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핵종 이동 특성 규명
Investigation on Nuclide Migration Behavior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원자력연구원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보고서유형2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02
과제시작연도 2011
주관부처 교육과학기술부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MEST)
등록번호 TRKO201300013465
과제고유번호 1345149064
사업명 원자력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3-08-26
키워드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핵종이동 및 지연.지화학반응.수착.미생물.콜로이드.지하처분연구시설(KURT).암반확산 및 확산깊이.High-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Nuclide migration and retardation.Geochemical reactions.Sorption.Microbes.Colloid.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 (KURT).Rock matrix diffusion and diffusion depth.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300013465

초록

III.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현재 당 대과제에서 개발중인 A-KRS에 입각한 처분개념을 위하여 파이로과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들의 특성을 조사하고, 이들의 용출 특성을 사용후핵연료와 유리고화체의 특성과 비교하여 보았다.
연구원 내 심부 처분환경을 대체하는 지하연구시설(KURT)의 심부지하수와 화강암을 이용하여 고준위 핵종들(U, Th, Np, Am)과 고이동성핵종들(I, Se, Tc)에 대한 지화학반응(예, 용해도 및 화학종) 및 수착특성을 규명함으로서 안전성 평가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pH, Eh, 이온강

Abstract

III. Scope and Contents
The characteristics of wastes produced from pyro-processing are investigated for a disposal concept on the basis of A-KRS which is recently developing in our department, and their dissolution behaviors are compared with those of spent fuel and glass wastes.
The geochemi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보고서 요약서 ... 4
  • 요약문 ... 5
  • SUMMARY ... 14
  • CONTENTS ... 26
  • 목차 ... 33
  • 표 목차 ... 39
  • 그림 목차 ... 47
  •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68
  • 제 1 절 연구개발 배경 ... 68
  • 제 2 절 국내외 연구 환경 변화 ... 71
  • 1. 국외의 연구 환경 변화 ... 71
  • 2. 국내의 연구 환경 변화 ... 73
  • 제 3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 74
  • 1. 기술적 측면 ... 74
  • 2. 경제·산업적 측면 ... 75
  • 3. 사회·문화적 측면 ... 76
  • 제 4 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76
  • 1. 연구개발 목표 ... 76
  • 2. 주요 연구개발 내용 ... 77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83
  • 제 1 절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83
  • 1. 파이로폐기물 용출 특성 조사 분석 ... 83
  • 2. 심부 처분환경에서 고준위핵종들의 지화학반응 및 수착 특성 규명 ... 84
  • 3. 심부 처분환경에서 고이동성 핵종들의 지화학반응 및 수착 특성 규명 ... 91
  • 4. 처분안전성 평가를 위한 지화학반응 및 수착 D/B 구축 ... 95
  • 5. 암반을 통한 핵종 확산 깊이 측정 및 확산 특성 평가 ... 96
  • 6. 심부 처분환경에서 미생물 영향 평가 ... 97
  • 7. 지하연구시설(KURT)에서 핵종이동 및 지연특성 규명 ... 101
  • 8. 국내외 지하연구시설에서 콜로이드 이동 특성 규명 ... 103
  • 제 2 절 현기술 상태의 취약성 및 수준 ... 108
  • 제 3 절 앞으로의 전망 ... 111
  •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113
  • 제 1 절 파이로폐기물의 용출 특성 조사 분석 ... 113
  • 1. 연구 개요 ... 113
  • 2. 파이로폐기물 ... 115
  • 3. 고화체 및 사용후핵연료의 용출률 비교 ... 120
  • 4. 향후 고화체 용출시험을 위한 계획 ... 122
  • 제 2 절 심부처분환경에서 고준위핵종들의 지화학반응 특성 규명 ... 123
  • 1. 연구 개요 ... 123
  • 2. 실험시설 및 장치 ... 125
  • 3. 악틴족 원소의 용해도 및 주 용해 화학종 ... 130
  • 4. 결과 요약 ... 160
  • 제 3 절 심부처분환경에서 고준위핵종들의 수착 특성 규명 ... 162
  • 1. 연구 개요 ... 162
  • 2. KURT 화강암에 대한 고준위핵종들의 수착 특성 ... 165
  • 3. 화강암의 핵종 수착에 대한 열역학적 수착모델 적용 ... 185
  • 4. 결과 요약 ... 210
  • 제 4 절 심부처분환경에서 고이동성핵종들의 지화학반응 특성 규명 ... 212
  • 1. 연구 개요 ... 212
  • 2. 실험 및 계산 ... 213
  • 3. 고이동성핵종들의 용해도와 주요 화학종 ... 218
  • 4. 결과요약 ... 224
  • 제 5 절 심부처분환경에서 고이동성핵종들의 수착 특성 규명 ... 225
  • 1. 연구 개요 ... 225
  • 2. 고이동성핵종들의 특성 ... 226
  • 3. KURT 화강암에 대한 고이동성 핵종들의 수착특성 ... 228
  • 4. 철과 그 화합물에 의한 셀레늄의 수착 ... 239
  • 5. 결과 요약 ... 257
  • 제 6 절 처분 안전성평가를 위한 지화학반응 및 수착 D/B 구축 ... 259
  • 1. 연구 개요 ... 259
  • 2. 지화학반응 D/B 구축 ... 262
  • 3. 수착 D/B 구축 ... 316
  • 4. 결과 요약 ... 341
  • 제 7 절 암반을 통한 핵종확산 깊이 측정 및 확산특성 평가 ... 343
  • 1. 연구 개요 ... 343
  • 2. 실험 대상 암석 및 기초 물성 측정 ... 345
  • 3. 실험장비 설치 및 확산실험 ... 348
  • 4. 자기방사분석 ... 356
  • 5. 순차적 화학추출 ... 363
  • 6. 확산계수 결정 ... 382
  • 7. 실험결과 요약 및 결론 ... 388
  • 제 8 절 심부처분환경에서 핵종/광물/미생물 복합반응 특성 규명 ... 389
  • 1. 연구 개요 ... 389
  • 2. KURT 미생물 특성 분석 ... 403
  • 3. 광물/미생물 복합 반응 특성 ... 421
  • 4. 핵종의 생광물화(biomineralization) 반응 ... 437
  • 5. 핵종-미생물 산화/환원 반응 ... 473
  • 6. 결과 요약 ... 499
  • 제 9 절 처분환경에서 환원미생물 특성 규명 ... 501
  • 1. KURT 미생물과 핵종과의 반응 특성 ... 501
  • 2. KURT 미생물에 의한 지하수의 산화/환원전위 변화 ... 526
  • 3. 맥키나와이트 용해반응 특성 ... 529
  • 4. A-KRS 용기부식에 있어서 SRB 미생물의 영향 ... 531
  • 5. 결과 요약 ... 534
  • 제 10 절 핵종/미생물 복합 이동 특성 규명 ... 537
  • 1. 연구개요 ... 537
  • 2. 핵종-미생물-화강암 상호 복합반응 ... 538
  • 3. 콜로이드로써 미생물의 영향 ... 549
  • 4. 생물막으로써 미생물의 영향 ... 559
  • 5. 단일 균열암반에서 핵종/미생물 복합이동 수치모델 개발 ... 564
  • 6. 결과 요약 ... 616
  • 제 11 절 지하연구시설(KURT)에서 핵종 이동 및 지연특성 규명 ... 618
  • 1. 연구 개요 ... 618
  • 2. 현장 용질이동 시스템 설치 및 운전 ... 621
  • 3. 시험공 시추 및 단열특성 파악 ... 650
  • 4. 현장 용질이동 실험 ... 676
  • 5. 결과 요약 ... 710
  • 제 12 절 KURT에서 지하수 콜로이드 특성 규명 ... 712
  • 1. 연구 개요 ... 712
  • 2. KURT 지하수 채취 및 농축 ... 720
  • 3. KURT 지하수 콜로이드 기초 특성 분석 ... 729
  • 4. LIBD를 이용한 KURT 지하수 콜로이드 특성 분석 ... 737
  • 5. 결과 요약 ... 757
  • 제 13 절 지하연구시설(KURT)에서 콜로이드 이동 특성 규명 및 이동모델 검증 ... 760
  • 1. 연구 개요 ... 760
  • 2. 현장 콜로이드 이동 실험 장치 설치 및 운전 ... 761
  • 3. 시험공 시추 및 단열특성 파악 ... 771
  • 4. 현장 콜로이드 이동 실험 ... 778
  • 5. 추적자 및 콜로이드 이동 특성 규명을 위한 균열망 이동모델 개발 및 평가 ... 783
  • 6. 결과 요약 ... 792
  • 제 14 절 해외 지하연구시설에서 콜로이드 형성 및 이동 실증 ... 794
  • 1. 연구 개요 ... 794
  • 2. 핵종 및 콜로이드 이동 특성 ... 799
  • 3. 해외 지하처분연구시설 및 연구 현황 ... 805
  • 4. 핵종 및 콜로이드 이동 관련 국제공동연구 참여 타당성 분석 ... 829
  • 5. GTS에서 콜로이드 형성 및 이동(CFM) 국제공동연구 ... 849
  • 6. CFM 국제공동연구 추진 현황 ... 873
  • 7. 결과요약 및 결론 ... 890
  • 제 15 절 결론 및 제언 ... 892
  •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894
  • 제 1 절 목표달성도 ... 894
  • 1. 파이로폐기물 용출 특성 조사 분석 ... 894
  • 2. 심부처분환경에서 고준위핵종들의 지화학반응 및 수착특성 규명 ... 894
  • 3. 심부처분환경에서 고이동성 핵종들의 지화학반응 및 수착특성 규명 ... 895
  • 4. 처분 안전성평가를 위한 지화학반응 및 수착 D/B 구축 ... 895
  • 5. 암반을 통한 핵종확산 깊이 측정 및 확산특성 평가 ... 896
  • 6. 심부 처분환경에서 미생물 영향 평가 ... 896
  • 7. 지하연구시설(KURT)에서 핵종 이동 및 지연 특성 규명 ... 897
  • 8. 국내외 지하연구시설에서 콜로이드 이동 특성 규명 ... 897
  • 제 2 절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901
  • 1. 파이로폐기물 용출 특성 조사 분석 ... 901
  • 2. 심부처분환경에서 고준위핵종들의 지화학반응 및 수착특성 규명 ... 901
  • 3. 심부처분환경에서 이동성 핵종들의 지화학반응 및 수착특성 규명 ... 902
  • 4. 처분 안전성평가를 위한 지화학반응 및 수착 D/B 구축 ... 902
  • 5. 암반을 통한 핵종확산 깊이 측정 및 확산특성 평가 ... 902
  • 6. 심부 처분환경에서 미생물 영향 평가 ... 903
  • 7. 지하연구시설(KURT)에서 핵종 이동 및 지연특성 규명 ... 903
  • 8. 국내외 지하연구시설에서 콜로이드 이동 특성 규명 ... 904
  •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905
  •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906
  • 제 7 장 연구시설ㆍ장비 현황 ... 909
  • 1. LIBD용 ND:YAG 레이저 ... 909
  • 제 8 장 참고문헌 ... 910
  • 첨부 1. CFM Project Phase II의 공동연구 협약서 ... 961
  • 서지정보양식 ... 971
  • BIBLIOGRAPHIC INFORMATION SHEET ... 97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