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적조 건축물의 취약부 보강을 통한 내진보강기법 개발
Development of Seismic Retrofitting Techniques for Vulnerable Part in Unreinforced Masonry Building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방재연구소
보고서유형연차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0-12
과제시작연도 2010
주관부처 소방방재청
사업 관리 기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등록번호 TRKO201400000350
과제고유번호 1665005676
DB 구축일자 2014-05-10
키워드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내진성능평가 프로그램,내진보강기법,정적실험,동적실험Unreinforced Masonry (URM) Building,Seismic Capacity Evaluation Program,Seismic Retrofitting Technique,Static Test,Shaking Table Test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400000350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에 대한 내진성능평가 프로그램의 개발을 비롯하여 국내 상황에 적합한 내진보강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개발 프로그램의 실용화를 위하여 국내외 내진진단법의 현황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비전문가와 전문가로 구분하여 실제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는 웹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국내 조적조 건축물의 현황조사, 조적재료실험 및 기존연구에서 제시된 내진보강방법들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내진보강방법을 제시하고 정적 및 동적실험을 통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e the web program for seismic capacity evaluation of unreinforced masonry buildings in Korea and to develop and suggest the seismic retrofitting techniques for vulnerable part in unreinforced masonry buildings. Web programs for non-professional and professi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요약문 ... 3
  • SUMMARY ... 5
  • 차례 ... 7
  • 그림차례 ... 10
  • 표차례 ... 17
  • 제 1 장 서 론 ... 20
  • 1.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20
  • 1.2 연구목적 및 범위 ... 22
  • 1.3 연구방법 및 절차 ... 24
  • 제2장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진단 프로그램 개발 ... 28
  • 2.1 일반사항 ... 28
  • 2.2 전문가 진단법 ... 29
  • 2.2.1 기존연구 현황 ... 29
  • 2.2.2 평가항목 분석 ... 30
  • 2.2.3 평가항목 선정 ... 45
  • 2.2.4 적용결과 ... 51
  • 2.3 간이 진단법 ... 76
  • 2.3.1 기존연구 현황 ... 76
  • 2.3.2 평가항목 선정 ... 89
  • 2.3.3 평가항목 분석 ... 101
  • 2.4 심화 진단법 ... 106
  • 2.4.1 기존연구 현황 ... 106
  • 2.4.2 평가항목 선정 ... 107
  • 2.4.3 평가항목 분석 ... 107
  • 2.5 자가 진단법과 전문가 진단법 검증 ... 120
  • 2.5.1 전문가용 내진성능 평가 ... 120
  • 2.5.2 비전문가용 간이진단 내진성능 평가 결과 ... 122
  • 2.5.3 비전문가용 심화진단 내진성능 평가 결과 ... 128
  • 2.6 소결 ... 135
  • 제 3 장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보강기법 선정 ... 136
  • 3.1 일반사항 ... 136
  • 3.2 조적조 건축물의 지진취약부 ... 136
  • 3.2.1 지진피해 사례에 따른 취약부 평가 ... 136
  • 3.2.2 상세해석에 따른 취약부 평가 ... 140
  • 3.3 내진보강기법 제시 ... 161
  • 3.3.1 내진보강 기준 ... 161
  • 3.3.2 주요 파괴부 보강방안 ... 162
  • 3.4 내진보강공법의 시공성 경제성 검토 ... 164
  • 3.4.1 공법 개요 ... 164
  • 3.4.2 시공성 검토 ... 166
  • 3.4.3 경제성 검토 ... 167
  • 3.5 소결 ... 170
  • 제 4 장 내진보강 검증을 위한 정적·동적실험 ... 171
  • 4.1 일반사항 ... 171
  • 4.2 정적실험 ... 171
  • 4.2.1 면내방향 정적실험 ... 171
  • 4.2.2 면외방향 정적실험 ... 192
  • 4.3 동적실험 ... 200
  • 4.3.1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동적 진동 실험 ... 201
  • 4.3.2 내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동적 진동 실험 ... 227
  • 4.4 소결 ... 246
  • 제 5 장 결론 ... 247
  • 참 고 문 헌 ... 248
  • 부록 1. 실험사진 ... 251
  • 부록 2. 시공매뉴얼 및 지침서 ... 297
  • 끝페이지 ... 1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