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할해역 해양정보 공동활용체계 구축 기획연구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주)케이엘넷
KL-Net Co.,Ltd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05
과제시작연도 2011
주관부처 국토교통부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등록번호 TRKO201300002447
과제고유번호 1615002468
사업명 해양연구기획
DB 구축일자 2013-05-20
키워드 해양정보.자료통합관리.정보공동활용.빅데이터.클라우드.Oceanographic Information.Integrated Data Management.Information Sharing.Big Data.Cloud.

초록

가. 연구의 범위
○ 국가해양 공동 활용 정보의 수집, 저장, 가공에 대한 유연성, 표준성, 확장성, 접근성을 보장하는 해양자료 통합관리 체계 연구
○ 종합적인 고품질 국가해양 정보의 관리․활용을 위한 분야별 자료 검증 및 운영 체계 연구
○ 원하는 국가해양 정보를 원하는 시점에,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정보 통합 활용 체계 연구
○ 시공간을 초월하는 정보기술을 사용, 다양한 매체와 다양한 형태의 One-Stop 정보서비스 제공 체계 연구
나. 연구 내용
○ 현황 조사 및 분석, 해양정보 관리기관의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보고서 요약서 ... 3
  • 요약서 ... 4
  • 목차 ... 9
  • 제 1 장 연구 개요 ... 17
  • 1. 연구의 배경 ... 17
  •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8
  • 3. 연구의 범위, 내용 및 진행절차 ... 21
  • 3.1 연구의 범위 ... 21
  • 3.2 연구 내용 ... 22
  • 가. 현황조사 및 분석 ... 22
  • 나. 해양정보 관리기관의 위계, 기능 및 역할 정립 ... 22
  • 다. 해양정보 관리기관 운영계획(안) 작성 ... 22
  • 라. '운영계획'의 실천전략과 세부과제 제안 ... 23
  • 3.3 연구 진행 절차 ... 23
  • 4. 연구의 방법 및 방향성 ... 24
  • 4.1 연구의 방법 ... 24
  • 4.2 연구과제의 방향성 ... 25
  • 가. 용어의 정의 ... 25
  • 나. 정보수집 대상 ... 30
  • 다. 정보활용 대상 및 통합정보센터 정보제공 범위 ... 30
  • 5. 연구 기간 ... 30
  • 제 2 장 환경 및 현황분석 ... 31
  • 제1절 분석 개요 ... 31
  • 1. 분석 목적 ... 31
  • 2. 분석 방향성 ... 31
  • 3. 고려사항 및 전제조건 ... 31
  • 4. 분석 범위 및 절차 ... 32
  • 4.1 분석 범위 ... 32
  • 4.2 분석 절차 ... 33
  • 제2절 국내외 해양정보 현황 ... 34
  • 1. 개요 ... 34
  • 1.1 국내 기관별 해양정보 현황 ... 34
  • 1.2 국내 해양정보 분석 대상 ... 35
  • 2. 국내 해양정보시스템 운영 현황 ... 37
  • 2.1 국토해양부 운영 시스템 ... 37
  • 2.2 국립해양조사원(KHOA) ... 51
  • 2.3 해양경찰청 ... 63
  • 2.4 국토지리정보원 ... 65
  • 2.5 기상청(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68
  • 2.6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KIMST) ... 71
  • 2.7 한국해양연구원 ... 73
  • 2.8 국립수산과학원 ... 78
  • 2.9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 96
  • 2.10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 102
  • 2.11 해양수산연구정보센터(KOSFIC) ... 103
  • 2.12 해양환경관리공단(KOEM) ... 105
  • 2.13 한국수산자원사업단 ... 108
  • 2.14 해양 관련 대학 ... 110
  • 2.15 국내 해양정보 현황 분석 소결 ... 110
  • 3. 타 분야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사례 ... 123
  • 3.1 기상정보 공동이용시스템 ... 123
  • 3.2 국가생명자원연구통합센터 ... 125
  • 4. 국외 해양정보 공동활용 시스템 현황 ... 128
  • 4.1 데이터 서비스 현황 ... 128
  • 가. 세계해양데이터베이스 (WOD, World Ocean Database) ... 128
  • 나. IODE : IOC 해양데이터 교환기구 ... 130
  • 다. ARGO 국제자료취합센터(GDAC, Global Data Assembly Center) ... 133
  • 라. MEDS(Marine Environmental Data Service) ... 134
  • 마. JODC(Japan Oceanographic Data Center) ... 135
  • 바. AODC(Australian Oceanographic Data Center) ... 138
  • 사. NEAR-GOOS ... 138
  • 아. JCOMM ... 139
  • 자. 해양생물지리정보시스템(OBIS) ... 140
  • 차. 인공위성 해면고도자료 서비스 - AVISO ... 140
  • 4.2 해양정보 유통 현황 ... 141
  • 가. 유통 모델 ... 141
  • 나. 유통모델 유형별 특징 ... 143
  • 다. 국가별 유통체계 ... 144
  • 제3절 해양정보 관련 기술 및 정보화 동향 ... 148
  • 1. 해양GIS 포털시스템 ... 148
  • 1.1 해양GIS 포털 개요 ... 148
  • 1.2 해양 GIS포탈 시스템 문제 ... 151
  • 2. 해양정보 표준화 ... 152
  • 2.1 표준화 프로세스 정립 ... 152
  • 2.2 해양과학정보 표준화 공통사항 추출 및 내용 ... 155
  • 2.3 해양과학정보의 범위 ... 156
  • 2.4 해양과학정보의 공통사항 추출 ... 157
  • 2.5 해양과학정보의 포맷 표준화 ... 167
  • 2.6 해양과학데이터 및 표준 현황조사 ... 168
  • 2.7 국내 해양과학 데이터 현황 ... 172
  • 2.8 해양과학 데이터 표준화 선행연구 ... 184
  • 2.9 요약 및 시사점 ... 185
  • 3. 해양 RD 현황 ... 186
  • 3.1 최근 5년간 해양 RD 사업별 투자현황 ... 187
  • 3.2 해양RD 성과 현황 ... 188
  • 3.3 국가 연구개발사업 성과관리ㆍ활용 현황 ... 192
  • 3.4 해양 RD 성과관리 . 활용체계 개선방안 ... 194
  • 4. 정보화 주요 트렌드 ... 201
  • 4.1 빅데이터(Big Dat) ... 201
  • 4.2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 204
  • 4.3 소셜컴퓨팅(Social Computing) ... 206
  • 4.4 소결 ... 206
  • 5. 해양정보 분야별 전문가 인터뷰 ... 208
  • 5.1 인터뷰 목적 및 방법 ... 208
  • 5.2 설문지 구성 ... 208
  • 5.3 인터뷰 결과 ... 209
  • 5.4 전문가 인터뷰 총론 ... 212
  • 제4절 분석 결과 및 실행방안 ... 214
  • 1. SWOTㆍCSF 분석 결과 ... 214
  • 1.1 SWOT 분석 ... 214
  • 1.2 CSF/CIR 연관성 분석 ... 217
  • 2. 해양정보 현황 분석 결과 ... 219
  • 2.1 과학데이터의 생산 특성 ... 219
  • 2.2 해양정보 공개 현황 ... 220
  • 3. 해양정보 관리의 시사점 ... 221
  • 3.1 데이터의 관리 미흡과 유실 ... 221
  • 3.2 데이터 목록과 저장소의 부재 ... 222
  • 3.3 데이터 공유 제도의 부재 ... 222
  • 3.4 표준화된 메타데이터 ... 223
  • 3.5 해양정보 공유 및 재활용의 필요성 ... 223
  • 3.6 유사 시스템이 활성화되지 못한 원인 ... 224
  • 3.7 결론 ... 229
  • 4. 해양정보 활용에 관한 기준 ... 230
  • 4.1 개요 ... 230
  • 4.2 해양정보 공동활용체계 구현 방향 ... 230
  • 4.3 해양정보 관리에 대한 제언 ... 232
  • 5. 해양정보 관리를 위한 실행과제 ... 232
  • 5.1 해양정보 관리 및 유통을 위한 정책 수립 및 시행 ... 232
  • 5.2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233
  • 제 3 장 해양정보 공동활용체계 구축 방안 ... 235
  • 제1절 해양정보 공동활용체계 미래모델 구성 ... 235
  • 1. 해양정보 공동활용체계 미래모델 ... 235
  • 1.1 미래모델 수립의 필요성 및 구성 ... 235
  • 1.2 추진 전략 ... 241
  • 1.3 추진체계 ... 242
  • 1.4 작성 절차 ... 243
  • 1.5 추진 방안 ... 244
  • 1.6 이행 계획 ... 250
  • 1.7 기대효과 ... 251
  • 2. 분야별 로드맵 수립 ... 253
  • 2.1 해양분야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플랫폼 연구 개발 ... 253
  • 2.2 해양데이터 표출을 위한 업무지원체계 연구 및 개발 ... 260
  • 2.3 해양정보 공동활용을 위한 표준 및 법ㆍ제도화 연구 ... 266
  • 2.4 해양정보 공동활용 인프라 구축 방안 연구 및 개발 ... 276
  • 3. 예상 소요 비용 ... 280
  • 제2절 관련제도 개선방안 ... 282
  • 1. 법률 및 제도 검토 ... 282
  • 1.1 배경 ... 282
  • 1.2 해양관련 법ㆍ제도상의 문제점 ... 283
  • 1.3 법 제도 개선 방안 ... 284
  • 1.4 법 개정 및 대안 ... 289
  • 2. 정보 활용 규정 ... 291
  • 2.1 해양정보 제공 범위 ... 291
  • 2.2 정보관리 방안 ... 292
  • 제3절 해양정보 공동활용체계 역할 및 위상정립방안 ... 297
  • 1. 운영 주체 검토 ... 297
  • 1.1 운영주체별 특징 ... 297
  • 1.2 센터 운영 주요 업무 ... 298
  • 1.3 센터 관리체계 ... 298
  • 1.4 관리체계 방법론 적용 방안 ... 302
  • 2. 센터 운영 관리 ... 303
  • 2.1 센터 운영 관리 구조 ... 303
  • 2.2 운영관리별 주요 업무 ... 305
  • 2.3 주요 관리 인력별 역할 ... 307
  • 2.4 업무영역 간의 연관관계 ... 308
  • 2.5 민관의 역할분담 ... 309
  • 제4절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310
  • 1.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방안 ... 310
  • 1.1 해양 관련 연구자 ... 310
  • 1.2 행정 및 특수업무용 ... 311
  • 1.3 기업, 대학 및 시민 해양정보 제공 서비스 ... 311
  • 2. 해양정보 공동활용체계 활용예시 및 도입전후 비교 ... 312
  • 2.1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책 프로세스 혁신 ... 312
  • 2.2 해양정보 공동활용체계 도입 전ㆍ후 비교 ... 313
  • 제 4 장 타당성 검토 및 결론 ... 315
  • 제1절 타당성 검토 ... 315
  • 1. 타당성 검토 개요 ... 315
  • 1.1 타당성 검토 절차 ... 315
  • 1.2 타당성 분석 분야 및 절차 ... 315
  • 제2절 정책ㆍ기술ㆍ경제적 타당성 검토 ... 318
  • 1. 정책적 타당성 검토 ... 318
  • 1.1 개요 ... 318
  • 1.2 정부 상위계획과의 부합성 검토 ... 318
  • 1.3 정부상위계획과의 부합성 ... 323
  • 1.4 정부지원의 필요성 ... 324
  • 1.5 수행의 필요성 및 시급성 ... 325
  • 1.6 위협요인 및 대응 방안 검토 ... 326
  • 1.7 정책적 타당성 종합분석 ... 328
  • 2. 기술적 타당성 검토 ... 329
  • 2.1 기존 연구 사업과의 중복 및 연계성 ... 329
  • 2.2 기술개발의 성공 가능성 ... 330
  • 2.3 기술개발 위협요인 검토 ... 331
  • 3. 경제적 타당성 검토 ... 333
  • 3.1 개요 ... 333
  • 3.2 지표설정 추정방법 ... 333
  • 3.3 운영비 추정 ... 336
  • 4. 편익추정 ... 338
  • 4.1 분석방법 ... 338
  • 4.2 편익추정 결과 ... 338
  • 5. 경제성 분석 결과 ... 342
  • 제3절 연구성과지표 ... 344
  • 1. 성과지표 개요 ... 344
  • 1.1 성과지표의 목적 ... 344
  • 1.2 성과지표의 구성 ... 344
  • 2. 성과지표 분류 ... 344
  • 2.1 정성적 성과 지표 ... 344
  • 2.2 정량적 성과지표 ... 345
  • 3. 성과지표별 성과목표 ... 346
  • 4. 평가시기 및 방법 ... 347
  • 5. 성과평가 기준 ... 347
  • 제4절 결론 및 정책 제언 ... 349
  • 1. 결론 ... 349
  • 2. 정책제언 ... 351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