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대구가톨릭대학교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3-11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건강증진개발원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ion |
등록번호 |
TRKO201500007079 |
DB 구축일자 |
2015-06-13
|
키워드 |
고학력 노인.당뇨병.자가관리.리더.the well-educated elderly.diabetes.self-management.leaders.
|
초록
▼
Ⅳ. 연구결과
1. 고학력 노인의 당뇨병 자기관리를 위한 건강리더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건강리더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보존(β=.31), 동거형태(β=-.33), 규칙적인 식사(β=-.28), 당뇨 지식(β=.18)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요인들은 건강리더 태도를 43% 설명하였으며, 그중 건강보존이 26%로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다.
2. 이를 근거로 12회기 노인 건강리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3. 개발한 노인 당뇨병 자기관리를 위한 노인 건강리더 교육프로그램을 실험군에 적용
Ⅳ. 연구결과
1. 고학력 노인의 당뇨병 자기관리를 위한 건강리더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건강리더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보존(β=.31), 동거형태(β=-.33), 규칙적인 식사(β=-.28), 당뇨 지식(β=.18)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요인들은 건강리더 태도를 43% 설명하였으며, 그중 건강보존이 26%로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다.
2. 이를 근거로 12회기 노인 건강리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3. 개발한 노인 당뇨병 자기관리를 위한 노인 건강리더 교육프로그램을 실험군에 적용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당뇨지식 점수는 실험군이 2.85±3.22, 대조군은 0.74±3.35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44, p =.020).
2) 당뇨병 건강리더 태도의 점수는 실험군이 5.38±11.44, 대조군은 -1.37±17.96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16, p =.038).
3) 자가혈당측정 정확도의 점수는 실험군이 2.03±2.97, 대조군은 0.11±2.77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93, p =.006).
4) 안전운동 지침이행의 점수는 실험군이 2.56±3.74, 대조군은 -0.29±4.60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50, p =.017).
5) 저혈당과 고혈당 대처법의 점수는 실험군이 3.15±3.11, 대조군은 0.23±3.24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4.13, p<. 001).
6) 삶의 질 점수는 실험군이 6.74±16.97, 대조군은 -3.17±20.27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08, p =.045).
Abstract
▼
Ⅳ. Results
1. In the result of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leader attitude for diabetes self-management in the well-educated elderly, the factors included health conservation(β=.31), living arrangement(β=-.33), regular meals(β=-.28) and diabetes knowledge(β=.18) and explained 43% of
Ⅳ. Results
1. In the result of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leader attitude for diabetes self-management in the well-educated elderly, the factors included health conservation(β=.31), living arrangement(β=-.33), regular meals(β=-.28) and diabetes knowledge(β=.18) and explained 43% of the health leader attitude and health conservation among the factors was the highest power of explanation as 26%.
2. Based on this result, 12-session education program for elderly health leaders was developed.
3. The result that education program for elderly health leaders developed for elderly diabetes self-management was applied to a testgroup is as follows.
1) The score of knowledge on diabetes was 2.85±3.22 in the test group and 0.74±3.35 i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significant difference(t=2.44, p =.020).
2) The score of the diabetes health leader attitude was 5.38±11.44 in the test group and -1.37±17.96 i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t=2.16, p =.038).
3) The score of accuracy of self-measurement of blood glucose was 2.03±2.97 in the test group and 0.11±2.77 i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t=2.93, p =.006).
4) The score of guideline performance level of safety exercise was 2.56±3.74 in the test group and -0.29±4.60 i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t=2.50, p =.017).
5) The score of reaction to hypoglycemia and hyperglycemia was 3.15±3.11 in the test group and 0.23±3.24 i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t=4.13, p<. 001).
6) The score of quality of life was 6.74±16.97 in the test group and -3.17±20.27 i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t=2.08, p =.04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