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구책임자 |
이상일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1-12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
연구관리전문기관 |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 |
등록번호 |
TRKO201300000474 |
DB 구축일자 |
2013-05-20
|
키워드 |
건강관련 삶의 질.타당도.신뢰도.EQ-5D.SF-36v2.WHOQOL-BREF.WHOQOL-BRE.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Validity.Reliability.EQ-5D.SF-36v2.
|
초록
▼
○ 연구목적
건강관련 삶의 질(HRQO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은 건강상태와 관련된 하나의 중요한 요소로서, 2005년도부터 우리나라의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는 HRQOL 측정도구인 EQ-5D-3L을 이용하여 HRQOL을 측정하고 있음. 하지만, 우리나라의 일반인구집단을 대상으로 EQ-5D-3L과 EQ-5D-5L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한 연구가 없어 이번 연구에서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함.
○ 연구방법
2011년 4월 기준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인구를 모집단으로 하였음
○ 연구목적
건강관련 삶의 질(HRQO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은 건강상태와 관련된 하나의 중요한 요소로서, 2005년도부터 우리나라의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는 HRQOL 측정도구인 EQ-5D-3L을 이용하여 HRQOL을 측정하고 있음. 하지만, 우리나라의 일반인구집단을 대상으로 EQ-5D-3L과 EQ-5D-5L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한 연구가 없어 이번 연구에서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함.
○ 연구방법
2011년 4월 기준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인구를 모집단으로 하였음. 15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 19 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지역별, 성별, 나이별 인구구조에 따라 600명의 연구대상자를 추출하여 HRQOL을 측정하였음. 측정도구로는 두 가지 버전의 EQ-5D(EQ-5D-3L과 EQ-5D-5L)를 이용하였음. 이 두 가지 EQ-5D의 타당도 평가를 위하여 또 다른 도구인 SF-36v2, WHOQOL-BREF을 함께 이용하여 설문 조사하였음. EQ-5D의 타당도는 기존에 알려진 집단에 따른 타당도와 수렴, 판별 타당도로 평가하였음. EQ-5D-3L과 EQ-5D-5L의 비교를 위하여 천장 효과의 비교와 불일치도 크기, 그리고 각각의 정보력을 평가하였음. 연구대상자 중 100명을 다시 추출하여 재조사를 시행하였고, 조사-재조사 자료를 이용해 kappa값과 ICC를 구하여 EQ-5D의 신뢰도를 평가하였음.
○ 연구결과
여자, 고령, 낮은 가구수입의 대상자들에서 EQ-5D의 수준 2 이상으로 답한 빈도가 높았음. 운동 능력 영역은 SF-36v2의 PCS(Physical Component Score, |r |=0.46)가 MCS(Mental Component Score, |r |=0.24)보다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불안/우울 영역은 반대로 PCS(|r |=0.33)보다 MCS(|r |=0.45) 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음. 수준 2 이상으로 응답한 대상자들은 SF-36v2의 평균점수들도 낮았음. EQ-5D-3L에서 최상의 건강상태인 ‘11111’로 응답한 빈도는 65.7%이었고, EQ-5D-5L에서는 61.2%이었음. EQ-5D-3L과 EQ-5D-5L의 불일치도 크기는 영역별로 모두 1.0 이었으며 EQ-5D-5L의 Shannon index는 EQ-5D-3L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나 Shannon Evenness index는 감소하였음. 본조사와 재조사간의 영역별 kappa 값은 EQ-5D-3L, EQ-5D-5L 각각 0.32~0.64, 0.24~0.59의 범위이었고, EQ-VAS, EQ-5D-3L index, EQ-5D-5L index의 ICC는 각각 0.65, 0.61, 0.75이었음.
○ 연구결론
EQ-5D-3L, EQ-5D-5L 모두 우리나라 일반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기존에 알려진 집단에 따른 타당도와 수렴, 판별 타당도가 확인되었고, 신뢰도도 적당한 수준으로 나타나서 HRQOL 도구로서의 이용 가치가 있겠음. EQ-5D-5L은 EQ-5D-3L에 비하여 천장효과가 감소하였고, Shannon index를 이용한 정보력 측면에서도 향상되어 일반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HRQOL 조사에서 EQ-5D-5L이 EQ-5D-3L보다 좀 더 나을 것으로 판단됨. 이번 결과로 앞으로의 공공보건정책 개발 및 관리와 HRQOL 관련 연구들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함.
Abstract
▼
○ Objectives
HRQOL (Heath-relate quality of life) is an important outcome relating to the state of individual health. In the KHNANE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HRQOL of Korean people has been measured by EQ-5D-3L which is one of instruments for measuring HRQOL sinc
○ Objectives
HRQOL (Heath-relate quality of life) is an important outcome relating to the state of individual health. In the KHNANE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HRQOL of Korean people has been measured by EQ-5D-3L which is one of instruments for measuring HRQOL since 2005. Because there have been, however, no report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in measuring HRQOL of general Korean population using EQ-5D-3L or EQ-5D-5L, we intend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Q-5D-3L and EQ-5D-5L.
○ Methods
Six hundred people over 19 in 15 provinces were sampled in accordance with population structure by region, sex, and age based on the Korean Resident Registration. Then, HRQOL of them was measured with EQ-5D, SF-36v2 and WHOQOL-BREF. The known-group validity,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demonstrated for validation of EQ-5D. For the comparison between EQ-5D-3L and EQ-5D-5L, the ceiling effect, size of inconsistency, and informativity of them were measured. After sampling 100 in 600 people, we measured again HRQOL of them to demonstrate the reliability of EQ-5D using kappa value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 Results
The frequency of people who answered with level 2 or more was higher in female, older people, and low-income group. In the dimension of ‘mobil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PCS(physical component score) of the SF-36v2 was higher than that of MCS, and the reverse happened in dimension of ‘anxiety/depression’. The frequency of people who answered with ‘11111’ which meant the optimal health was 65.7% and 61.2% in the EQ-5D-3L and EQ-5D-5L, respectively. The sizes of inconsistency between EQ-5D-3L and EQ-5D-5L were 1.0 in the all dimensions. The Shannon index of EQ-5D-5L increased compared to EQ-5D-3L, while Shannon Evenness indexes of two measures were not different. The kappa value of EQ-5D-3L and EQ-5D-5L in dimensions between test and retest was 032~0.64 and 0.24~0.59 respectively, and the ICCs of EQ-VAS, EQ-5D-3L index, and EQ-5D-5L index were 0.65, 0.61, and 0.75, respectively.
○ Conclusions
EQ-5D-3L and EQ-5D-5L were useful as an instrument of measuring HRQOL of general Korean population, because the known-group validity,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as demonstrated and the reliability was moderate. The EQ-5D-5L was considered to be better than EQ-5D-3L because of its lower ceiling effect and better informativity in terms of Shannon index. Our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to future HRQOL related public health policy makings or researches using EQ-5D.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목차 ... 4
- 표차례 ... 6
- 그림차례 ... 8
- I. 연구개발결과 요약문 ... 9
- (한글) ... 9
- (영문) ... 11
- II. 학술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 ... 8
- 제1장 최종 연구개발 목표 ... 8
- 1.1 연구목적 및 필요성 ... 13
- 가. 연구의 필요성 ... 13
- 나. 연구목적 ... 14
- 다. 연구수행체계 ... 14
- 1.2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 대한 기여도 ... 14
- 1.3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15
- 제2장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 17
- 2.1 설문조사 연구방법 ... 17
- 가. 연구대상 및 표본 추출 방법 ... 17
- 나. 설문조사 ... 18
- 다. 분석방법 ... 19
- 2.2 건강관련 삶의 측정도구 ... 25
- 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개념 ... 25
- 나.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 ... 26
- 다. 일반적 삶의 질 측정도구 ... 27
- 2.3 외국의 인구집단대상 삶의 질 평가 현황 ... 33
- 제3장 최종 연구개발 결과 ... 39
- 3.1 설문조사 응답자 특성 ... 39
- 3.2 EQ-5D 조사결과 ... 40
- 3.3 EQ-5D-3L의 타당도 분석 ... 42
- 3.4 EQ-5D-5L의 타당도 분석 ... 51
- 3.5 EQ-5D-3L과 EQ-5D-5L의 비교 ... 58
- 3.6 SF-12의 타당도 분석 ... 61
- 3.7 신뢰도 분석 ... 62
- 제4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68
- 4.1 연구결과 고찰 ... 68
- 4.2 결론 및 제언 ... 80
- 제5장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 81
-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 83
- 제7장 연구비 사용 내역 ... 84
- 제8장 참고문헌 ... 85
- 부록 ... 89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