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전남대학교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4-05 |
과제시작연도 |
2013 |
주관부처 |
미래창조과학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연구재단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
등록번호 |
TRKO201500002662 |
과제고유번호 |
1711007991 |
사업명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DB 구축일자 |
2015-05-09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500002662 |
초록
▼
본 연구를 통하여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II급으로 분류된 법적보호종인 흰목물떼새(Charadrius placidus)의 1) 기초적인 번식생태 및 행동 특성을 밝히고, 2) 흰목물떼새의 서식지 조건 및 번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기후적 특성을 알아보고, 3) 흰목물떼새의 음성을 이용하여 개체군의 크기, 구조, 및 변동에 대한 효과적이고 야외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모니터링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1) 흰목물떼새의 기초 번식 생태 및 행동 특성:
○ 흰목물떼새 암수 간 형태적 차이는 거의 없으나 이마 검은 선이 수컷에
본 연구를 통하여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II급으로 분류된 법적보호종인 흰목물떼새(Charadrius placidus)의 1) 기초적인 번식생태 및 행동 특성을 밝히고, 2) 흰목물떼새의 서식지 조건 및 번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기후적 특성을 알아보고, 3) 흰목물떼새의 음성을 이용하여 개체군의 크기, 구조, 및 변동에 대한 효과적이고 야외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모니터링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1) 흰목물떼새의 기초 번식 생태 및 행동 특성:
○ 흰목물떼새 암수 간 형태적 차이는 거의 없으나 이마 검은 선이 수컷에서 더 넓고, 암컷이 더 무거움, 번식쌍의 가장 빠른 포란 시작일은 3월 10일경이며, N35˚, 36˚, 37˚ 세 지역 중 37˚지역과 36˚ 지역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
○ Return rate: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총 32개체(수컷 13, 암컷 19)의 흰목물떼새에게 가락지를 부착, 이듬해에 다시 관찰된 개체는 총 8마리(수컷 5마리, 암컷 3마리)로 암컷(15.8%)보다 수컷(38.5%)의 return rate가 더 높았으며, 3년째 암컷 1마리만 관찰.
○ 한배산란수: 한배산란수 완성일은 5.15 ± 1.519 (n=13, range 4 to 8)일, 평균 한배산란수는 3.84 ± 0.447 (n=90)개, 조사된 90개 둥지 중 87.78%인 79개 둥지는 4개의 알을 낳았고, 8.89%가 3개, 3.33%가 2개로 확인, 평균 포란일수는 27.89 ± 1.382일로 나타남
○ 번식성공률: 2012년에는 총 27개의 둥지가 확인, 이들 중 성공한 둥지는 총 18개(66.67%)였고, 부화성공율은 2.58 ± 1.81 개/둥지(61.57%)를 기록, 번식성공율은 1.17 ±1.20 마리/둥지(39.44%), 2013년에는 총 63개의 둥지가 확인, 이들 중 성공한 둥지는 총 40개(63.49%)였고, 부화성공율은 2.37 ± 1.89 개/둥지(61.57%), 번식성공율은 1.65 ± 1.29 마리/둥지(41.51%) 기록, 부화 및 번식 실패 원인은 1) 까마귀나 까치, 수달, 너구리와 같은 강가나 인근을 이용하는 짐승에 의한 포식, 2) 강물 범람, 3) 인간의 레져활동, 그리고 4) 원인불명 등으로 조사.
2) 흰목물떼새의 서식지 조건 및 번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흰목물떼새 둥지 내외 퇴적물 구성요소 파악: 둥지는 자연하천의 사주나 하중도에서 발견, 둥지는 식생이 없는 gravel(<5㎝)과 stone(5-10㎝)이 71.9%(n=21)인 곳에 위치
○ 번식기 흰목물떼새의 서식지 선택: 2012-2013년 동안 흰목물떼새 둥지 45곳과 36곳의 random site에서 추출한 환경요인과 1㎡의 방형구내 미소서식 특성에 기반하여 분석. 둥지에서 물까지, 초지까지, 제방까지 최단거리, 둥지 높이, 둥지를 중심으로 1㎡의 방형구내 퇴적물의 구성요소, bare mud, sand(0.02-2㎜), gravel(<5㎝), stone(5-10㎝), rock(10㎝-), 기타의 항목으로 구분하여 피복(%) 정도를 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모델링한 결과, stone의 피복도(STONEC) 요인이 흰목물떼새의 서식지 선택을 대변하는 최적 모델로 확인. 서식지 선택 모델의 변수 예측값은 log(μ)= -0.774 + 0.022 × STONEC 로 나타남.
3) 흰목물떼새의 음성을 이용한 개체군 모니터링 도구 개발:
○ 흰목물떼새 소리 유형을 분석한 결과 성체 13 call types, 유체 3 call types으로 분류
○ 이들 분류된 call types 중 흰목물떼새 공중비행 Airial call(Type VI)의 개체성을 확인하고, 수컷 17마리를 대상으로 카탈로그화, 이를 토대로 가락지를 끼운 개체를 대상으로 2013년과 2014년 음성변화 유무를 파악하고 표준화된 모니터링 도구 실용화 가능성 확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