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온, 상압용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한 탄소기반 흡착소재 개발
Development of carbon based novel technology for carbon dioxide capture at a low temperatur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InHa University
보고서유형1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4-07
과제시작연도 2013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등록번호 TRKO201400028232
과제고유번호 1711000971
사업명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4-11-22
키워드 이산화탄소 흡착.나노분말.이온교환수지.비표면적.미세기공율.금속산화물 담지.표면처리.친-이산화탄소 흡착점.흡착 메커니즘.CO2 adsorption.Nano materials.Ion-exchange resin.Specific surface area.Microporosity.Metal oxide loading.Surface treatments.CO2-friendly site.Adsorption mechanism.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400028232

초록

1. 고비표면적 및 초고다공성 나노소재의 제조기술 개발
- Hard/Soft template법을 이용한 다공성 나노소재 합성 및 제조
- 스팀/KOH 활성화법을 이용한 기능성 나노소재 표면에 초미세 나노기공을 형성기술 개발
- 활성화 공정변수제어를 통한 최적화된 나노기공 설계 및 표면관능기 제어기술 개발
2. 기능성 나노소재 표면처리기술 개발
- CO2 친화도 증대를 위한 표면개질 연구(질소 및 아민기 도입)
- 불소, 플라즈마, 오존 등을 이용한 표면개질기술 개발
3. 하이브리드 금속/나노소재

Abstract

Ⅳ. Result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 Specific surface area: 3,000 m2/g, total pore volume: 2.0 cm3/g
- Microporosity:> 95%, micropore size: < 0.65 nm
- Adsorption rate of CO2 in flue gas: 6.2 wt.%/5 min
- Selectivity CO2/N2:> 47
- Control of CO2-friendly site: 25~45 kJ/mol
- CO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보고서 요약서 ... 3
  • 요약문 ... 4
  • 목차 ... 5
  • SUMMARY ... 6
  • CONTENTS ... 7
  • 제 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8
  • 1 절. 기술의 정의 및 범위 ... 8
  • 2 절. 연구개발대상 기술의 경제적 • 산업적 중요성 및 연구개발의 필요성 ... 13
  • 제 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19
  • 1 절. 세계적 수준 ... 19
  • 2 절. 국내수준 ... 20
  • 3 절. 국내외 연구현황 ... 22
  • 제 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34
  • 1 절. 고비표면적 및 이산화탄소 분자적합형 활성탄소 제조(등방성 핏치를 이용한 탄소분자체 합성) ... 34
  • 2 절. Pitch 기반 탄소흡착제의 이산화탄소 흡착거동연구 ... 37
  • 3 절. 초고미세기공이 다량 발현된 탄소분자체 제조(Zeolite를 주형으로 하여 Nanocasting법으로 제조한 탄소분자 체 합성) ... 43
  • 4 절. 고분자기반 나노기공성 탄소흡착제의 이산화탄소 포집 연구 ... 48
  • 5 절. 고비표면적 및 고미세기공율을 지니는 미세기공탄소 제조기술 개발 ... 54
  • 6 절. 고분자 프리커서의 직접탄소화법에 의한 질소가 함유된 미세기공탄소 제조기술 개발 ... 61
  • 7 절. 재생특성 평가방법(Multi-isothermal pressure swing analysis) ... 67
  • 8 절. 질소 관능기가 포함된 탄소흡착제의 화학적 활성화를 통한 이산화탄소 흡착연구 ... 69
  • 9 절. One-pot 합성법을 통한 질소 도핑 나노기공 활성탄소의 제조 ... 75
  • 10 절.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CO2 흡착의 최적의 기공크기 결정 ... 83
  • 11 절. 그래핀 나노시트의 박리 온도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착 거동 ... 88
  • 12 절. 나노기공활성탄소의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한 기공크기 연구 ... 94
  • 13 절. PEI 표면처리된 탄소나노튜브의 CO2 흡착거동 분석 ... 100
  • 14 절. 친-CO2 흡착점이 부여된 탄소소재의 혼합배가스내 CO2 포집거동 분석 ... 106
  • 15 절. 셀룰로오스 섬유기반 고효율/탄소기반 흡착제 제조 ... 112
  • 16 절. 다공성 고형 흡수제 지지체 및 아민계 유기물 제조(위탁기관: 고려대학교_1차년도) ... 122
  • 제 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124
  • 1 절.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 124
  • 2 절. 평가의 착안점에 따른 목표달성도에 대한 자체평가 ... 125
  • 제 5장 연구개발 대표성과 ... 127
  • 1 절. 고비표면적 및 이산화탄소 분자적합형 활성탄소 제조(등방성 핏치를 이용한 탄소분자체 합성) ... 127
  • 2 절. 셀룰로오스 섬유기반 고효율/탄소기반 흡착제 제조 ... 129
  • 제 6장 연구개발결과의 파급효과 및 활용 계획 ... 132
  • 1 절. 연구개발결과의 활용방안 ... 132
  • 2 절. 기대성과 ... 133
  • 제 7장 기타 ... 135
  • 제 8장 참고문헌 ... 136
  • 끝페이지 ... 137

표/그림 (118)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