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북아 협력시대의 한반도 서해안권 종합발전 구상 - 산업입지 및 교통인프라 개발을 중심으로 -
The vision and strategies for the 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 focusing on industrial area and infrastructure development -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국토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0-12
과제시작연도 2010
주관부처 국토교통부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등록번호 TRKO201300015615
과제고유번호 1105004005
사업명 경제(국토연구원)
DB 구축일자 2013-10-26
키워드 한반도.북한.남북경제통합.초국경 협력.Korea Peninsula.North Korea.Inter-Korean Economic Integration.Cross-Border Cooperation.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300015615

초록

제1장 서론
세계화(globalization) 와 지역화(regionalization) 의 흐름 속에 '초국경 협력(cross-border cooperation)'이 지역발전의 새로운 아젠다(agenda)로 부각되고 있다. 국가간 도시와 지역의 연대와 협력이 확대, 심화되고 있는 초국경 협력시대를 맞아 보다 적극적인 우리의 국토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초국경 협력시대에 한반도 서해안지역의 지경학적 의미가 더욱 커지고 있다. 중국 경제의 급성장과 한중간, 북중간 경제협력의 확대로 한반도내에서도 서해안지역의 발전이 큰 의미

Abstract

With the trend of globalization and regionalization, the meaning of supra-region development and cross-border cooperation become important. Many experts in Northeast Asia have discussed how to promote cross-border cooperation in the past decades. However, cross-border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i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구진 ... 4
  • 발간사 ... 5
  • 요약 ... 7
  • 차례 ... 33
  • 표차례 ... 37
  • 그림차례 ... 41
  • 1 서 론 ... 45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45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6
  • 1) 연구의 범위 ... 46
  • 2) 연구의 방법 ... 49
  •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 51
  • 4. 연구의 체계와 흐름 ... 52
  • 2 초국경 협력의 개념과 사례 ... 55
  • 1. 초국경 협력의 개념과 의미 ... 55
  • 1) 기본 개념 ... 55
  • 2) 초국경 협력이 한반도에 갖는 의미 ... 56
  • 2. 초국경 협력의 사례 및 시사점 ... 58
  • 1) 독일·폴란드 초국경 협력 사례 ... 58
  • 2) 유럽 초국경 협력 사례 ... 61
  • 3) 동아시아의 초국경 협력 사례 ... 72
  • 4) 외국사례의 시사점 ... 80
  • 3. 소결 ... 80
  • 3 한반도 서해안권의 발전 잠재력 ... 83
  • 1. 한반도 서해안권의 현황 ... 83
  • 1) 북한 서해안권 현황 ... 83
  • 2) 남한 서해안권 현황 ... 86
  • 2. 동북아 여건변화 동향과 주요 국가의 동북아 전략 ... 89
  • 1) 동북아 경제권의 성장 ... 89
  • 2) 동북아 주요 국가의 관련 개발전략 ... 93
  • 3. 한반도 서해안권의 지경학적 잠재력 ... 116
  • 1) 한반도 서해안권의 지경학적 강점과 약점 ... 116
  • 2) 한반도 서해안권의 기회와 도전 ... 120
  • 4. 한반도 서해안권의 산업 및 인프라협력 잠재력 분석 ... 128
  • 1) 산업협력 잠재력 ... 128
  • 2) 교통인프라협력 잠재력 ... 165
  • 5. 소결 ... 189
  • 4 한반도 서해안권의 종합발전 구상 ... 191
  • 1. 한반도 서해안권의 발전 방향 ... 191
  • 1) 북한과 중국의 입장에서 바라본 한반도 서해안권의 미래상 ... 191
  • 2) 한반도 서해안권의 발전방향과 공간적 발전구도 ... 195
  • 2. 한반도 서해안권 발전 전략 ... 203
  • 1) 수도권을 중심을 '범 경기만권 경제협력지대' 육성 ... 204
  • 2) 신의주, 남포 '동북아 경제특구' 개발 ... 218
  • 3) '초국경 협력지대(cross-border cooperation region)'로서 압록강 유역 공동개발 ... 231
  • 4) 한반도 서해안 남북통합교통물류네트워크 구축 ... 235
  • 5) 환황해 통합교통물류네트워크 구축 ... 245
  • 6) 2030년 한반도 서해안권의 미래상 ... 251
  • 3. 한반도 서해안권 개발의 경제적 효과 ... 253
  • 1) 경제적 효과 분석대상 및 분석방법 ... 253
  • 2) 투자계획 ... 257
  • 3) 특구 생산액 추정 결과 ... 258
  • 4) 경제적 효과 분석 결과 ... 260
  • 5) 주요 전략이 주변국에 가져 올 긍정적 효과 ... 265
  • 4. 현상유지적 상황하에서의 발전 전략 ... 267
  • 5. 소결 ... 268
  • 5 한반도 서해안권의 종합발전을 위한 추진체계 ... 269
  • 1. 한반도 서해안권의 종합발전 추진의 제약요소 ... 269
  • 1) 남북차원의 제약요소 ... 269
  • 2) 초국경 협력 측면의 제약요소 ... 270
  • 2. 한반도 서해안권의 종합발전을 위한 국제협력의 기본 구도 ... 271
  • 3. 국제협력체제의 구축방안 ... 272
  • 1) 정부간 '환황해경제협력체(가칭)'구축 및 협력 우선순위 선정 ... 273
  • 2) 정부간 '환황해경제협력체(가칭)'를 통한 국제민간자본의 참여 유도 ... 275
  • 4. 우리 정부의 역할과 과제 ... 277
  • 1) 중단기(2011-2020) 과제 ... 277
  • 2) 장기(2021-2030) 과제 ... 277
  • 5. 소결 ... 279
  • 6 결론 및 정책 제언 ... 281
  • 1. 본 연구의 기대효과 ... 281
  • 2. 연구의 특징과 한계 ... 282
  • 1) 연구의 특징 ... 282
  •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 282
  • 3. 정책 건의 ... 283
  • 4. 맺음말 ... 284
  • 참고문헌 ... 287
  • SUMMARY ... 293
  • 부록 ... 299
  • 부록 1. 국내 전문가 설문 결과 ... 299
  • 부록 2. 국제워크샵 결과 ... 304
  • 끝페이지 ... 31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