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의 산학연 협력 정책 동향 및 산학연 협력 성공모델에 관한 조사 연구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3-12
과제시작연도 2013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등록번호 TRKO201400012813
과제고유번호 1711008689
사업명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연구운영비지원
DB 구축일자 2014-07-12

초록

I.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 최근 세계 각국은 ‘09년 글로벌 경제 위기를 겪고 난 이후 국가 경쟁력 강화와 경제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정책 패러다임을 신산업 및 일자리 창출에 두고 있는 상황
□ 최근의 산학연 협력은 학술적 개념에 비해 현실적 적용에 있어 새로운 방향 설정과 협력 모델을 정립하고 있지 못하고 있음
□ 미국은 산학 연구 협력(University-Industry Research Collaboration)에 있어 오랜역사를 가지고 있고, 최근들어 산학 연구 협력이 더 빈번해지고 또한 대형화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3
  • 요 약 문 ... 5
  • 목 차 ... 23
  • 표 목 차 ... 27
  • 그림 목차 ... 29
  • I. 서론 ... 31
  • 제1절 연구의 배경 ... 31
  • 제2절 연구 목적 및 내용 ... 32
  • 1. 연구의 목적 ... 32
  • 2. 연구의 내용 ... 33
  • II. 산학연 협력정책 관련 선행연구 ... 35
  • 제1절 과학기술혁신 정책 패러다임의 진화 과정 ... 35
  • 제2절 미국의 기술정책 패러다임 ... 36
  • 1. 시장 실패 패러다임 ... 38
  • 2. 임무 패러다임 ... 38
  • 3. 협력적 기술 패러다임 ... 39
  • 제3절 삼중나선 모델 ... 42
  • 1. 삼중나선에서의 혁신 주체의 역할 및 진화 ... 45
  • 2. 대학의 역할 변화 ... 46
  • 3. 정부의 역할 변화 ... 49
  • 4. 혁신의 삼중나선 모델에서 상호작용 ... 50
  • 제4절 기업 R&D 전략과 산학 협력 ... 53
  • 1. 기업의 핵심 역량 및 R&D 관리 ... 53
  • 2. 기술적 역량 관리로서 산학 협력 ... 57
  • 제5절 공공-민간 파트너십 ... 58
  • 1. 공공-민간 파트너십에 관한 개념적 이해 ... 58
  • 2. 공공-민간 파트너십의 주요 성공요인 ... 65
  • 3. 공공-민간 파트너십(PPP) 모델의 기회와 한계 ... 67
  • III. 미국의 산학연 협력 정책 정책동향 ... 69
  • 제1절 기술이전을 통한 상업화 지원 정책 ... 69
  • 1. 베이-돌 법 ... 71
  • 2. 스티븐슨-와이들러 기술혁신법 ... 73
  • 3. 중소기업 혁신개발법 ... 74
  • 4. 연방기술이전법 ... 78
  • 5. 중소기업 기술이전법 ... 80
  • 제2절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 관련 법 ... 83
  • 1. 미국 경쟁력 강화법 ... 85
  • 2. 미국 경제회복 및 재투자 법 ... 86
  • 3. 스타트업 아메리카 이니셔티브 ... 88
  • 4. 첨단 제조업 파트너십 ... 92
  • 5. JOBS 법 (Jumpstart Our Business Startups Act) ... 96
  • 6. 제조업 혁신을 위한 국가적 네트워크 ... 99
  • IV. 미국의 주요 산학연 협력프로그램 운영 현황과 노력 ... 101
  • 제1절 NSF의 산학협력 관련 주요 프로그램 운영 현황 ... 101
  • 1. 산업적 혁신 및 파트너십 분야 ... 101
  • 2. 센터 및 네트워크 분야 ... 106
  • 3. 하이라이트 국제 협력을 위한 기회 분야 ... 109
  • 4. 첨단 제조 분야 ... 111
  • 5. 기타분야 ... 113
  • 제2절 산학연 라운드 테이블의 운영 현황 ... 121
  • 1. 산학연 라운드 테이블(GUIRR)의 개요 ... 121
  • 2. GUIRR의 주요 프로젝트 추진 현황 ... 124
  • 제3절 연방 지원 연구개발 센터의 산학협력 현황 ... 131
  • 1. FFEDC의 배경 및 역할 ... 131
  • 2. FFRDC 운영 현황 및 산학협력 현황 ... 133
  • 제4절 중소기업을 위한 자금 지원 프로그램 ... 139
  • 1. 미국의 중소기업 현황 및 그 중요성 ... 139
  • 2. 미국 연방정부의 중소기업 자금지원 프로그램 ... 142
  • 제5절 민간 R&D 투자 촉진을 위한 조세 지원 노력 ... 146
  • 1. 오바마 행정부의 민간 R&D 투자 촉진 조세 제도 개혁 동향 ... 146
  • 2. 미국 연방정부의 R&E 세금 크레딧 ... 149
  • V. 미국의 혁신주체별 산학연 협력에 있어 주요 사례 ... 155
  • 제1절 산학시연 파트너십(UIDP) ... 155
  • 1. UIDP의 개요 ... 155
  • 2. UIDP의 주요 프로젝트 추진 현황 및 성과 ... 156
  • 3. 시사점 ... 159
  • 제2절 스타트업 아메리카 파트너십(SUAP) ... 160
  • 1. 스타트업 아메리카 파트너십(SUAP)의 개요 ... 160
  • 2. 스타트업 아메리카 파트너십에 있어 민간의 참여 노력 ... 160
  • 3. 시사점 ... 165
  • 제3절 NSF의 산학 협력 연구센터 프로그램(I/UCRC program) ... 165
  • 1. 산학 협력 연구센터 프로그램의 개요 ... 165
  • 2. I/UCRC program의 운영 현황 및 성과 ... 166
  • 3. 시사점 ... 170
  • 제4절 주정부의 사례-NMSBAA ... 171
  • 1. NMSBA의 개요 ... 171
  • 2. NMSBA 프로그램의 특징과 운영 성과 ... 171
  • 3. 시사점 ... 177
  • 제5절 사이언스 및 헬스 교육 파트너십(SEP) ... 177
  • 1. 사이언스 및 헬스 교육 파트너십의 개요 ... 177
  • 2. SEP의 주요 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성과 ... 178
  • 3. 시사점 ... 183
  • 제6절 Chevron의 산학협력 ... 183
  • 1. 쉐브론의 개요 ... 183
  • 2. 쉐브론과 국립 에너지 신재생 연구소(NERL)의 전략적 연구 동맹 ... 184
  • 3. 시사점 ... 185
  • VI.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 186
  • 제1절 결론 ... 186
  • 제2절 정책적 시사점 ... 191
  • 참고문헌 ... 194
  • 끝페이지 ... 202

표/그림 (16)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