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북한 교사 역할 비교 분석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eachers’ Role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교육개발원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de
연구책임자 김정원
참여연구자 김지수 , 최유림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4-12
과제시작연도 2014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사업 관리 기관 한국교육개발원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de
등록번호 TRKO201500000734
과제고유번호 1105008698
사업명 한국교육개발원
DB 구축일자 2015-04-18
키워드 역할.교사 역할.비교 연구.남북한.사회 변화.탈북학생.role.teacher’s role.comparative analysis.South and North Korea.Social change.young North Korean migrants.

초록

▣ 연구 결과
▫ 남북한 학교교육의 역사적 배경
해방 이후 최근까지 남북한 학제와 교사양성과정 개편 과정이 지닌 특징은 서로 다른 사회적 맥락 속에서도 일정한 유사점이 있었다. 남북한은 모두 해방 이후 각각의 체제 하에서 학제 정비를 비롯하여 초・중등교육 기반 구축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전후에는 무너진 사회경제적 기반 복구를 위해 기술교육을 강조하였다. 60년대와 70년대를 거치면서는 국가발전을 위한 교육에 강조점을 두면서 국가주의적 성격을 강하게 드러내었다. 80년대 남한은 국제 교류 확대 경향 속에서 한국적 주체성을

Abstract

▣ Final Results
▪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wo Koreas
Comparison between two Koreas’ school systems and teacher education systems since 1945 revealed certain similarities despite the different social contexts. South and North Korea tried to modify the school system right after liberation a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머리말 ... 3
  • 연구요약 ... 5
  • 차례 ... 15
  • 표차례 ... 19
  • 그림차례 ... 21
  • Ⅰ. 서 론 ... 23
  •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25
  • 2. 연구 목적 ... 28
  • 3. 연구 내용 ... 29
  • 4. 연구 방법 ... 30
  •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 방향 ... 41
  • 1. 이론적 배경 ... 43
  • 2. 본 연구의 방향 ... 54
  • Ⅲ. 남북한 학교교육의 역사적 배경 ... 57
  • 1. 남한 ... 59
  • 2. 북한 ... 74
  • 3. 남북한 비교 ... 88
  • Ⅳ. 남북한 교사 역할의 공적 토대: 규정된 교사 역할 ... 93
  • 1. 교육법에 나타난 교사에 대한 공적 요구 ... 95
  • 2. 교사양성과정에 나타난 교사에 대한 공적 요구 ... 120
  • 3. 교사용 정기간행물에 나타난 교사에 대한 공적 요구 ... 139
  • 4. 남북한 비교 ... 148
  • Ⅴ. 교사의 주관적 역할 인식 프레임 남북한 비교 ... 153
  • 1. 프레임의 의미, 분석 도구와 절차 ... 155
  • 2. 남한 교사 ... 160
  • 3. 북한 교사 ... 172
  • 4. 남북한 비교 ... 185
  • Ⅵ. 탈북학생・학부모의 남북한 교사 역할에 대한 경험적 인식 ... 189
  • 1. 연구 참여자 현황 ... 191
  • 2. 탈북학생・학부모가 보는 북한 학교와 교사 상황 ... 193
  • 3. 탈북학생의 교사 역할에 대한 경험적 인식 ... 205
  • 4. 탈북학생 학부모의 교사 역할에 대한 경험적 인식 ... 230
  • 5. 남북한 비교 ... 247
  • Ⅶ. 종합 논의와 결론 ... 249
  • 1. 종합 논의 ... 251
  • 2. 결론 ... 257
  • Ⅷ. 정책적 시사점 ... 261
  • 1. 남북한 교사 통합 관련 ... 263
  • 2. 탈북학생 및 학부모 지원 관련 ... 270
  • 참 고 문 헌 ... 273
  • ABSTRACT ... 285
  • 부 록 ... 297
  • [부록] 북한 교사 관련 정기간행물 토픽 분석 결과, 토픽별 단어 출현 확률 ... 299
  • 끝페이지 ... 30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