin-gang, Youngsan-gang, Guem-gang, and Han-gang in southern Korea. From February to October 2010, a total of stool sampl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effect of clonorchiasis prevention program among the inhabitants living in villages along the 5 major rivers, Nakdong-gang(=river), Seomjin-gang, Youngsan-gang, Guem-gang, and Han-gang in southern Korea. From February to October 2010, a total of stool samples (1 sample per an inhabitant) were collected and examined by the formalin-ether sedimentation technique. Questionnaire was used to compare the change of knowledge, attitude and risk behaviors. Subjects were divided as intervention group and control group.
Among the subjects participating in two years both of 2009 and 2010, reinfection rate was 5,6% and new infection rate was 4.9%. Of the inhabitants examined in 2010, egg-positive rate of C. sinensis was 12.2% in the first survey and was decreased to 6.4% in the second survey.
Ineffective treatment rate was 10.2% in intervention group and 8.1% in control group. Newly finding rate was 4.7% in intervention group and 7.8% in control group.
At the second survey, the knowledge score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e score of the first survey. The intention of the raw fish ingestion habit change and the attitude for the habit of family and neighbors were also improved significantly.
Finally, the effect of case management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related to C.S. infection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clonorchiasis is still highly prevalent among inhabitants in the riverside areas of southern Korea,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a systematic control program in the high risk area continuously using the manual developed by this project. The longitudinal study will be need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is program.
목차 Contents
- 학술연구용역사업 최종결과보고서 ... 1
- 목차 ... 2
- I. 연구개발결과 요약문 ... 8
- 최종결과보고서 요약문 ... 8
- Summary ... 9
- II. 학술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 ... 10
- 제1장 최종 연구개발 목표 ... 10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표 ... 10
- 제2절 목표달성도 ... 13
- 제3절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 ... 13
- 제2장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 14
- 제1절 연구내용 ... 14
- 1. 연구수행체계 ... 14
- 2. 연구진행절차 ... 14
- 3. 연구내용 ... 15
- 제2절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 19
- 1. 연구대상 ... 19
- 2. 연구방법 ... 21
- 제3장 최종 연구개발 결과 ... 23
- 제1절 2009년-2010년 연속 참여자의 감염실태 변화 ... 23
- 1. 대상자의 양성률 변화 ... 23
- 2. 재감염자 및 신규감염자의 특성 ... 24
- 3. 간흡충 감염위험 행태변화 ... 26
- 제2절 2010년 간흡충 감염실태 변화 ... 27
- 1. 2010년 간흡충 양성률 변화 ... 27
- 2. 2010년 치료실패율과 신규양성률 ... 30
- 3. 시범지역과 대조지역의 간흡충 양성률 변화 비교 ... 35
- 제3절 간흡충 감염관련 지식수준 및 행태변화 ... 37
- 1. 전체 대상자 ... 37
- 2. 금강유역 ... 43
- 3. 낙동강유역 ... 48
- 4. 섬진강유역 ... 52
- 5. 영산강유역 ... 57
- 6. 한강유역 ... 63
- 제4절 간흡충 감염 양성자 사례관리 효과 ... 68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동질성 검사 ... 68
- 2. 사례관리 후 건강행태, 민물고기 생식관련 특성 및 지식 변화 ... 69
- 3. 간흡충 감염 양성자의 치료실패율 비교 ... 72
- 4. 소결 ... 73
- 제4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74
- 제1절 연구결과 고찰 ... 74
- 1. 간흡충 감염실태의 변화 ... 74
- 2. 간흡충 감염 예방 지식 및 행태의 변화 ... 75
- 3. 간흡충 감염 양성자의 사례관리 효과 ... 76
- 4. 향후 간흡충증 관리체계의 방향 ... 76
- 5. 연구의 제한점 ... 77
- 제2절 결론 ... 78
- 제5장 연구성과 ... 79
- 제1절 활용성과 ... 79
- 제2절 활용계획 ... 80
- 제6장 참고문헌 ... 81
- 부록 ... 84
- 1. 간흡충 감염양성자 사례관리 메뉴얼 ... 85
- 2. 설문지 ... 91
- 3. 보건교육자료 궤도 ... 94
- 끝페이지 ... 9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