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텃밭농원 유형별 모델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Urban Vegetable Garden Models in Korea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연구책임자 김경미
참여연구자 문지혜 , 정순진 , 이상미 , 이재욱 , 황정임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4-02
과제시작연도 2013
주관부처 농촌진흥청
사업 관리 기관 농촌진흥청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등록번호 TRKO201500010097
과제고유번호 1395030950
DB 구축일자 2015-07-11

초록

Ⅳ. 연구개발결과
제1세부과제에서는 먼저 텃밭농원 참여 도시민의 요구에 따라 텃밭농원 모델의 3개 유형, 즉, 일상취미형, 주말생산형, 복합목적형 텃밭농원을 도출하였다. ‘일상취미형’은 도심 근거리에 위치한 농장을 적은 면적일지라도 취미/여가활동 목적으로 빈번히 방문하여 농작물을 가꾸는 것을 선호하는 도시민을 위한 유형이다. ‘주말생산형’은 다소 먼 거리를 감수하면서도 자가용으로 이동하여 비교적 넓은 면적을 재배하고자 하는 수요에 맞춘 형태이며, ‘복합목적형’은 개인이나 NGO가 운영하는 농장을 선호하면서, ‘취미/여가활동’뿐

Abstract

This study was consisted of five sectors.
The purpose of the first study is to create the base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of urban agriculture by developing urban vegetable garden models in accord with domestic condition and urbanites’ demand. As a result of comprehensive case reviews

목차 Contents

  • 완결과제 최종보고서 ... 1
  • 제 출 문 ... 2
  • 요약문 ... 4
  • SUMMARY ... 9
  • 목 차 ... 12
  • 제 1 장 서 론 ... 13
  • 제 1 절 도시민의 요구분석에 따른 텃밭농원 모델 개발 ... 13
  • 제 2 절 도시텃밭 생산물의 안전성검증 및 환경개선 효과 분석 ... 14
  • 제 3 절 친환경 텃밭 채소 생산 시스템 개발 ... 15
  • 제 4 절 주말농장 친환경재배기술 현장적용 및 효과 분석 ... 15
  • 제 5 절 친환경 베란다 텃밭 활용기술 현장적용 및 효과 분석 ... 19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22
  • 제 1 절 도시민의 요구분석에 따른 텃밭농원 모델 개발 ... 22
  • 제 2 절 도시텃밭 생산물의 안전성검증 및 환경개선 효과 분석 ... 23
  • 제 3 절 친환경 텃밭 채소 생산 시스템 개발 ... 26
  • 제 4 절 주말농장 친환경재배기술 현장적용 및 효과 분석 ... 27
  • 제 5 절 친환경 베란다 텃밭 활용기술 현장적용 및 효과 분석 ... 35
  •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37
  • 제 1 절 도시민의 요구분석에 따른 텃밭농원 모델 개발 ... 37
  • 제 2 절 도시텃밭 생산물의 안전성검증 및 환경개선 효과 분석 ... 99
  • 제 3 절 친환경 텃밭 채소 생산 시스템 개발 ... 149
  • 제 4 절 주말농장 친환경재배기술 현장적용 및 효과 분석 ... 196
  • 제 5 절 친환경 베란다 텃밭 활용기술 현장적용 및 효과 분석 ... 265
  • 제 4 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 기여도 ... 288
  • 제 1 절 도시민의 요구분석에 따른 텃밭농원 모델 개발 ... 288
  • 제 2 절 도시텃밭 생산물의 안전성검증 및 환경개선 효과 분석 ... 288
  • 제 3 절 친환경 텃밭 채소 생산 시스템 개발 ... 291
  • 제 4 절 주말농장 친환경재배기술 현장적용 및 효과 분석 ... 293
  • 제 5 절 친환경 베란다 텃밭 활용기술 현장적용 및 효과 분석 ... 296
  •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299
  • 제 1 절 도시민의 요구분석에 따른 텃밭농원 모델 개발 ... 299
  • 제 2 절 도시텃밭 생산물의 안전성검증 및 환경개선 효과 분석 ... 299
  • 제 3 절 친환경 텃밭 채소 생산 시스템 개발 ... 299
  • 제 4 절 주말농장 친환경재배기술 현장적용 및 효과 분석 ... 300
  • 제 5 절 친환경 베란다 텃밭 활용기술 현장적용 및 효과 분석 ... 300
  •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302
  • 제 1 절 도시민의 요구분석에 따른 텃밭농원 모델 개발 ... 302
  • 제 2 절 도시텃밭 생산물의 안전성검증 및 환경개선 효과 분석 ... 302
  • 제 3 절 친환경 텃밭 채소 생산 시스템 개발 ... 302
  • 제 4 절 주말농장 친환경재배기술 현장적용 및 효과 분석 ... 302
  • 제 5 절 친환경 베란다 텃밭 활용기술 현장적용 및 효과 분석 ... 302
  • 제 7 장 기타 중요 변동사항 ... 303
  • 제 1 절 도시민의 요구분석에 따른 텃밭농원 모델 개발 ... 303
  • 제 2 절 도시텃밭 생산물의 안전성검증 및 환경개선 효과 분석 ... 303
  • 제 3 절 친환경 텃밭 채소 생산 시스템 개발 ... 303
  • 제 4 절 주말농장 친환경재배기술 현장적용 및 효과 분석 ... 303
  • 제 5 절 친환경 베란다 텃밭 활용기술 현장적용 및 효과 분석 ... 303
  • 제 8 장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등록한연구장비현황 ... 304
  • 제 1 절 도시민의 요구분석에 따른 텃밭농원 모델 개발 ... 304
  • 제 2 절 도시텃밭 생산물의 안전성검증 및 환경개선 효과 분석 ... 304
  • 제 3 절 친환경 텃밭 채소 생산 시스템 개발 ... 304
  • 제 4 절 주말농장 친환경재배기술 현장적용 및 효과 분석 ... 304
  • 제 5 절 친환경 베란다 텃밭 활용기술 현장적용 및 효과 분석 ... 304
  • 제 9 장 참고문헌 ... 305
  • 끝페이지 ... 315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