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R&D연구보고서]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제의 개발
Drug development for the prevention and cure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뉴로테크(주)
연구책임자 조성익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3-12
과제시작연도 2002
주관부처 보건복지부
연구관리전문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등록번호 TRKO201300001467
과제고유번호 1460000460
사업명 보건의료기술개발사업
DB 구축일자 2013-05-20
키워드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Neu2000.riluzole.Antioxidant.anti-excitotoxicity.ALS.hCu.ZnSOD1(G93A) mice.

초록

(1)연구배경 및 필요성
근위축성축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는 10만명중 5명의 비율로 많은 사람들이 이병으로 고통받고 있고, 한 가족이 매년 20만불의 의료비용을

감수해야하는 만성 퇴행성 신경계질환의 하나이다. 주로 lower motor neuron에 서 시작하여 점차 upper motor neuron의 손상으로 진행되며, 대뇌피질, 뇌간,

척수의 운동신경세포의 손상을 동반하고, 근위축, 호흡근력약화 및 섬유소성 연축이 서서히 진행되어 처음 관찰된지 2-5년안

Abstract

(1) Background of this study: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is a fatal neurodegenerative diseases occuring 5 persons per 100, 000 people since about 50 % of ALS patients usually die 3-4 years after the diagosis. Riluzole is an only clinically available drug approved by FDA of which mechanisms are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목차 ... 4
  • I. 연구개발결과 요약문 ... 5
  • 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 요약문 ... 5
  • Project Summary ... 6
  • II.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7
  • 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7
  • 2.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결과 ... 18
  • 3.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31
  • 참고문헌 ... 33
  • 4.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 ... 33
  • 5. 총괄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 ... 34
  • 6. 첨부서류 ... 36
  • III. 제1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근위축성 측상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제의 개발 ... 39
  • 1.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40
  • 2.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 40
  • 3.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 ... 40
  • 4.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40
  • 5.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 ... 41
  • 6.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 ... 42
  • 7. 참고문헌 ... 4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