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R&D연구보고서]보육시설의 영유아 건강 및 영양 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f Health and Nutrition Management in Child Care Centers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Affairs
보고서유형
최종보고서
발행국가
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
2003-08
주관부처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연구관리전문기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ion
등록번호
TRKO201500006698
DB 구축일자
2015-06-13
초록▼
Ⅰ.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연구의 필요성 □ 0∼6세의 보육아동은 2002년 현재 800,991명으로 0∼2세 아동의 10%, 3∼5세 아동의 30%에 해당되어 영유아 건강증진사업의 주요 대상임. 그러나 보육아동에 대한 건강영양관리는 보육사업 내에서도 소홀히 이루어져 왔으며, 모자보건사업이나 건강증진사업 등 국가 보건사업에서의 지원체계도 거의 부재함.
□ 건강과 안전, 영양적인 환경요인은 보육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 기본요인으로서 외국에서는 이러한 요건을 보육서비스의 기본으로 중요시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Ⅰ.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연구의 필요성 □ 0∼6세의 보육아동은 2002년 현재 800,991명으로 0∼2세 아동의 10%, 3∼5세 아동의 30%에 해당되어 영유아 건강증진사업의 주요 대상임. 그러나 보육아동에 대한 건강영양관리는 보육사업 내에서도 소홀히 이루어져 왔으며, 모자보건사업이나 건강증진사업 등 국가 보건사업에서의 지원체계도 거의 부재함.
□ 건강과 안전, 영양적인 환경요인은 보육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 기본요인으로서 외국에서는 이러한 요건을 보육서비스의 기본으로 중요시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크게 미흡한 부분으로, 개괄적인 지침은 주고 있지만 관련된 세부규정이나 지침이 개발되어 있지 않고, 보육시설 내외에 건강과 안전, 영양을 관리할 수 있는 인력의 확보나 서비스 지원도 매우 미흡한 실정임.
□ 보육서비스가 양적으로 확대되면서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국가나 사회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 및 영양관리에 대해서도 기본 요건 마련과 내실화 방안이 요구되고 있음. 향후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도입과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서는 건강, 안전, 영양 및 급식관리 기준의 마련을 위한 보육시설 영유아에 대한 건강영양 관리 현황 파악과 개선방안의 모색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음.
□ 현재 지역단위 공공보건의료 전달체계의 주축인 보건소에서도 건강증진 시범사업과 모자보건 선도사업의 일환으로 영유아 건강관리를 위한 보육시설 지원 프로그램이 일부지역에서 시범사업으로 시도되고 있어 지역내 보육시설과 보건소와의 연계를 통한 체계적인 영유아 건강관리체계의 구축이 필요한 시점임.
2. 연구목적 첫째, 현행 보육시설의 건강 및 영양관리 여건과 현황을 파악하고, 보육시설에서 요구되는 건강 및 영양서비스 요구도를 도출함. 둘째, 미국, 호주, 독일, 일본 등 선진국의 영유아 보육시설에 대한 건강 및 영양관리제도, 규정, 관리 기준을 비교 고찰함. 셋째, 보육시설과 보건소 연계를 통한 영유아 건강관리 프로그램 운영방향을 제시함. 넷째, 영유아 건강증진을 위한 보육시설 영유아 건강 및 영양관리 개선방안을 제안함.
Abstract▼
Results: Child care services such as day care centers play a vital role in promoting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and acquiring lifetime health and eating habits. Because a child's early years are a critical time for and mental development. However, basic health and nutrition services in most Kore
Results: Child care services such as day care centers play a vital role in promoting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and acquiring lifetime health and eating habits. Because a child's early years are a critical time for and mental development. However, basic health and nutrition services in most Korean child care centers remain organizationally and functionally inappropriate and poor. Of the total surveyed child care centers, only 20.3% had nurses or aid nurses, and 13.4% employed dieticians, including part time workers. 71.2% centers were found to have children's health records. The quality of health and nutrition services varied widely across the types of child care centers. In general, public and non-profit centers were found to outstrip their private and home-based counterparts in performing health checks and managing health records, planning and training of health and safety measures for preventing injury and accident, planning meal services, and following safety and sanitary guidelines. The results of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the existence of health and nutrition personnel is highly associated with the performance of child care centers in such activities as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health protection and education, and collaboration with public health center.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