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Yonsei University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1-05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건강증진개발원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ion |
등록번호 |
TRKO201500006581 |
DB 구축일자 |
2015-06-13
|
초록
▼
Ⅳ. 연구결과
1. 집단 금연프로그램 개발
집단 금연프로그램은 총 9회기의 내용으로 개발되었으며, 개발된 집단 금연프로그램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 받기 위하여 정신간호학 교수 2인과 남자 고등학교에 재직중인 교사 10인에게 의뢰한 후 수정하는 단계를 거쳤다. 총 9회기의 구체적인 내용은 집단원 소개, 자아존중감 증진 역할모델을 통한 자기효능감 증진, 흡연에 대한 지식제공, 동물실험, 주장훈련, 스트레스 관리, 종결 등으로 구성되었다.
2. 집단 금연프로그램의 효과검증
집단 금연프로그램 처치 전, 처치 직후, 처치
Ⅳ. 연구결과
1. 집단 금연프로그램 개발
집단 금연프로그램은 총 9회기의 내용으로 개발되었으며, 개발된 집단 금연프로그램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 받기 위하여 정신간호학 교수 2인과 남자 고등학교에 재직중인 교사 10인에게 의뢰한 후 수정하는 단계를 거쳤다. 총 9회기의 구체적인 내용은 집단원 소개, 자아존중감 증진 역할모델을 통한 자기효능감 증진, 흡연에 대한 지식제공, 동물실험, 주장훈련, 스트레스 관리, 종결 등으로 구성되었다.
2. 집단 금연프로그램의 효과검증
집단 금연프로그램 처치 전, 처치 직후, 처치 후 3개월, 처치 후 6개월에 흡연 청소년의 니코틴 의존도,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정도는 시점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집단 간에도 시점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행위 변화단계는 사후 조사 III의 시점에서 실험군의 13명, 대조군의 4명이 행동이나 유지단계인 것으로 나타나 사전조사에 비해 실험군은 12명, 대조군은 4명이 흡연행위 변화단계 중 행위단계와 유지단계로 전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변 내 코티닌 함량 조사에서는 실험군의 경우 조사시점별로 감소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F=3.02, p=.06)
, 대조군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F=6.32, p=.004)한 것으로 나타나 이는 집단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라고 사료된다.
Abstract
▼
Adolescent smoking is increasing continuously in Korea. Since most of the adolescent are belong to school in Korea, it is desirable to conduct a smoking prevention program at school. The smoking prevention programs, also need to be done continuously. Most of the former programs, however, are focused
Adolescent smoking is increasing continuously in Korea. Since most of the adolescent are belong to school in Korea, it is desirable to conduct a smoking prevention program at school. The smoking prevention programs, also need to be done continuously. Most of the former programs, however, are focused on one-time class so have no continuit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school-based comprehensive smoking prevention program and to test its effectiveness. As a study frame work, the Prochaska's transtheoretical model which explains stage of change behavior was used.
Study design was quasi-experimental with pre and three post test. Total 41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22 in experimental group and 21 in control group. To see the long-term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articipants were followed after 3 and 6 month. The program was made up total 9 sessions, took 60-70minutes for one session and provided twice a week. The experimental group was devided into 3 small groups and three trained researchers leaded the group.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nicotine dependency, urine cotinine level, self-efficacy, stage of change of smoking behavior, stress level were tested as dependent variables.
Only urine cotinine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the program. The cotinine level and self-efficacy, cotinine level and stres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in experimental group.
Since it is very difficult to decrease adolescent smoking, small group intervention strategies and continuous follow-up was successful to decrease smoking amount.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done to test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ith large study sampl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