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진기상 기술개발 연구 (III) - 초단기 악천후 예측·대응 기술개발 연구
Development of Advanced Atmospheric Technology (III) - Development of very short-range prediction system for severe weather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국립기상연구소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1-12
주관부처 기상청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등록번호 TRKO201400002021
DB 구축일자 2014-04-19

초록

Ⅳ. 연구 내용 및 결과
초단기 동네예보의 예측정확도 향상을 목표로 실황분석 및 예측 기법 고도화를 위해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겨울철 방재기상예보지원을 위해 동네예보 실황 및 예측요소인 강수형태의 판별법을 개선하였다. 강수유형 판단을 위해 기존에는 지상습구온도를 이용한 판별법을 적용하여 왔으나 KLAPS의 3차원자료를 활용하여 1000-700 hPa 층후를 고려한 강수유형 판별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공간적 위치에 따른 강수형태 분류 특성을 알고리즘에 반영하기 위해 관측자료와 KLAPS 자료를 이용하여 통계분석

Abstract

Ⅳ. Research Contents and Results
With an aim to improve the accuracy in predicting the very short-range digital forecast,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terms in order to advance the prediction techniques and the current weather analysis. For supporting the weather forecast to prevent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구보고서 ... 2
  • 목차 ... 4
  • 표 목차 ... 7
  • 그림 목차 ... 8
  • 요약문 ... 14
  • Summary ... 18
  • 제 1 장 서론 ... 26
  • 제 2 장 통합 초단기 실황분석 및 예측시스템 고도화 ... 28
  • 제 1 절 동네예보 실황분석 및 예측 기법 고도화 ... 28
  • 1. 개요 ... 28
  • 2. 실황 예측을 위한 강수유형 판별기법 개발 ... 30
  • (1) 대기 층후를 고려한 강수유형 판별 알고리즘 개선 ... 31
  • (2) 초단기 강수실황예측시스템에서의 강수유형 판별 기법 적용 ... 36
  • 3. 적설량 산출 알고리즘 개발 및 개선 ... 38
  • (1) 관측자료를 이용한 강수비(SR) 분석 ... 39
  • (2) 적설량 산출 알고리즘 ... 42
  • (3) 적용사례 및 검증결과 ... 46
  • 4. 지형을 고려한 객관분석 기법 개발 ... 50
  • (1) 자료와 분석방법 ... 52
  • (2) 분석 결과 ... 62
  • (3) 요약 및 결론 ... 70
  • 5. 원격관측자료 한국형 통합 처리기술 개발 ... 72
  • 6. 요약 및 결론 ... 84
  • 제 2 절 신규관측자료 처리 및 활용기술 개발 ... 86
  • 1. 개요 ... 86
  • 2. GPS 가강수량 자료 처리 및 활용 기술 개발 ... 88
  • 3. 신규 원격관측자료 처리 및 활용기술 개발 ... 94
  • (1) 천리안 위성자료 처리 기술개발 ... 94
  • (2) 이중편파 레이더 자료 처리 기술개발 ... 98
  • 4. 요약 및 결론 ... 100
  • 제 3 절 고해상도 재분석 자료 생산 ... 101
  • 1. 개요 ... 101
  • 2. KLAPS 기반의 재분석 자료 생산 ... 103
  • 3. 한반도 합성강수량 생산 ... 108
  • (1) 관측자료와 분석 방법 ... 109
  • (2) 합성강수량 생산 영역별 합성 방법 ... 113
  • (3) 한반도 합성강수량 생산 결과 ... 117
  • 4. 요약 및 결론 ... 118
  • 제 3 장 초단기 실황예측시스템 개발 ... 120
  • 제 1 절 낙뢰 확률예측시스템 개발 ... 120
  • 1. 개요 ... 120
  • 2. 낙뢰 실황분석시스템 ... 122
  • 3. 낙뢰 확률예측시스템 ... 125
  • (1) 낙뢰 외삽 예측장 생산 ... 127
  • (2) 낙뢰 외삽 확률 예측 ... 129
  • (3) 낙뢰가능지수 ... 132
  • 4. 낙뢰 확률예측시스템 예측성 평가 ... 138
  • 5. 요약 및 결론 ... 140
  • 제 2 절 한국형 강수실황예측시스템 개발 ... 141
  • 1. 개요 ... 141
  • 2. 변분 에코 추적 기법 ... 142
  • 3. 지형효과 알고리즘 ... 144
  • 4. 시스템 구축 ... 147
  • 5. 검증 ... 150
  • 6. 요약 및 결론 ... 153
  • 제 4 장 요약 및 결론 ... 154
  • 참고문헌 ... 156
  • 부록 2011년도 학술용역과제 ... 160
  • 실황자료를 활용한 초단기 예측모델 성능향상 연구(Ⅱ) ... 161
  • 끝페이지 ... 417

표/그림 (228)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