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한 공유결합 유기 고분자 연구
Covalent Organic Polymers (COPs) for Effective CO2 Captur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원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연구책임자 YAVUZ CAFER TAYYAR
참여연구자 정유성 , 파텔 , 박준호 , 다미앙 , 아지타 , 이수현 , 김정인 , 변지혜 , 지현준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3-12
과제시작연도 2012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KA
사업 관리 기관 한국과학기술원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등록번호 TRKO201400003636
과제고유번호 1345194414
DB 구축일자 2014-05-07
키워드 미소공성 고분자.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Nanoporous polymer.CO2 capture and storage (CCS).

초록

온실가스의 과량배출로 인한 기후변화 문제가 세계적으로 대두됨에 따라 온실가스 중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이산화탄소를 감축 기술이 큰 화두가 되고 있다. 본 연구팀은 건식고체흡착제를 이용하여 공장의 배기가스나 배기관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물질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도록 이미 갖추어져 있는 산업에 실질적인 해결책으로 적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과 더불어 새로운 배기 방법과 처리기술이 도입되었을 때 경쟁력있는 변화를 보장하기 위하여 (1) 화학적 요소와 (2) 필수적인 공학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Since the revelations of the climate change came to a point where greenhouse gases, most notably carbon dioxide (Co2), were found to be primary responsible, many around the world are tackling to address and solve problems related to Co2, i.e., Co2 capture from flue g

목차 Contents

  • EEWS Research 2013 Final Report ... 1
  • Summary (English) ... 2
  • 국문 요약문 ... 5
  • 1. Research Purpose ... 7
  • 2. Research Target and Achievement ... 8
  • 3. Research Method ... 9
  • 4. Research Results ... 10
  • (1) Outcome results ... 11
  • (2) Further research required ... 19
  • (3) Findings deserve to press ... 21
  • 5. Research Outcomes ... 21
  • (1) Publication ... 21
  • (2) Conference presentation ... 22
  • (3) Patents ... 23
  • (4) Creation of New Big Project ... 23
  • 1. 연구목적 ... 24
  • 2. 연구목표와 성과 ... 25
  • 3. 연구방법 ... 26
  • 4. 연구결과 및 고찰 ... 27
  • (1) 연구결과 ... 27
  • (2) 수반되어야 할 (후행)연구내용 ... 37
  • (3) 보도할 만한 내용 ... 38
  • 5. 연구결과물 발표실적 ... 38
  • (1) 학회발표 ... 38
  • (2) 논문 ... 39
  • (3) 특허 ... 40
  • (4) 대형 신규과제 발굴의 기여 ... 41
  • 6. 인재양성 실적 ... 41
  • 끝페이지 ... 41

표/그림 (7)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