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용 상시 측정 가능한 비침습적 스마트 뇌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Non-invasive Smart Brain Monitoring System for home us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원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5-01
과제시작연도 2014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KA
사업 관리 기관 한국과학기술원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등록번호 TRKO201500007909
과제고유번호 1711017808
DB 구축일자 2015-06-27
키워드 근적외선,뇌 모니터링,뇌출혈,모바일 앱Near Infrared Spectroscopy,Brain monitoring,Cerebral hemorrhage,Mobile,App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500007909

초록

● 엠블란스, 가정에서 뇌출혈 발생을 early detection 하는 시스템을 구현
● 근적외선은 수 mW의 빛으로 대뇌 피질을 투과하여 흡광도에 따른 빛의 세기 변화를 관찰
● 본 기법은 인체에 무해함을 FDA에서 승인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저가의 LED나 PIN photodetector를 사용하기 때문에 초저가 장비 구현이 가능
● 한 손으로 쥘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 소형 프로브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시간으로 처리 및 출력됨
● 측정된 데이터는 신호처리를 통해 혈류량, 산소포화도,

Abstract

Intracranial hematomas are acute disease that can be treatable if diagnosed and given first aid early. Currently there is no system fordetecting brain hematomas which can be used in ambulance. This is followed by invention of handheld medical device which enables to detect intracranial bleeding in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보고서 ... 3
  • 요약문 ... 4
  • SUMMARY ... 7
  • CONTENTS ... 8
  • 목차 ... 9
  •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10
  • 제 1절 연구개발의 목적 ... 10
  • 제 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및 범위 ... 10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11
  • 제 1절 국외 관련분야 기술 개발 ... 11
  • 제 2절 국내 상업용 근적외선 영상기기 ... 13
  • 제 3절 연구결과가 상업화 된 근적외선 뇌 영상기기에 주는 시사점 ... 13
  •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15
  • 제 1절 근적외선 분광기 이론적 기본 원리 ... 15
  • 제 2절 실험적 접근 방법 ... 15
  • 제 3절 연구내용 ... 16
  • 제 4절 연구결과 ... 19
  •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20
  •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22
  • 제 1절 추가 연구의 필요성 ... 22
  • 제 2절 타 연구에 응용 ... 22
  • 제 3절 사업화 추진 방안 ... 22
  •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23
  • 제 1절 뇌출혈 진단 방법 및 연구 ... 23
  • 제 2절 기존 재활 방법 및 연구 ... 24
  • 제 3절 근적외선 뇌 영상 기기를 이용한 뇌출혈 진단 및 재활 연구 동향 ... 25
  • 제 7 장 참고문헌 ... 31
  • 끝페이지 ... 31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