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능형 돌발홍수예경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ntelligent Flash Flood Guidance System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영남대학교
YeungNam University
연구책임자 지홍기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3-05
과제시작연도 2012
주관부처 소방방재청
사업 관리 기관 한국방재협회
등록번호 TRKO201300031731
과제고유번호 1665005913
사업명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4-01-13
키워드 국지성 집중호우.돌발홍수예경보.돌발홍수정보시스템.지능형.severe rain storm.flash flood warning.flash flood information system.Smart.

초록

Ⅲ. 연구내용
1. 국지성 집중호우 및 돌발홍수 특성규명
가. 국지성 집중호우 특성규명
나. 돌발홍수 특성규명
2. 기존 돌발홍수 예경보시스템 성능개선 검토
가.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나. 돌발홍수 예측기법
다. 돌발홍수 예경보기준
3. 국지성 집중호우 분석
가. 국지성 집중호우 분석기법
나. 강우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분석기법
4. 지능형 돌발홍수 예경보 및 대응시스템의 Test Bed 설치
가. Test Bed 위치설정
나. 우량국, 수위국, 경보국 위치지정

Abstract

Ⅲ. Contents
1. Regional torrential rainfall and flash flood characterization
1) Regional torrential rainfall characterization
2) Flash flood characterization
2. Existing flash flood guidance system in improve performance review
1) Current technical development status in native and for

목차 Contents

  • 제 출 문 ... 1
  • 요 약 문 ... 3
  • SUMMARY ... 6
  • 차 례 ... 9
  • 그 림 차 례 ... 13
  • 표 차 례 ... 22
  • 제 1 장 서 론 ... 25
  • 1.1 서언 ... 25
  • 1.2 연구의 필요성 ... 27
  • 1.3 연구의 내용 ... 28
  • 1.3.1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 28
  • 1.3.2 연구의 내용 ... 28
  • 제 2 장 국지성 집중호우 및 돌발홍수 특성규명 ... 31
  • 2.1 국지성 집중호우 특성규명 ... 31
  • 2.1.1 기상학적 특성규명 ... 31
  • 2.1.2 지형학적 특성규명 ... 34
  • 2.1.3 시·공간적 특성규명 ... 35
  • 2.2 돌발홍수 특성규명 ... 37
  • 2.2.1 수문학적 특성규명 ... 37
  • 2.2.2 지형·지질학적 특성규명 ... 39
  • 제 3 장 기존 돌발홍수 예경보시스템 성능개선 검토 ... 43
  • 3.1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검토 ... 43
  • 3.1.1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조사 ... 43
  • 3.1.2 국내외 기술 비교평가 ... 54
  • 3.2 돌발홍수 예측기법 검토 ... 55
  • 3.2.1 강우/수위예측기법 검토 ... 55
  • 3.2.2 수위/수위예측기법 검토 ... 62
  • 3.2.3 돌발홍수 예측기법 비교평가 ... 77
  • 3.3 돌발홍수 예경보 기준 검토 ... 78
  • 3.3.1 돌발홍수 예경보 기준 현황조사 ... 78
  • 3.3.2 돌발홍수 예경보 기준 비교평가 ... 84
  • 제 4 장 국지성 집중호우 분석 ... 85
  • 4.1 국지성 집중호우 분석기법 ... 85
  • 4.1.1 국지성 집중호우 분석기법 조사 ... 85
  • 4.1.2 국지성 집중호우 분석기법 비교평가 ... 86
  • 4.2 강우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분석기법 ... 89
  • 4.2.1 강우 시·공간분포 분석기법 조사 ... 89
  • 4.2.2 강우 시·공간분포 분석기법 비교평가 ... 91
  • 제 5 장 지능형돌발홍수 예경보 대응시스템의 Test Bed 설치 ... 115
  • 5.1 Test Bed의 위치선정 ... 115
  • 5.1.1 Test Bed의 위치선정 ... 115
  • 5.1.2 Test Bed의 위치평가 ... 144
  • 5.2 우량국, 수위국, 경보국 위치지정 및 설치 ... 149
  • 5.2.1 계측시스템 설치 위치지정 ... 149
  • 5.2.2 계측센서제작 및 설치 ... 151
  • 5.3 지능형 돌발홍수 대응 Test Bed 구축 ... 157
  • 5.3.1 Test Bed 제어시스템 구축 ... 157
  • 5.3.2 Test Bed 시스템 시험운영 ... 160
  • 제 6 장 돌발홍수 예측모델 평가 ... 167
  • 6.1 강우 / 수위 예측 ... 167
  • 6.1.1 확률수문학적 기법(Probabilistic Hydrological Techniques) ... 167
  • 6.1.2 수문지형학적 기법(Hydro-Geomorphological Techniques) ... 175
  • 6.1.3 하도수리학적 모델 ... 179
  • 6.2 수위 / 수위 예측 ... 182
  • 6.2.1 Datamining Method ... 182
  • 제 7 장 돌발홍수 예경보 시스템 운영방안 및 지침설청 ... 203
  • 7.1 기존 자동우량경보 개선 ... 203
  • 7.1.1 자동우량경보 보완 ... 203
  • 7.1.2 자동경보 기준설정 ... 222
  • 7.2 자동수위경보 기준 발령 ... 228
  • 7.2.1 국내외 경보기준조사 ... 228
  • 7.2.2 자동수위경보 기준 비교평가 ... 235
  • 7.3 돌발홍수 위험지수 개발 ... 238
  • 7.3.1 돌발홍수 위험지수 조사 ... 238
  • 7.3.2 돌발홍수 위험지수 비교평가 ... 242
  • 제 8 장 돌발홍수 대응시스템 구축 ... 243
  • 8.1 돌발홍수 위험구역 설정 ... 243
  • 8.1.1 돌발홍수 위험구역 설정 ... 243
  • 8.1.2 돌발홍수 위험구역 평가 ... 248
  • 8.2 대피경로 설정 및 안내시스템 구축 ... 253
  • 8.2.1 돌발홍수 시 대피경로 설정 ... 253
  • 8.2.2 대피경로에 따른 안내시스템 구축 ... 257
  • 8.3 돌발홍수 예경보 및 정보제공 시스템 구축 ... 259
  • 8.3.1 돌발홍수 예경보 정보시스템 설정 및 대응시스템 구축 ... 259
  • 제 9 장 지능형 돌발홍수 예경보 및 대응 시스템의 Test Bed 운영 및 평가 ... 283
  • 9.1 지능형 돌발홍수 운형 Test Bed 시스템 구축 ... 283
  • 9.1.1 Test Bed 위치선정 ... 283
  • 9.1.2 Test Bed 위치평가 ... 297
  • 9.2 Test Bed 시험운영 및 모니터링 ... 299
  • 9.2.1 Test Bed 시험운영 ... 299
  • 9.2.2 Test Bed 모니터링 ... 311
  • 9.3 지능형 돌발홍수 Test Bed 운영평가 ... 317
  • 9.3.1 Test Bed 제어시스템 운영 ... 317
  • 9.3.2 Test Bed 시스템 평가 ... 324
  • 부 록 ... 327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