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예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III)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ethodology for Climate Change Prediction (III)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국립기상연구소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1-12
과제시작연도 2011
주관부처 기상청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등록번호 TRKO201400002017
과제고유번호 1365001281
사업명 기후변화예측기술지원및활용연구
DB 구축일자 2014-04-19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400002017

초록

Ⅳ. 연구 내용 및 결과
우리나라 6개 관측지점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연평균 기온은 지난 99년 (1912∼2010년) 동안 약 0.18℃/10년 속도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지구온난화와 일부 도시화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특히 2000년대 한반도는 관측기록상 기온이 가장 높았으며, 서울과 대구의 기온 상승이 0.24℃/10년으로 가장 컸다. 강수량의 경우 기온에 비해 변동성은 크나 같은 기간 동안 약 21.7 mm/10년 비율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한국의 기후는 20세기 전반에 비해 20세기 후반에 상대적으로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Abstract

Ⅳ. Research Contents and Results
Annual mean temperature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6 observation stations increased by about 0.18℃ per decade for the past 99 years from 1912 to 2010 due to the effects of global warming and urbanization. Particularly, the Korean Peninsula in the 2000’s shows t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 구 보 고 서 ... 2
  • 목 차 ... 4
  • LIST OF TABLES ... 8
  • LIST OF FIGURES ... 10
  • 요 약 문 ... 30
  • Summary ... 39
  • 제 1 장 서론 ... 52
  • 제 2 장 관측 자료를 활용한 기후변화 분석 ... 56
  • 제 1 절 관측 자료를 반영한 한반도 기후변화 분석 ... 56
  • 1. 충청의 기후변화 ... 56
  • 2. 한국의 최근 10년의 기온과 강수 변화 ... 70
  • 3. 평균 및 극한 기온과 강수량 변화 분석 ... 86
  • 제 2 절 한반도 겨울철 기온 극값 변화와 대기모드와의 관련성 ... 92
  • 1. 머리말 ... 92
  • 2. 자료 및 방법 ... 93
  • 3. 한반도 겨울철 시스템 ... 95
  • 4. 일반극치분석 (Generalized Extreme Value) ... 97
  • 5. 한반도 겨울극값과 AO지수와의 관련성 ... 100
  • 6. 맺음말 ... 102
  • 제 3 장 새로운 온실가스 시나리오에 따른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 ... 104
  • 제 1 절 자연 강제력 ... 104
  • 제 2 절 대표농도경로 ... 106
  • 제 3 절 에어러솔 ... 108
  • 제 4 절 지표피복 ... 112
  • 제 5 절 기후변화 예측모델 ... 115
  • 제 6 절 실험방법 ... 117
  • 제 4 장 전지구 기후변화 ... 119
  • 제 1 절 단일강제력 실험 구성 및 분석 ... 119
  • 1. 실험 설계 ... 119
  • 2. 주요 결과 ... 120
  • 제 2 절 현재 기후의 모의 성능 ... 122
  • 1. 기온 및 강수에 대한 기후모델의 모의 성능 평가 ... 122
  • 2. 지수를 통한 기후모델의 모의 성능 평가 ... 129
  • 제 3 절 전지구 미래 전망 ... 132
  • 1. 기온 및 강수의 전지구 미래변화 전망 ... 132
  • 2. 미래 연직기온변화 전망 ... 138
  • 제 4 절 전지구 극한 기온 ... 142
  • 1. 머리말 ... 142
  • 2. 과거기후 모의자료 분석 ... 142
  • 3. 대표농도경로 RCP4.5 모의자료 분석 ... 145
  • 4. 대표농도경로 RCP8.5 모의자료 분석 ... 146
  • 5. 맺음말 ... 148
  • 제 5 절 전지구 극한 강수 ... 149
  • 제 6 절 태풍 ... 156
  • 제 5 장 동아시아 기후변화 ... 161
  • 제 1 절 현재 기후의 모의 성능 평가 ... 161
  • 제 2 절 기온과 강수의 미래 변화 ... 165
  • 제 3 절 수문변화 ... 167
  • 제 6 장 해양 변화 ... 175
  • 제 1 절 해수면 온도 ... 175
  • 제 2 절 해수면 고도 ... 178
  • 제 3 절 해빙면적 ... 184
  • 1. 해빙면적의 미래전망 ... 184
  • 제 7 장 새로운 온실가스 시나리오에 따른 동아시아 지역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 ... 188
  • 제 1 절 동아시아 지역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 방법 ... 188
  • 제 2 절 기온과 강수의 미래 변화 ... 192
  • 1. 지역 기후 변화 시나리오 자료의 특성 ... 192
  • 2. 우리나라 상세 기후 변화 ... 196
  • 제 3 절 HadGEM3-RA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극한 기후의 변화 전망 ... 214
  • 1. 극한 기온 ... 214
  • 2. 극한 강수 ... 222
  • 제 4 절 기후구의 변화 ... 233
  • 제 8 장 극한 기후변화 분석 기법 개발 ... 235
  • 제 1 절 서론 ... 235
  • 제 2 절 국가 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을 위한 극한 기후변화 분석 ... 236
  • 1. 우리나라 여름철 극한 강수 발생 빈도 및 변동 특성 분석 ... 236
  • 2. 동아시아 기후에 영향을 주는 서태평양 태풍 활동 변화 ... 240
  • 3. 한반도 겨울철 기온의 Regime shift 및 한파 발생 빈도 분석 ... 244
  • 4. 한반도 극한 기후변화 평가를 위한 GPD 기반 알고리즘 개발 ... 248
  • 5. 한반도 극한 기후변화 평가를 위한 CSEOF 기반 알고리즘 개발 ... 249
  • 제 3 절 RCP 전지구 고해상도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 기반 구축 ... 255
  • 1. 서론 ... 255
  • 2. 실험내용 ... 255
  • 3. 결과 ... 256
  • 제 9 장 12개월 예측시스템 구축 ... 267
  • 제 1 절 계절예측시스템 (GloSea4) 개요 ... 267
  • 제 2 절 기후값 분석을 통한 계절예측시스템 성능 평가 ... 269
  • 1. 과거 재연실험 결과 ... 269
  • 제 3 절 수문변수의 기후값 및 예측성 분석 ... 281
  • 1. 서론 ... 281
  • 2. 모델 ... 282
  • 3. 자료 ... 284
  • 4. 결과 ... 285
  • 5. 요약 및 결론 ... 292
  • 제 4 절 기후예측시스템 후처리 기법 개발 연구 ... 294
  • 1. 연구 배경 ... 294
  • 2. 연구 결과 ... 295
  • 제 10 장 연구 활동 지원 ... 300
  • 제 1 절 워크숍 개최 및 자료집 발간 ... 300
  • 1. 한반도 기후변화 영향예측을 위한 국가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워크숍 ... 300
  • 2. 기후공동 워크숍 ... 301
  • 3. CORDEX-동아시아 국제워크숍 ... 302
  • 4. 新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기후전망 및 기후변화 영향 전문가 세미나 ... 304
  • 5. 자료집 발간 ... 305
  • 제 3 절 현장연구과제 ... 306
  • 1. 국가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지원 ... 306
  • 2. 차세대 계절예측시스템의 해양 예측자료 분석 시스템 구축 ... 308
  • 제 11 장 결론 ... 311
  • 참고문헌 ... 317
  • 끝페이지 ... 325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