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자생물학적 개량을 통한 고효율 이산화탄소 고정 미세조류 개발
Development of high-efficient microalgae for carbon dioxide assimilation via molecular biology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양대학교
HanYang University
보고서유형1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4-07
과제시작연도 2013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등록번호 TRKO201400028252
과제고유번호 1345203437
사업명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4-11-22
키워드 이산화탄소 저감.해양미세조류.광합성.광에너지 전환효율.광수확.돌연변이체.안테나 축소.CO2 mitigation.microalgae.photosynthesis.light energy conversion efficiency.light harvesting.mutant.antenna truncation.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400028252

초록

본 연구는 이산화탄소의 생물학적 포집을 증대하고 Biomass의 증가를 가져오는 우량 미세조류를 제작하기 위해 insertional mutant library를 구축하고 우수 광전환 돌연변이 5종을 선발함. 이를 위해 광전환 기작을 규명하기 위한 녹조류 돌연변이 유도용 벡터 1종을 제작함. 선발된 우수 광전환 돌연변이들의 생리적 분석 결과 광합성율이 대조군 대비 180%에서 최대 200%까지 증가한 표현형을 관찰함. 또한, 최소배지에서 광합성을 이용하여 성장률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 대비 150%까지 증가한 고성장 후 보군 5종을 확

Abstract

IV. Results
(1) Construction of the library for screening the photoconversion mutants
● Construction of 32,000 transformants by insertion mutagenesis using glass bead method
● Selection of mutants which showed enhnaced photoconversion
(2) Selection of high photoconversion mutants and m

목차 Contents

  • 제 출 문 ... 1
  • 보고서 요약서 ... 2
  • 요 약 문 ... 3
  • 목 차 ... 6
  • S U M M A R Y ... 7
  • C O N T E N T S ... 11
  •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12
  •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 12
  • 제 2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 12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15
  • 제 1 절 국내외 기술 개발 동향 ... 15
  • 제 3 장 연구 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 18
  • 제 1 절 모델균주에서 고효율 광전환 돌연변이 고속 선발 시스템 개발 ... 18
  • 제 2 절 광에너지 전환율 (5%), Biomass 고속 증대 고효율 (150%) 미세조류 개발 ... 28
  • 제 3 절 선발된 우량균주의 변이 유전자 규명 ... 41
  • 제 4 절 산업균주에서 고효율 광전환 미세조류 형질전환 시스템 개발 ... 55
  • 제 5 절 광유도 프로모터를 이용한 유용 유전자의 발현 증폭 조절 및 작용기작 연구 ... 70
  • 제 6 절 미세조류 균주의 장기보존을 위한 동결보존 기술 개발 ... 84
  • 제 7 절 형질전환 돌연변이군 제작을 통한 광합성 안테나의 크기에 변이균주 선발(위탁) ... 94
  • 제 8 절 광합성효율 증대를 위한 질소고갈에 의해 저해되는 광합성 능력을 검침가능한 형광형 탐침개발(위탁) ... 98
  • 제 9 절 자연교배에 의한 변이균주군 제작을 위한 기초변이량 및 질소반응성 분석 (위탁) ... 99
  • 제 4 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 103
  • 제 1 절 연도별 연구목표 달성도 ... 103
  • 제 2 절 관련분야의 기술발전에의 기여도 ... 105
  • 제 5 장 연구개발 대표성과 ... 107
  • 제 1 절 환경스트레스에 의한 lipid 증가 메커니즘의 연구 ... 107
  • 제 2 절 강한 빛에 의해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광유도 프로모터 연구 ... 107
  • 제 3 절 장기보존 방법 개발 관련 연구 ... 108
  • 제 6 장 연구결과의 파급효과 및 활용 계획 ... 109
  • 제 1 절 연구결과의 파급효과 및 활용계획 ... 109
  • 제 2 절 추가연구의 필요성 ... 110
  • 제 7 장 기타 ... 112
  • 제 1 절 지난 3년간 주요 국가별, 기관별 기술 개발 실태 ... 112
  • 제 2 절 지난 3년간 주요 기관별, 연구자별 기술 개발 실태 ... 112
  • 제 8 장 참고문헌 ... 115
  • 끝페이지 ... 116

표/그림 (109)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