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경희대학교 Kyung Hee University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4-07 |
과제시작연도 |
2013 |
주관부처 |
미래창조과학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연구재단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
등록번호 |
TRKO201400028761 |
과제고유번호 |
1345201220 |
사업명 |
리더연구자지원 |
DB 구축일자 |
2014-11-22
|
키워드 |
뇌신경활동.이온전도.다축척.다변수.직접기능영상.뇌신경 생물-물리 모델.두피 전위.뇌내부 자장.뇌신경과학.Brain Neural Activity.Ion Conduction.Multi-scale.Multi-modal.Direct Functional Imaging.Neural Bio-physics Model.Brain Potential.Brain Magnetic Field.Neuroscience.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400028761 |
초록
▼
연구결과
뇌신경 활동의 즉시적, 직접적 영상화를 위해서 10개의 요소 기술과 4개의 핵심기술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기반 기술들을 이온전도와 연관성이 있는 임상 응용 분야에 적용하여 연구 성과의 실용성을 제고하였다.
(1) 10개의 요소 기술
핵심 연구시설 도입 및 연구 환경 구축, 이온전도 연계 전자장 유발 최적화, 이온전도 영상화 인체 접속 신기술, 전자장 검출과 영상화, 주영역 강화 영상법, 이온전도 측정기술의 한계 극복, 생체 전자기 현상 기반 영상 복원 알고리즘, 이방성 이온전도 영상화, 스펙트로스코픽
연구결과
뇌신경 활동의 즉시적, 직접적 영상화를 위해서 10개의 요소 기술과 4개의 핵심기술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기반 기술들을 이온전도와 연관성이 있는 임상 응용 분야에 적용하여 연구 성과의 실용성을 제고하였다.
(1) 10개의 요소 기술
핵심 연구시설 도입 및 연구 환경 구축, 이온전도 연계 전자장 유발 최적화, 이온전도 영상화 인체 접속 신기술, 전자장 검출과 영상화, 주영역 강화 영상법, 이온전도 측정기술의 한계 극복, 생체 전자기 현상 기반 영상 복원 알고리즘, 이방성 이온전도 영상화, 스펙트로스코픽 이온전도 영상화, 다축척·다변수 복합영상 기반기술 등을 개발하였다.
(2) 4개의 핵심 기술
다주파수 이온전도 영상 실험과 해석, 이방성 이온전도 영상화 및 DTI 영상과의 연관 및 해석, 주영역 고해상도 전자기장 영상화, 임상 응용을 위한 동물 및 인체 실험 등을 개발하였다.
(3) 임상 응용 분야 개발
연구 성과의 효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개발된 기반 기술들을 이온전도와 연관성이 있는 다양한 임상 응용 분야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두경부에서는 fMREIT, myelin water fraction, mfMREIT, fEIT-EEG, mfEIT, 흉부는 MREIT, tdEIT, planer EIT, 유방은 breast MREIT, TAM, planer EIT, 복부는 MREIT, tdEIT, 하지는 DT-MREIT, 그리고 in vitro에서는 micri-EIT와 BIS가 인체 영역별 전자기적 현상과 질환에 대한 응용분야로 개발하였다.
Abstract
▼
Result
We developed 10 basic and 4 core technolog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a direct, multi-scale, multi-modal functional brain neural activity imaging system. We evaluated the feasibility of the developed technologies for clinical applications related with the ion conduction phenomena.
(1)
Result
We developed 10 basic and 4 core technolog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a direct, multi-scale, multi-modal functional brain neural activity imaging system. We evaluated the feasibility of the developed technologies for clinical applications related with the ion conduction phenomena.
(1) 10 basic technologies
Build up the core research facilities and environment, efficient methods to generate conduction imaging, detection of electromagnetic field and its imaging, enhanced VOI(volume-of-interst) imaging, novel methods to measure ion conduction, conductivity and permittivity image reconstruction algorithms, anisotropic conductivity tensor imaging, spectroscopic ion conduction imaging, multi-scale & multi-modal imaging methods.
(2) 4 core technologies
Multi-frequency ion conduction imaging experiments and analyses, anisotropic ion conduction imaging combined with DT-MRI, high-resolution imaging of electromagnetic field in VOI, animal and human imaging experiments for clinical applications.
(3) Clinical application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research outcomes, we applied the developed techniques to the clinical areas which are clisely related with the ion conduction phenomena. We could propose several clinical applications of ion conduction imaging : fMREIT, myelin water fraction, mfMREIT, fEIT-EEG, mfEIT for the head and neck imaging; MREIT, tdEIT, planer EIT for the chest; MREIT, TAM, planer EIT for the breast; MREIT, tdEIT for the abdomen; DT-MREIT for the extremity; BIS, micri-EIT for cell and tissue imaging.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