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성항법 지역보강 시스템(GBAS) 운용기술 개발
Operational Technology Development of Ground Based Augmentation System (GBA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연구책임자 김동민
참여연구자 남기욱 , 전향식 , 조정호 , 배중원 , 윤영선 , 허윤정 , 김성욱 , 김인규 , 장재원 , 그외다수
보고서유형1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1-07
과제시작연도 2010
주관부처 산업통상자원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등록번호 TRKO201400029640
과제고유번호 1615001731
DB 구축일자 2015-02-14
키워드 차세대항행시스템, 위성항법시스템,위성항법지역보강시스템, 시스템인증, 시설인증, 운영인증.GNSS, GBAS, SDA, FA, OA.

초록

● 연구개발 관리계획 수립
- 기술적 접근방안 수립, 자원수급 계획
- 과제 목표, 내용, 범위, 일정계획, 업무 및 분장, 예산계획, 자원소요, 진도평가 및 관리계획 구체화
● 인증 체계/기준 자료 조사 및 분석
- 국제 기술표준문서(ICAO, FAA, RTCA 등) 분석을 통하여 개발기준, 시험시스템 구성, 해외협상 등을 위해 필요한 기술적 사항 정리
● 후보 시범공항 선정 및 조사
- 시범 대상공항 선정 : 김포, 인천
- 연구개발 편의성 및 점검기 활용 측면에서 김포가 유리
- 향후

Abstract

Ⅳ. Results
Establishment of project management plan
○ Establishment of Project Management Plan
- Define of project goal, content, scope, milestone, work allocation, budget, resource and progress evaluation
○ WBS, work package and plan for resource
- Estimated resource : 50~55 M/Y
-

목차 Contents

  • 제출문 ... 1
  • 보고서 요약서 ... 2
  • 요 약 문 ... 4
  • SUMMARY ... 9
  • 목차 ... 16
  • 표 목 차 ... 23
  • 그 림 목 차 ... 26
  • 1. 서론 ... 32
  • 1.1. 연구개발의 목적 ... 32
  • 1.2. 연구개발의 중요성 ... 36
  • 1.3. 연구개발의 범위 ... 39
  • 1.3.1.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 39
  • 1.3.2. 연차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41
  • 1.3.3. 1차년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44
  • 1.3.4. 2차년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47
  • 1.3.5. 3차년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49
  • 1.3.6. 4차년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51
  •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54
  • 2.1. 국내 기술 동향 ... 54
  • 2.2. 국외 기술 동향 ... 61
  • 2.3. GBAS 관련 특허 동향 ... 68
  • 2.4. 기술 동향 분석 결론 및 전망 ... 72
  • 2.4.1. 기술 동향 및 특성 ... 72
  • 2.4.2. SWOT 분석 ... 73
  • 2.4.3. 종합 결론 ... 74
  • 3.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 76
  • 3.1. 연구 개발 방안 및 시험평가 방안 ... 76
  • 3.1.1. 과제 관리계획 (Project Management Plan) ... 76
  • 3.1.2. 시험평가 방안 및 계획 ... 94
  • 3.2. 국제 기술문서 분석 결과 ... 102
  • 3.2.1. RTCA 기술문서 분석 ... 102
  • 3.2.2. ARINC 기술문서 분석 ... 113
  • 3.2.3. GBAS를 위한 Siting 기준 기술문서 분석 ... 133
  • 3.2.4. 무결성 기술문서 분석 ... 148
  • 3.3. GBAS 핵심 알고리즘 개발 방안 ... 176
  • 3.3.1. GBAS 핵심 알고리즘 범위 ... 176
  • 3.3.2. 주요 GBAS 무결성 위협요인 검출기법 ... 177
  • 3.3.3. CAT-I GBAS 한반도 전리층 위협모델 구축을 위한 핵심 기술 ... 204
  • 3.4. 탑재 시험장비 개념 설계 결과 ... 210
  • 3.4.1. 시험 평가 항목 ... 210
  • 3.4.2. 시험 평가 장비 개념도 ... 212
  • 3.4.3. 인터페이스 구성 ... 213
  • 3.5. 시연용 장비 설계 ... 228
  • 3.5.1. GBAS 시연용 장비 요구사항 ... 228
  • 3.5.2. GBAS 시연용 장비 설계 ... 229
  • 3.6. GBAS 구성품 개발 타당성 분석 결과 ... 235
  • 3.6.1. GBAS 기준국용 수신기 개발 타당성 분석 결과 ... 235
  • 3.6.2. VDB(VHF Data Broadcast) 개발 타당성 분석 결과 ... 238
  • 3.6.3. MMR(Muti-Mode Receiver) 개발 타당성 분석 결과 ... 239
  • 3.6.4. GBAS 구성품 국산화 타당성 분석 결과 ... 243
  • 3.7. 후보 시범공항 안전성 및 기술분석 결과 ... 245
  • 3.7.1. 후보 시범공항 비교분석결과 요약 ... 245
  • 3.7.2. 후보 시범공항 비교 세부분석결과 ... 247
  • 3.7.3. 후보 시범공항 GBAS 전파성능 예측결과 ... 267
  • 3.8. 장비 선정을 위한 분석 결과 ... 271
  • 3.8.1. Honeywell SmartPath SLS-4000 ... 271
  • 3.8.2. NEC GBAS 시제품 ... 277
  • 3.8.3. Thales DGRS 610/615 ... 281
  • 3.8.4. SELEX ... 282
  • 3.8.5. 장비선정 기준 및 제품군 비교 ... 284
  • 3.8.6. 최종 도입제품 결정 ... 287
  • 4.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서의 기여도 ... 288
  • 4.1. 연구내용 및 목표달성도 ... 288
  • 4.1.1. 연구목표 및 내용 ... 288
  • 4.1.2. 연구 개발 목표 대비 달성도 ... 290
  • 4.2.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 293
  • 5. 연구개발결과의 활용 계획 ... 295
  • 6. 연구개발을 위한 해외협력 현황 ... 297
  • 6.1. 해외 기술 협력 ... 297
  • 6.1.1. Airservices Australia ... 297
  • 6.1.2. ENRI 기술 협력 ... 302
  • 6.2. GBAS 관련 해외 기술 동향 분석 ... 315
  • 6.2.1. 11차 IGWG 회의 참석을 통한 기술정보 수집 ... 315
  • 6.2.2. 스페인, 독일 GBAS 시스템 운용 현황 조사 ... 333
  • 7. 참고문헌 ... 340
  • 끝페이지 ... 344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