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표수 수문성분 해석기술 개발
Analysis and modeling for surface water hydrological component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연구책임자 김남원
참여연구자 김형섭 , 정일문 , 김철겸 , 원유승 , 이도훈 , 김상현 , 신현석 , 김원식 , 서병하
보고서유형1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4-09
과제시작연도 2003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등록번호 TRKO201500019237
과제고유번호 1350010392
사업명 21C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DB 구축일자 2018-12-01
키워드 수분성분.면적평균강우량.증발산.토양수분.토지이용.농업용수.도시화.저류시설.기후변화.지하수유출.한국형 장기유출모형 SWAT-K.hydrological component.area averagy rainfall.evapotranspiration.soil moisture.land use.irrigation water.urbanization.storage facility.climatic change.groundwater runoff.long term model SWAT-K.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수문성분별 요소의 정량, 정성적인 거동과 상호작용을 규명하는 것으로서, 우리나라 실정에 알맞은 수문성분의 관계의 규명 및 수문성분의 공식화를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각 수문성분의 정성적, 정량적인 거동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강우, 증발산, 토양수분, 인위적 및 자연적 물 순환구조변화성분 부분으로 나누어 독립적으로 각 특성을 규명하는 한편, 이의 각 성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유출모의모형을 개발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며, 이 목표를 향한 실행 연구를 9개 단위 소과제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유출모

Abstract

IV. Results of the Study
In this study, each hydrological component is itemized for each research centers. Overall, the study was categorized in two parts. One is for considering natural hydrology components such as areal average rainfall analysis,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soil moisture pre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보고서 초록 ... 3
  • 요약문 ... 4
  • SUMMARY ... 14
  • CONTENTS ... 24
  • TABLE LIST ... 31
  • FIGURE LIST ... 44
  • 목차 ... 67
  • 표목차 ... 73
  • 그림목차 ... 85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106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 106
  • 제2절 연구 목표 ... 107
  • 제3절 연구 내용 ... 108
  • 1. 장기 강우-유출 모형의 구조 비교 ... 111
  • 2. 유역 물수지 해석 ... 112
  • 3. 면적평균강우의 추정오차, 편의 및 산지효과의 정도 파악 ... 113
  • 4. 실측에 근거한 증발산 추정식의 검정과 차세대 지면모형의 적용 ... 113
  • 5. 국내 유역용 토양수분 예측모형 개발 ... 113
  • 6. 저류시설물에 의한 장기 유출 변동성 및 신뢰도 분석 ... 114
  • 7. 지하수 순환을 고려한 장기 유출 특성 해석 ... 114
  • 8. 기후변화 및 변동에 따른 물순환구조의 변동해석 기술 개발 ... 115
  • 9. 국내 유역에 적합한 장기 강우-유출 모형의 개발 ... 115
  • 제4절 연구 추진 체계 ... 115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118
  • 제1절 장기 강우-유출 모형의 적용 ... 118
  • 제2절 농업용수 이용에 따른 물이용구조 변화 해석기반 구축 ... 120
  • 1. 국외 현황 ... 120
  • 2. 국내 현황 ... 121
  • 제3절 산림식생에 의한 수문학적 영향 평가 ... 123
  • 1. 국외 현황 ... 123
  • 2. 국내 현황 ... 124
  • 제4절 도시화에 따른 유출거동의 특성 분석 ... 126
  • 1. 국외 현황 ... 126
  • 2. 국내 현황 ... 127
  • 제5절 면적평균강우의 추정오차, 편의 및 산지효과의 정도 파악 ... 129
  • 제6절 실측에 근거한 증발산 추정식의 검정과 차세대 지면모형의 적용 ... 132
  • 제7절 국내 유역용 토양수분 예측모형의 개발 ... 134
  • 1. 국외 현황 ... 134
  • 2. 국내 현황 ... 134
  • 제8절 저류시설물에 의한 장기 유출 변동성 및 신뢰도 분석 ... 140
  • 1. 국외 현황 ... 140
  • 2. 국내 현황 ... 140
  • 제9절 지하수 순환을 고려한 장기 유출 특성 해석 ... 142
  • 1. 국외 현황 ... 142
  • 2. 국내 현황 ... 146
  • 제10절 기후변화 및 변동에 따른 물순환구조의 변동해석 기술 개발 ... 150
  • 1. 국외 현황 ... 150
  • 2. 국내 현황 ... 152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156
  • 제1절 장기 강우-유출 모형의 구조 비교 ... 156
  • 1. 서론 ... 156
  • 2. 장기 강우-유출 모형 선정 기준 ... 157
  • 3. 장기 강우-유출 모형의 조사 및 선정 ... 160
  • 4. 물공급전망의 작성 및 발간 ... 166
  • 5. 요약 및 결론 ... 168
  • 제2절 유역 물수지 해석 ... 169
  • 1. 서론 ... 169
  • 2. 장기 강우-유출 모형의 적용 ... 169
  • 3. 농업용수 이용에 따른 물수지 변화 해석 ... 196
  • 4. 식생 변화에 따른 유역 물수지 변화 해석 ... 239
  • 5. 도시화에 따른 물수지 변화 해석 ... 253
  • 6. 요약 및 결론 ... 272
  • 제3절 면적평균강우의 추정오차, 편의 및 산지효과의 정도평가 ... 274
  • 1. 서론 ... 274
  • 2. 1차년 연구: 면적평균강우의 추정오차 및 편의 ... 277
  • 3. 2차년 연구: 산지효과의 영향 파악 ... 289
  • 4. 3차년 연구: 면적평균강우의 추정오차와 유출오차(장기유출해석의 경우) ... 303
  • 제4절 실측에 근거한 증발산 추정식 검정과 차세대 지면모형의 적용 ... 329
  • 1. 서론 ... 329
  • 2. 배경이론 ... 331
  • 3. 실제증발산의 관측 방법 및 관측 장소 ... 359
  • 4. 증발산 추정 경험식의 국내적용결과 ... 363
  • 5. 차세대 모형인 SiB2를 통한 증발산량의 추정 및 검증 ... 374
  • 6. 대관령 지역에서의 증발산 추정 ... 399
  • 7. 태국 TAK에서의 증발산 측정 및 모사 ... 408
  • 8. 식물생태학적 모사를 위한 SiB2의 개선 방향 ... 417
  • 제5절 국내 유역용 토양수분 예측모형의 개발 ... 420
  • 1. 서론 ... 420
  • 2. 토양 수분 예측 인자 고찰 ... 421
  • 3. 수치고도 모형의 격자크기(Resolution) ... 441
  • 4. 알고리즘의 적용 ... 442
  • 제6절 저류시설물 및 수문요소에 의한 장기유출 신뢰도 분석 ... 538
  • 1. 서론 ... 538
  • 2. 저류시설물의 장기유출 영향 메케니즘 규명 ... 538
  • 3. 적정 수문 모형의 선정 ... 557
  • 4. 저류시설물 관련 프로그램 분석 및 개선 ... 558
  • 5. SWAT 모형의 이론적 배경 ... 561
  • 6. 적정 대상유역의 선정 및 모형의 구축 ... 582
  • 7. 저류시설물의 장기유출에 대한 영향 분석 ... 599
  • 제7절 지하수 순환을 고려한 장기유출특성 해석 ... 653
  • 1. 서론 ... 653
  • 2. 기저유출 분리 방법 ... 654
  • 3. 지하수 함양량 산정 방법 ... 656
  • 4. 기저유출 및 함양량 분석결과 ... 658
  • 5. 지하수 저류량-기저유출 관계 분석 ... 685
  • 6. 지표수-지하수 연계모형의 구축 ... 695
  • 7. 지표수-지하수 연계모형의 민감도 분석 ... 731
  • 8. 지표수-지하수 연계모형의 적용 및 비교 ... 739
  • 9. 결론 및 요약 ... 765
  • 제8절 기후변화 및 변동에 따른 물 순환 구조의 변동해석기술 개발 ... 767
  • 1. 서론 ... 767
  • 2. 기법의 조사 ... 767
  • 3. 대상유역의 선정 및 자료의 수집 ... 782
  • 4. 수문 기상자료의 변동성 및 경향 분석 ... 788
  • 5. YONU GCM Tr7W12에 의한 기후모의와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작성 ... 798
  • 6. 축소기법의 개발과 유역규모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작성 ... 818
  • 7. 기후변화가 반영된 일 강수량 / 온도 모형의 개발 ... 830
  • 8.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변화 시나리오의 작성 및 비교 ... 837
  • 9. 기후변화시 용담댐 유역의 지점 강수량 및 온도의 예측 ... 841
  • 10. 예측 강수량 계열의 시계열 특성 분석 ... 844
  • 11. 기후변화가 유역의 가뭄발생 특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846
  • 12. 강수-유출 모형의 선정 및 적용성 검토 ... 856
  • 13. SLURP 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2CO₂)상황의 유출량 모의 ... 894
  • 14. 기후변화가 용담댐 유역의 유출특성에 미치는 영향 ... 896
  • 15. 기후변화가 용담댐 유역의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 ... 904
  • 16. 결론 ... 915
  • 제9절 국내 유역에 적합한 장기 강우-유출 모형의 개발 ... 919
  • 1. 서론 ... 919
  • 2. 모형의 구조 ... 920
  • 3. SWAT-MODFLOW 결합 모형의 개발 ... 966
  • 4. SWAT-SWMM 결합 모형 ... 996
  • 5. SWAT-AGRIMAN 모형의 개발 ... 1048
  • 6. 산림 식생생장 알고리즘 수정 ... 1075
  • 7. 요약 및 결론 ... 1091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1093
  • 제1절 장기 강우-유출 모형의 구조 비교 ... 1093
  • 제2절 유역 물수지 해석 ... 1094
  • 제3절 면적평균강우의 추정오차, 편의 및 산지효과의 정도파악 ... 1095
  • 제4절 실측에 근거한 증발산 추정식의 검정과 차세대 지면모형의 적용 ... 1097
  • 제5절 국내 유역용 토양수분예측모형개발 ... 1098
  • 제6절 저류시설물에 의한 장기 유출 변동성 및 신뢰도 분석 ... 1099
  • 제7절 지하수 순환을 고려한 장기 유출 특성 해석 ... 1099
  • 제8절 기후변화 및 변동에 따른 물순환구조의 변동해석 기술 개발 ... 1101
  • 제9절 국내 유역에 적합한 장기 강우-유출 모형의 개발 ... 1102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1103
  • 제1절 장기 강우-유출 모형의 구조 비교 ... 1103
  • 제2절 유역 물수지 해석 ... 1103
  • 제3절 면적평균강우의 추정오차, 편의 및 산지효과의 정도 파악 ... 1103
  • 제4절 실측에 근거한 증발산 추정식의 검정과 차세대 지면모형의 적용 ... 1104
  • 제5절 국내 유역용 토양수분예측모형개발 ... 1104
  • 제6절 저류시설물에 의한 장기 유출 변동성 및 신뢰도 분석 ... 1105
  • 제7절 지하수 순환을 고려한 장기 유출 특성 해석 ... 1105
  • 제8절 기후변화 및 변동에 따른 물순환구조의 변동해석 기술 개발 ... 1106
  • 제9절 국내 유역에 적합한 장기 강우-유출 모형의 개발 ... 1106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1107
  • 1. 국제 전문 학술지 검색을 통한 문헌 수집 ... 1107
  • 2. 인터넷을 통한 기술보고서 및 적용사례 등의 자료 수집 ... 1108
  • 3. 해외 연구기관 교류를 통한 국제 공동연구의 추진 ... 1109
  • 제7장 참고문헌 ... 1111
  • 부록 A 수문모형별 구조 ... 1146
  • 끝페이지 ... 1164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