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합재정정보시스템(디지털예산회계 시스템) 평가 및 개선방안
Evaluation of Korea’s Integrated Financial Information System (dBrai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책임자 황혜신
참여연구자 김철회 , 나희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0-12
과제시작연도 2010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사업 관리 기관 한국행정연구원
등록번호 TRKO201500000788
과제고유번호 1105003879
DB 구축일자 2015-05-02

초록

분석결과:
공공부문 사용자의 경우 시스템의 질에 대해서는 대부분 보통 수준의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용의 편리성이나 속도에 대해서는 모든 사용자 집단이 보통 이하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의 질과 관련하여서는 정보의 정확성에 대한 만족도는 시스템의 도입으로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의 충분성에 대한 만족도도 어느 정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의 질에 대한 평가는 대부분 보통 수준을 상회하였으나 시스템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콜센터와의 연결에 대해서는 불만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Results
Most public sector users indicate average satisfaction with the system quality index. Yet, every user group answered that the system was inconvenient to use and that the speed was too slow. When it comes to the information index quality, satisfaction with information accuracy improved sig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간사 ... 4
  • CONTENTS ... 5
  • 표목차 ... 9
  • 그림목차 ... 16
  • 국문초록 ... 19
  • 영문초록 ... 24
  • 제1장 서 론 ... 30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31
  •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 35
  • 제2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및 분석틀 ... 38
  • 제1절 재정개혁과 통합재정정보시스템 ... 39
  • 1. 재정개혁 ... 39
  • 2. 통합재정정보시스템의 개념과 특징 ... 69
  • 제2절 관련 선행연구 ... 74
  • 1. 국내문헌 ... 74
  • 2. 해외문헌 ... 88
  • 제3절 연구의 분석틀 ... 94
  • 1. 정보시스템의 분석모형과 평가지표 ... 94
  • 2. 본 연구의 분석모형과 평가지표 ... 97
  • 3. 조사설계 ... 105
  • 제3장 해외의 통합재정정보시스템 구축현황 ... 112
  • 제1절 주요국의 통합재정정보시스템 ... 113
  • 1. 미국의 통합재정정보시스템 ... 114
  • 2. 영국의 통합재정정보시스템 ... 124
  • 3. 캐나다의 통합재정정보시스템 ... 130
  • 4. 호주의 통합재정정보시스템 ... 133
  • 5. 뉴질랜드의 통합재정정보시스템 ... 136
  • 6. 네덜란드의 통합재정정보시스템 ... 139
  • 7. 프랑스의 통합재정정보시스템 ... 141
  • 제2절 개발도상국의 통합재정정보시스템 ... 143
  • 1. 유럽 : 슬로바키아 ... 145
  • 2. 아프리카 : Republic of Uganda, Sierra Leone, Ethiopia, Tanzania. ... 146
  • 3. 아시아 국가들 : Indonesia, Vietnam, Mongolia ... 154
  • 4. 남미국가 : Brazil ... 155
  • 제3절 해외구축사례의 요약과 시사점 ... 157
  • 제4장 한국의 통합재정정보시스템 구축현황 ... 164
  • 제1절 한국의 재정개혁과 재정관리 ... 165
  • 1. 우리나라 재정의 체계 ... 165
  • 2. 우리나라의 재정개혁 ... 167
  • 3. 우리나라의 회계개혁 ... 176
  • 제2절 한국의 통합재정정보시스템 구축현황 ... 182
  • 1. 우리나라 재정정보시스템의 발전과정 ... 182
  • 2. 우리나라 통합재정정보시스템 도입의 추진경과 ... 193
  • 3.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의 특징 ... 197
  • 제5장 통합재정정보시스템의 평가 ... 214
  • 제1절 조사대상의 인적 특징 ... 215
  • 1. 공공부문 사용자의 인적 특징 ... 215
  • 2. 전문가의 인적 특징 ... 219
  • 제2절 설문결과 분석 ... 222
  • 1. 공공부문 사용자의 평가 결과 ... 222
  • 2. 전문가의 평가 결과 ... 258
  • 제3절 집단간 비교분석 ... 268
  • 1. 공공부문 사용자 집단간 비교 ... 269
  • 2. 전문가 집단과 공공부문 사용자 집단간 비교 ... 296
  • 제6장 문제점 및 개선방안 ... 304
  • 제1절 기반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305
  • 1. 통합재정정보시스템(dBrain)의 근거규정 관련 문제점과 개선방안 ... 306
  • 2. 통합재정정보시스템(dBrain) 관리조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311
  • 제2절 성과지표별 문제점과 개선방안 ... 320
  • 1. 시스템 질 관련 문제점과 개선방안 ... 321
  • 2. 정보의 질 관련 문제점과 개선방안 ... 327
  • 3. 서비스의 질 관련 문제점과 개선방안 ... 332
  • 4. 시스템 활용도 관련 문제점과 개선방안 ... 335
  • 5. 시스템 효과 관련 문제점과 개선방안 ... 338
  • 제7장 결 론 ... 350
  • 참고문헌 ... 356
  • 부 록 ... 366
  • 부록 1. 행정부, 공공기관, 입법부 대상 설문조사지 ... 367
  • 부록 2.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지 ... 378
  • 부록 3. 영국 재무성 출장보고서 ... 383
  • 끝페이지 ... 409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