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너지 재료 신뢰성 측정기술 개발
Development of Measurement Technology for Reliability of Energy Material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연구책임자 남승훈
참여연구자 강전홍 , 구자용 , 김경중 , 김대현 , 김동진 , 김영헌 , 김용성 , 김용일 , 김원동 , 김정원 , 김종집 , 김창수 , 남승훈 , 노삼규 , 노지영 , 류현 , 문창연 , 박동우 , 박선화 , 박종서 , 방건웅 , 백운봉 , 빈석민 , 서언미 , 송재용 , 신정호 , 신호선 , 안흥배 , 엄대진 , 유광민 , 유권상 , 유병윤 , 이상준 , 이석철 , 이승미 , 이승우 , 이우 , 이윤희 , 이인호 , 이해무 , 전성기 , 전현구 , 정인현 , 조성재 , 주재용 , 추민철 , 탁내형 , 하재두 , 한상수 , 한임식 , 한준희 , 허용학 , 홍성구 , 황찬용
보고서유형1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10
과제시작연도 2012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KA
사업 관리 기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등록번호 TRKO201300031650
과제고유번호 1345196026
DB 구축일자 2013-12-21
키워드 재료측정,수소취화,나노소재,특성평가,신뢰성,나노측정,기준물,측정절차서,열전특성,화합물 반도체,스핀양자점material metrology,hydrogen embrittlement,nano material,characteristics evaluation,reliability,nano-metrology,reference material,measurement procedure,thermoelectricity,compound semiconductor,spin-quantum dot

초록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1. 수소의 안전한 저장/이용을 위한 수소 인프라 안전측정기술 개발
- 수소 환경 하 정적 역학특성 측정 기술 개발
- 고압용 수소가스 인프라의 신뢰성 측정 기술 개발
- 수소의 금속침투 및 분포 측정 기술 개발
2. 첨단측정기술개발 및 재료측정표준확립
- 첨단 소재 두께 측정법 개발
- 다원합금 박막 조성분석법 개발
- 전산란을 이용한 국소구조 측정 기술 개발
- 초음파집속을 이용한 나노입자 분산기술 개발(25 nm 급 TiO2 po

Abstract

Ⅲ. Contents and Scope
1. Development of safety measurement technology for hydrogen energy
- Study on the effect of highly pressurized hydrogen gas on tensile properties of low alloy steels used for CNG storage vessels.
- Study on hydrogen embrittlement for stainless 316L steel at high press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보고서 요약서 ... 5
  • 요약문 ... 7
  • SUMMARY ... 13
  • CONTENTS ... 21
  • 목차 ... 23
  • 제 1 장 서 론 ... 27
  • 제 2 장 수소의 전환/저장/이용을 위한 안전 측정 기술 개발 ... 30
  • 제 1 절 서 론 ... 30
  • 제 2 절 수소 환경 하 정적 역학특성 측정 기술 개발 ... 33
  • 1. 역학특성 측정 국제비교 ... 33
  • 2. 수소가스 분위기하 in-situ 역학시험 ... 39
  • 3. 고압 수소가스 환경에서의 소형펀치시험 ... 50
  • 제 3 절 고압용 수소가스 인프라의 신뢰성 측정 기술 개발 ... 63
  • 1. 고압수소가스 용기의 신뢰성 측정을 위한 시험절차 개발 ... 63
  • 2. 펄스 와전류에 의한 수소 용기 및 배관의 균열탐지기술개발 ... 68
  • 3. 초음파에 의한 수소 재료의 손상측정 기술개발 ... 75
  • 4. 수소 누출 감지 센서 ... 81
  • 5. 수소 누출 감시 모니터링 장치 개발 ... 91
  • 제 4 절 수소침투 총량측정 기준물질 개발 ... 99
  • 1. 서 론 ... 99
  • 2. 금속수소화물을 이용한 수소기준물질 합성개념 ... 103
  • 3. 금속수소화물 충전용 순철비드 가공 및 세척 ... 104
  • 4. 수소기준물질 합성 및 분석: Mg수소화물 충전 ... 106
  • 5. 수소기준물질 합성 및 분석: Ti수소화물 충전 ... 109
  • 6. 수소기준물질 불확도 평가 및 금속수소화물 분석관련 향후계획 ... 112
  • 7. 결 론 ... 115
  • 제 5 절 위탁연구 ... 117
  • 1. API 천연가스 배관 용접 열영향부의 수소취성 특성평가 ... 117
  • 2. API강의 미세조직이 수소취성에 미치는 영향 ... 127
  • 제 6 절 결 론 ... 140
  • 1. 수소환경 하 정적 역학 특성 측정 기술 개발 ... 140
  • 2. 고압용 수소가스 인프라의 신뢰성 측정 기술 개발 ... 141
  • 3. 수소침투 총량측정 기준물질 개발 ... 143
  • 4. 위탁연구 ... 144
  • 제 3 장 첨단산업 측정기술 개발 및 재료측정표준 확립 ... 146
  • 제 1 절 서 론 ... 146
  • 제 2 절 다층박막 두께측정법 개발 ... 147
  • 1. 서 론 ... 147
  • 2. 분석시편 제작 및 분석 ... 147
  • 3. SIMS에 의한 다층박막 두께측정 절차 ... 149
  • 4. 다층박막 두께측정 연구 ... 151
  • 5. 결 론 ... 157
  • 제 3 절 다원합금 박막 조성분석법 개발 ... 158
  • 1. 서 론 ... 158
  • 2. 분석 시편 제작 및 인증 ... 158
  • 3. 연구 결과 및 고찰 ... 161
  • 4. 결 론 ... 165
  • 제 4 절 전산란을 이용한 국소구조 측정기술 ... 167
  • 1. 서 론 ... 167
  • 2. Atomic Pair Distribution Function 원리 ... 168
  • 3. 전산란 회절시스템 설계 및 제작 ... 170
  • 4. 결 론 ... 173
  • 제 5 절 나노입도 측정기술 개발 ... 174
  • 1. SMPS(Scanning Mobility Particle Sizer) 나노입자 입도측정 시 문제점 ... 174
  • 2. 결과 및 고찰 ... 175
  • 3. 결 론 ... 182
  • 제 6 절 나노자성체 스핀 물성 정량 측정 기술 개발 ... 183
  •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 183
  • 2. 연구내용: 스핀 전자 현미경 측정 정량화 확립 ... 184
  • 3. 요약 및 전망 ... 190
  • 제 7 절 경도 측정표준 확립 ... 191
  • 1. 서 론 ... 191
  • 2. 비커스 경도 시험기의 표준요소 ... 192
  • 3. 비커스 경도 표준기 불확도 인자 특성 평가 ... 193
  • 4. 경도분야 3rd Round Peer Review ... 199
  • 5. 로크웰 경도 구형 누르개 CRM 보급 ... 199
  • 6. 결 론 ... 200
  • 제 8 절 금속재료의 인장 특성 측정 표준 확립 ... 201
  • 1. 서 론 ... 201
  • 2. 탄성 계수 기준물 개발 ... 202
  • 3. 탄성 계수 측정 불확도 평가 ... 206
  • 4. 인장 물성 측정 표준 확립을 위한 국제비교시험 ... 209
  • 5. 결론 및 향후 계획 ... 213
  • 제 9 절 면저항 측정표준 확립 및 CRM 보급 ... 214
  • 1. 서 론 ... 214
  • 2. 연구내용 ... 215
  • 3. 결 론 ... 220
  • 제 10 절 나노압입 특성 측정 표준 확립 ... 22
  • 1. 서 론 ... 222
  • 2. 나노압입시험 국제 비교 준비 ... 222
  • 3. 나노압입시험 국제 비교 시험 결과 ... 226
  • 4. 요약 및 결론 ... 236
  • 제 11 절 X-선 메트롤로지(metrology) 측정표준 확립 ... 237
  • 1. XRR(X-ray reflectometry) 두께 표준물질 ... 237
  • 제 12 절 Noise 저항 표준 확립 ... 245
  • 1. 서 론 ... 245
  • 2. 시험절차의 보완 ... 246
  • 3. 노이즈 저항 측정에서의 불확도 평가 보완 ... 247
  • 4. 시험기 검정 절차의 연구 ... 248
  • 5. 전기화학적 노이즈 데이터의 fractal analysis ... 250
  • 6. 국제 표준화 활동 참여 ... 251
  • 7. 요약 및 결론 ... 251
  • 제 13 절 국제 재료측정표준 체계 확립 ... 252
  • 1. 서 론 ... 252
  • 2. APMP WGMM 연혁 ... 253
  • 3. APMP ad-hoc WGMM의 비교시험 상황 ... 254
  • 4. CIPM CC와의 연결 및 코드 ... 254
  • 5. Ad-hoc WGMM의 정식 조직화 ... 256
  • 제 14 절 결 론 ... 257
  • 제 4 장 에너지재료 측정표준기술 개발 ... 259
  • 제 1 절 저차원 나노소재의 열전물성 측정 평가기술 확립 ... 259
  • 1. 결정학적 특성이 제어된 Bi-Te 계 나노선 제조기술 개발 ... 259
  • 2. 수직정렬 나노선 상에 air-gap을 갖는 상부전극 형성 기술 ... 267
  • 3. 열전물성 측정용 all-in-one MEMS 소자의 설계 및 구현 ... 277
  • 4. 열전물성 전산모사를 통한 측정평가기술 신뢰성 확립 ... 289
  • 제 2 절 화합물 반도체 나노선 광·전기 특성평가 및 분석기술 개발 ... 305
  • 1. 화합물 반도체 나노선 성장제어 기술개발 ... 305
  • 2. 화합물 반도체 나노선의 구조적, 광학적 특성 평가 기술 개발 ... 312
  • 3. 밀도함수론 기반 화합물 반도체 물성 예측 및 분석 기술 개발 ... 328
  • 4. In-silico 기반 화합물 반도체 물성 예측 및 분석 기술 개발:Ga-As계 리액티브포스필드 개발 ... 337
  • 제 3 절 저온 STM을 이용한 스핀 양자점 측정기술 개발 ... 345
  • 1. 저온 및 고자기장에서 Si(111) 표면 위의 점결함 특성 측정 ... 345
  • 2. In-stage 저온 증착이 가능한 저온 STM 제작 ... 350
  • 3. 순환식 냉동기를 이용한 저온 STM 제작 ... 357
  • 제 4 절 결 론 ... 367
  • 1. 목표달성도 ... 367
  • 2. 관련분야 기여도 ... 368
  • 3.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 369
  • 4. 연구개발결과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370
  • 제 5 장 결 론 ... 371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