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셰일가스 저류층 특성화 및 평가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the shale gas reservoir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연구책임자 김지훈
참여연구자 강무희 , 김진호 , 선우돈 , 윤영호 , 이영주 , 이현석 , 최종규 , 최지영 , 홍성경 , 그외 다수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4-12
과제시작연도 2014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KA
사업 관리 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등록번호 TRKO201500000682
과제고유번호 1711021760
DB 구축일자 2015-04-18
키워드 셰일가스,저류층 특성화,셰일가스 플레이,경상분지,해남분지,포항분지,셰일가스 부존 가능성Shale gas,Reservoir characterization,Shale gas play,Gyeongsang Basin,Haenam Basin,Pohang Basin,Shale gas feasibility

초록

최종목표
◦ 국내 육상분지 셰일가스 부존 가능성 규명
◦ 셰일 저류층 지질 특성화 및 평가 기술 확보
개발내용 및 결과:
◦ 국내 육상분지 지질 특성 분석
◦ 국내 육상분지 셰일가스 부존 가능성 규명
- 연구 육상분지 선정 (경상/해남/포항분지)
- 셰일층 배태 분지 지질특성 (지질구조, 암상, 층서, 퇴적상, 퇴적환경 등) 분석 및 해석
- 노두/코어 시료 취득
- 셰일 저류층 유기물/비균질성/물성 특성 분석 및 해석
- 경상분지 석유시스템 모델링 실시
- 셰일가스 부

Abstract

Ⅳ. Research results
With the exception of the Gyeongsang Basin, the area of the Haenam Basin and the Pohang Basin is smaller than 200 km2 and the thickness of individual shale in these basins is thin, which is less than a few m. The amount of organic matter contained in shale layer of the Gyeongs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최종보고서 요약서 ... 4
  • 요약문 ... 6
  • SUMMARY ... 10
  • CONTENTS ... 14
  • 목차 ... 18
  • List of Figures ... 22
  • List of Tables ... 38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42
  •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42
  • 1. 연구의 목적 ... 42
  • 2. 연구의 필요성 ... 43
  • 제2절 연구개발 범위 ... 45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48
  • 제1절 국외 현황 ... 48
  • 1. 셰일가스 저류층 특성화 ... 48
  • 2. 셰일가스 저류층 균열 분석기법 ... 66
  • 3. 셰일가스 저류층 가스 부존량 평가기법 ... 68
  • 4. 셰일가스 매장량 평가 ... 69
  • 제2절 국내 현황 ... 71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75
  • 제1절 서 론 ... 75
  • 제2절 국내 육상분지 지질 특성 ... 77
  • 1. 경상분지 ... 77
  • 2. 해남분지 ... 83
  • 3. 함평분지 ... 85
  • 4. 격포분지 ... 87
  • 5. 음성분지 ... 88
  • 6. 영동분지 ... 89
  • 7. 진안분지 ... 90
  • 8. 포항분지 ... 91
  • 9. 공주분지 ... 95
  • 10. 능주분지 ... 96
  • 제3절 국내 육상분지 셰일층 특성 평가 ... 96
  • 1. 시료 채취 및 분석 방법 ... 96
  • 2. 경상분지 셰일층 유기물 및 광물 특성 ... 115
  • 3. 해남분지 셰일층 유기물 및 광물 특성 ... 144
  • 4. 포항분지 셰일층 유기물 및 광물 특성 ... 156
  • 5. 탄화수소 가스 함량 ... 163
  • 6. 원소 분석 ... 164
  • 7. 공극률 ... 172
  • 8. 석유 시스템 모델링 ... 176
  • 제4절 국내 육상분지 셰일층 부존 가능성 규명 ... 194
  • 제5절 캐나다 셰일가스 특성 ... 197
  • 1. 캐나다 셰일가스 특성 ... 197
  • 제6절 혼리버 분지 셰일가스 저류층 특성 ... 210
  • 1. 혼리버 분지 지질 특성 ... 210
  • 2. 탄성파 특성 해석 ... 212
  • 3. 물리검층 해석에 의한 총유기탄소량 분석 및 3차원 가시화 ... 219
  • 4. 유기물 특성, 광물 조성, 원소 분석 ... 228
  • 제7절 셰일가스 저류층 균열 및 물성 특성 ... 249
  • 1. 셰일가스 저류층 특성 ... 249
  • 2. 지역별 셰일 저류층 물성 측정 및 분석 ... 266
  • 3. 이방성 셰일의 취성도 분석 ... 292
  • 제8절 중국 셰일가스 분지 지질 특성 ... 302
  • 1. Brief overview of shale basins in China ... 304
  • 2. Tectonic background and structures of major basins ... 307
  • 3. Sedimentology and stratigraphy ... 322
  • 4. Petroleum geology ... 345
  • 5. Prospective and recommendations ... 366
  • 제9절 요약 및 결론 ... 367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374
  • 제1절 연구목표의 달성도 ... 374
  • 1. 연구 달성도 ... 374
  • 제2절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375
  • 1. 정책적 기여도 ... 375
  • 2. 기술적 기여도 ... 375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377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378
  • 제1절 중국 비전통 에너지 자원 현황 ... 378
  • 제2절 호주 SHARC Ⅱ ... 382
  • 제7장 참고문헌 ... 384
  • 끝페이지 ... 419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