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환경생태연구소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3-11 |
과제시작연도 |
2013 |
주관부처 |
문화재청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CHA) |
연구관리전문기관 |
국립문화재연구소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등록번호 |
TRKO201400012894 |
과제고유번호 |
1555000657 |
사업명 |
문화유산융복합연구 |
DB 구축일자 |
2014-07-05
|
키워드 |
저어새.노랑부리백로.서식지 복원.번식생태.식생.이동경로.Black-faced Spoonbill.breeding ecology.Chinese Egret.habitat restoration.migration route.vegetation.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400012894 |
초록
▼
본 연구는 문화유산융복합연구(R&D) 과제의 일환으로 2013년 4월 18일부터 2013년 11월 29일까지 약 8개월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국내 저어새 및 노랑부리백로의 주요 번식지 중 현황을 파악하여 서식지 복원 대상지로 가장 적합한 천연기념물 제389호인 전라남도 영광군의 칠산도를 선정하였다. 기존의 번식지 식물상을 분석하여 노랑부리백로 둥지터로 활용하기 위한 식재 식물로는 이대와 찔레꽃을 선정하였으며, 저어새 및 노랑부리백로의 둥지재료는 유채를 선정하였다. 서식지 복원 대상지로 선정된 칠산도 중에서 6
본 연구는 문화유산융복합연구(R&D) 과제의 일환으로 2013년 4월 18일부터 2013년 11월 29일까지 약 8개월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국내 저어새 및 노랑부리백로의 주요 번식지 중 현황을 파악하여 서식지 복원 대상지로 가장 적합한 천연기념물 제389호인 전라남도 영광군의 칠산도를 선정하였다. 기존의 번식지 식물상을 분석하여 노랑부리백로 둥지터로 활용하기 위한 식재 식물로는 이대와 찔레꽃을 선정하였으며, 저어새 및 노랑부리백로의 둥지재료는 유채를 선정하였다. 서식지 복원 대상지로 선정된 칠산도 중에서 6산도에는 노랑부리백로의 번식지 제공을 위해 이대 및 찔레꽃을 식재하였다. 저어새의 둥지재료를 위해서는 유채를 파종하였으며, 4산도에는 돌과 나무를 이용하여 저어새 둥지 터를 조성하였다.
현재 번식이 확인된 국내의 저어새 번식지는 칠산도, 요도, 석도, 비도, 남동유수지 저어새 섬, 각시암, 수하암, 서만도, 구지도, 상여바위, 황서도 등 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매도, 백령도의 2개 지역을 추가로 확인하여 총 13개 지역을 확인하였다. 저어새는 총 631개의 둥지를 확인하였고, 노랑부리백로 번식지는 서만도, 황서도, 목도, 칠산도, 납대기 등 5개 지역이며, 전체 367개의 둥지를 확인하였다. 칠산도에서 번식한 저어새의 영소성공률은 49개 둥지 중 25개가 성공하여 51.02%였으며, 한배산란수는 2.40±0.71(평균±표준편차)개였다. 부화성공률은 총 60개의 알 중 55마리의 새끼가 부화에 성공하여 91.67%, 부화가 확인된 새끼가 모두 이소를 하여 이소성공률은 100%였다. 칠산도에서 번식한 노랑부리 백로의 한배산란수는 1~5개로 나타났고, 3.31±0.75(평균±표준편차)개였다. 노랑부리백로 알의 부화수는 최대 5개체였으며, 한배새끼수는 3.21±0.70(평균±표준편차)개체였다.
저어새 유조의 이동경로 및 먹이 취식지를 알아보고자 위치추적기(GCT-B2)를 칠산도에서 6월 22일에 5개 부착하였다. 부착한 5개체 모두 수신에 성공하였으나 2개체는 중간에 신호가 끊어졌으며, 3개체는 100일 이상 수신되었다. 중간에 신호가 끊어진 개체도 백수갯벌에 이동해 온 것을 가락지를 통해 생존을 확인하였다. 3개체에 대한 100일간의 이동경로 파악결과 저어새의 유조는 7월 중순경에 번식지인 칠산도를 떠나 인근 갯벌로 이동하였다. 그 후 모두 영광군의 백수갯벌에 이동하여 2개체는 백수갯벌에서 먹이 취식을 하였으며, 1개체는 북쪽으로 북상하여 새만금 간척지 내 만경강 하류를 먹이 취식지로 이용하였다. 먹이 취식지 면적 분석 결과, 3개체 평균 전체 행동권은 100% MCP에서 38.3±25.3㎢, 95% KR은 46.8±10.4㎢, 90% KR은 34.7±8.0㎢, 50% KR은 8.4±3.4㎢로 나타났다.
Abstract
▼
This study was conducted as the Cultural Heritage Convergence and Integration R&D Project during 18 Apr. and 29 Nov. 2013. Chilsando islet, Yeonggwang county, South Jeolla province (Natural Monument #389) was selected as the habitat restoration site among breeding sites of Black-faced Spoonbill (Pla
This study was conducted as the Cultural Heritage Convergence and Integration R&D Project during 18 Apr. and 29 Nov. 2013. Chilsando islet, Yeonggwang county, South Jeolla province (Natural Monument #389) was selected as the habitat restoration site among breeding sites of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and Chinese Egret (Egretta eulophotes) in South Korea. Arrow Bamboo (Pseudosasa japonica) and Baby Brier (Rosa multiflora) was chosen as planted species for nest and rape (Brassica campestris) was as nest material based on surveys of breeding sites of both birds. These plants were planted in 6 san islet. Breeding sites were made by stones and logs in 4 san islet.
In this study, we added Maedo and Baekryeongdo as breeding sites of Black-faced spoonbill. Total 13 breeding sites (Chilsando, Yodo, Seokdo, Bido, Namdong reservior, Gaksiam, Suhaam, Seomando, Gujido, Sangyeobawi, Hwangseodo, Maedo, and Baekryeongdo) were recorded as breeding site of the species. Total 631 nests were recorded in this study. In twenty five nests (51.02%) among 49 nests of Black-faced Spoonbill, eggs were hatched within Chilsando islet. Moreover, clutch size was 2.40±0.71 (mean±SD). Hatching success was 91.67% (55 hatched eggs among 60 eggs) and all fledglings leaved their nests.
Breeding sites of Chinese Egret were Seomando, Hwangseodo, Mokdo, Chilsando, and Napdaeki.
Total 367 nests were observed. Clutch size was 3.31±0.75 (mean±SD) and range was from 1 to 5 eggs. Maximum hatched fledgling was 5 individuals per nest. Brood size was 3.21±0.70 (mean±SD).
For surveys of migration and foraging habitat of juvenile Black-faced Spoonbill, GPS-CDMA based telemetry (GCT-B2) was attached to 5 juveniles in 22 June, 2013 at Chilsando islet. Three juveniles were successfully located during 100 days by GCT-B2. The juveniles Black-faced Spoonbill leaved their breeding site, Chilsando islet in middle of July and migrated to Baeksu mud flat. Two juveniles used Maesu mud flat as foraging habitat. The other juvenile foraged at estuary of Mankyung river in Saemangeum landfill site. Home range size of 100% MCP of three juveniles was 38.3±25.3 km2 (mean±SD). Moreover, 95%, 90%, and 50% KR were 10.4 km2, 8.0 km2, and 3.4 km2, respectively.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목차 ... 3
- I. 총괄연구개발과제 요약문 ... 5
- 국문 요약문 ... 5
- Summary ... 6
- II.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9
- 제1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적 및 필요성 ... 9
- 제2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 13
- 제3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결과 및 고찰 ... 23
- 제4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 79
- 제5장 총괄주요연구 변경사항 ... 80
- III. 제(1)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82
- 제1장 제(1)세부 연구개발과제 요약문 ... 82
- 제2장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적 ... 84
- 제3장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 85
- 제4장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결과 및 고찰 ... 89
- 제5장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 103
- 제6장 제(1)세부참고문헌 ... 104
- IV. 제(2)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106
- 제1장 제(2)세부 연구개발과제 요약문 ... 106
- 제2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적 ... 108
- 제3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 109
- 제4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결과 및 고찰 ... 116
- 제5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 158
- 제6장 제(2)세부참고문헌 ... 160
- 부록 1. 서만도, 황서도 및 칠산도의 관속식물상 목록 ... 163
- 끝페이지 ... 166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