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행정연구원 |
연구책임자 |
안혁근
|
참여연구자 |
함종석
,
서재호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5-12 |
과제시작연도 |
2015 |
주관부처 |
국무조정실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행정연구원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
등록번호 |
TRKO201600001038 |
과제고유번호 |
1105010031 |
DB 구축일자 |
2016-04-16
|
초록
▼
4. 결론 및 정책대안
□ 협력적 거버넌스가 지방규제개혁 분야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주요한 이유는 지방규제개혁이 구체적인 내용에 있어서 지방과의 소통, 상향식 의견수렴보다는 중앙정부의 일방적인 정책추진에 지자체가 순응하는 측면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음
□ 중앙주도형 의사결정 체계는 정책결정을 신속하게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동시에 안고 있음
○ 중앙 주도의 규제개혁에서는 상대적으로 규제의 영향을 직접 받는 피규제자 입장을 반영하기가 어렵
4. 결론 및 정책대안
□ 협력적 거버넌스가 지방규제개혁 분야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주요한 이유는 지방규제개혁이 구체적인 내용에 있어서 지방과의 소통, 상향식 의견수렴보다는 중앙정부의 일방적인 정책추진에 지자체가 순응하는 측면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음
□ 중앙주도형 의사결정 체계는 정책결정을 신속하게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동시에 안고 있음
○ 중앙 주도의 규제개혁에서는 상대적으로 규제의 영향을 직접 받는 피규제자 입장을 반영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각각의 규제가 실제로 국민들에게 어떤 불편을 발생시키는지, 또는 국민들이 필요로 하는 규제는 무엇인지 파악하기 어려움
○ 효과적인 규제개혁을 위해서 지방자치단체의 협력과 협조가 필수임에도 불구하고 협조가 이루어지지 않아 규제개혁안이 제대로 집행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함
○ 중앙정부의 규제개선 조치가 지방자치단체의 법규에 제대로 반영・이행되지 않을 경우 규제개선 효과에 한계가 발생할 수 있음
□ 성공적인 규제개혁을 이루기 위해서는 다층적 개혁을 위한 정부 간 협의체를 설치・운영, 지방자치단체 규제개혁기구의 기능강화・활성화, 법령과 조례를 연동하는 법제심사 시스템 구축, 다층적 규제 특성을 반영한 규제등록 제도 개선 등의 제도 개선을 통해 중앙-지방간 협력적 거버넌스를 내실화할 필요가 있음
□ 협력적 거버넌스 및 규제개혁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국내외 협력적 규제거버넌스 사례, 설문조사 결과 등을 종합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적 개선책을 도출하였음
○ 중앙-지방간 협력적 규제거버넌스 구축
- 규제개혁 과정에서의 의사결정이 중앙에서 지방으로 가는 하향식이 아닌 상호보완적 소통체계를 확립하여 국민의 규제개혁 체감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 모색하는 분위기 마련 필요
○ 중앙-지방간 협력적 규제거버넌스 협의체 구성
- 호주 등 OECD 국가들의 다층적 규제거버넌스의 장점에서 볼 수 있듯, 협의체 구성을 통해 지방규제개혁과 관련한 자치단체 의견을 국정에 적극 반영하려는 노력이 필요함
○ 질적 규제관리 및 현장・수요자 중심의 규제개혁 추진
- 양적 규제관리에서 질적 규제관리로의 전환, 현장 중심의 규제 개선을 위한 의견 수렴체계 확립, 담당 공무원들의 적극적 자세 및 역량개발, 규제개혁 과정에서 이해관계가 얽힌 지역주민의 참여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합리적 규제개혁 추진
- 일반적으로 규제개혁이라 하면 모든 규제를 일방적으로 완화・폐지하는 것으로 이해하기 쉬우므로, 규제가 반드시 필요한 부분에 있어서는 규제를 강화하거나 유지하는 등 규제개혁을 합리적으로 운영하여 국민의 신뢰를 얻을 필요가 있음
○ 규제비용총량제 등 제도의 법제화 추진
- 법제화를 통해 정부가 바뀌어도 법에 의해 상시적으로 규제의 합리화가 이어지도록 강제함으로써 이해관계자들에게 정책 불확실성을 해소하여 주고, 정부-지방간 협력적 규제거버넌스의 전문화・효율화로 이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음
○ 지방규제신고센터 내실화 및 지방규제개혁위원회 역할 강화
- 지방규제신고센터를 내실화를 통해 시민들이 직접 불편부담을 주는 지방규제를 발굴하게 함으로써 시민들의 삶의 질과 정책 체감도를 동시에 높이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 또 지방규제개혁위원회의 역할을 강화함으로써 다층적 규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민원인과 주민의 권리침해를 조율하고, 현재 집행되고 있는 규제를 정기적으로 심사하고 평가할 수 있는 체제를 확립할 필요가 있음
Abstract
▼
Although the number of studies conducted for the necessary and successful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governance, the limited fields in cooperative governance have a little performance such as conflict management and disaster safety cooperation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In particula
Although the number of studies conducted for the necessary and successful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governance, the limited fields in cooperative governance have a little performance such as conflict management and disaster safety cooperation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In particular, frontline public officers and related experts acknowledge that collaborative governance is not being properly utilized in policy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or regulatory reform. Therefore, collaborative regulatory governance, which is easily available in the field in order to increase not only policy efficiency but also people’s sensory level is required for practical and substantial local regulatory reform. This study reveals the reasons why collaborative regulatory governance is not active during the local regulatory reform process.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proposes effective policy options in order to increase people’s sensory levels during the process of regulatory reform.
Collaborative governance refers to a public agency’s policy decision which includes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resources, resolving the social conflict and efficient implementation of public policy based on social consensus. Regulatory reform means any changes to increase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quality of regulations and to improve the legal validity of regulations. Since the mid-1990s, regulatory governance has expanded the means of regulatory reform from the reduction of the quantity of regulations to improving the quality of regulations, called better regulati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ollaborative governance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mainly focused on the subjects, such as inter-governmental conflicts, disasters under non-routine circumstances, and so on. Previous studies requires close cooperation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Previous studies about regulatory reform largely focus on the regulatory reform system promo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overall regulatory reform which does not focus only on local regulatory reforms separately.
Based on the theoretical analysis of collaborative governance and regulatory reform, regulatory governance is mainly domin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research on collaborative governance and regulatory reform, these studies proposed the cooperation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introduction of multi-layered regulatory reforms system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regulatory reform, a faith regulatory impact analysis, active public officials’ behavior, and so on.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regulatory reform i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ublic officials answered that local regulatory reform should be conducted under collaborative regulatory governance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lso, local regulatory reform should focus on regional diversity and characteristics. Second, local governments require several subsidie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for things such as personnel, budget, concrete business manuals, information and technical support, and training. Third, the problems of the local regulatory reforms are ambiguous regulations and standards, a lack of consistency between laws and ordinances, red tape, unreasonable regulations, and so on. Fourth, more effective measures during local regulatory reforms are an integrated local regulatory reforms information system, a local regulations information map, a center for provincial regulatory reports, and a business vitality index. Sixth, in order to improve people’s overall satisfaction level about regulatory reform, the result shows that encouraging active attitudes and establishing an exemption system are most needed.
The main reasons that collaborative governance is not actively used in local regulatory reform are a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a centralized driven decision-making process without gathering and reflecting opinions from those on the frontline employees. In order to achieve successful regulatory reform, the following is required: establishing an inter-governmental council, collaborative governance including the enforcement function of organizations for regulatory reform, constructing a legislative review system, improving the regulatory registration system reflecting multi-tiered regulatory characteristics. Based on comprehensive analysis about theories and a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collaborative governance and regulatory reforms, case studies of collaborative regulatory governance, and questionnaire survey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First, constructing an inter-governmental collaborative regulatory governance.
Second, establishing an inter-governmental council for collaborative regulatory governance
Third, propelling regulatory reform driven by the quality control of regulations, fields, and demands.
Fourth, propelling rational regulatory reform
Fifth, propelling the enaction of legislation of system such as the regulatory total amount system
Sixth, tightening the role of the center for unreasonable local regulation reports and the committee of local regulatory reform
In order to activate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system, this study proposes a Korean-type inter-governmental collaborative governance system based on analyzing the systems and operations of existing successful collaborative governance case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to promote regulatory reform reflecting the diversity and characteristics of local autonomy. It is different from the past top-down approach.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concentrate regulatory reform according to the specialization strategy of local government by strengthening the regulation review function and minimizing new and existing unnecessary regul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es the high possibility of self-sustained regulatory reform through competitiveness among local governments.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간사 ... 3
- 목차 ... 4
- 표목차 ... 7
- 그림목차 ... 8
- 국문요약 ... 18
- 영문요약 ... 27
- 제1장 서 론 ... 33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34
- 제2절 연구의 목적 ... 38
- 제3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0
- 1. 연구의 범위 ... 40
- 2. 연구방법 ... 43
- 제2장 협력적 거버넌스와 지방규제개혁의 이론적 배경 ... 45
- 제1절 협력적 거버넌스의 개념 및 특징 ... 46
- 1. 협력적 거버넌스의 개념 ... 46
- 2. 협력적 거버넌스의 유용성과 한계 ... 48
- 3. 중앙-지방 정부 간 협력적 거버넌스 ... 52
- 제2절 지방규제개혁 ... 56
- 1. 규제개혁의 이론적 배경 ... 56
- 2. 지방자치단체 규제의 특징 ... 60
- 3. 지방자치단체 규제개혁 추진체계 및 다층적규제의 관리 ... 64
- 4. 지방자치단체 규제 및 규제개혁 현황 ... 67
- 제3절 선행연구 분석 ... 79
- 1. 중앙-지방 협력적 거버넌스 관련 선행연구 ... 79
- 2. 규제개혁 관련 선행연구 ... 84
- 제3장 중앙-지방 협력적 규제거버넌스의 국내외 사례 분석 ... 91
- 제1절 우리나라 중앙-지방 협력적 거버넌스 사례 ... 92
- 1. 개요 ... 92
- 2. 한강수계관리분야의 중앙-지방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조 ... 93
- 3. 광역교통 분야의 중앙-지방 정부 간 협력적 거버넌스 구조 ... 103
- 4. 우리나라 중앙-지방 협력적 거버넌스 사례의 시사점 ... 111
- 제2절 중앙-지방 정부 간 협력적 규제거버넌스 사례 ... 113
- 1. 중앙-지방 정부 간 규제거버넌스의 구조와 관리 ... 113
- 2. 문화재보호분야의 다층적 규제거버넌스 ... 115
- 3. 규제개혁을 위한 다층적 규제거버넌스의 문제점 ... 124
- 제3절 OECD 국가인 호주의 다층적 규제관리 거버넌스 사례 ... 127
- 1. 개요 ... 127
- 2. 다층적 규제관리 거버넌스의 유형 ... 128
- 3. 다층적 규제개혁 거버넌스의 협력구조 ... 130
- 4. 호주 정부의 다층적 규제개혁 거버넌스의 구조와 운영 ... 131
- 5. OECD 국가와 호주의 다층적 규제개혁 거버넌스의 시사점 ... 135
- 제4장 협력적 규제거버넌스 인식조사 ... 137
- 제1절 설문조사 개요 ... 138
- 1. 설문조사 대상자 ... 138
- 2. 설문지 구성 ... 146
- 3. 조사대상 별 설문내용 구분 ... 150
- 제2절 설문조사 결과분석 ... 153
- 1.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153
- 2. 설문조사 결과 분석 ... 155
- 제3절 설문조사 주요 결과 요약 ... 244
- 제5장 결 론 ... 260
- 제1절 연구요약 ... 260
- 제2절 정책제안 ... 265
- 1. 중앙-지방간 협력적 규제거버넌스 구축 ... 265
- 2. 중앙-지방간 협력적 규제거버넌스 협의체 구성 ... 268
- 3. 질적 규제관리 및 현장・수요자 중심의 규제개혁 추진 ... 271
- 4. 합리적인 규제개혁 추진 ... 274
- 5. 규제비용총량제의 법제화 추진 ... 276
- 6. 지방규제신고센터 내실화 및 지방규제개혁위원회 역할 강화 ... 278
- 참고문헌 ... 281
- 부록 ... 289
- 부록1. 설문지 ... 290
- 부록2. 문항별 교차분석표 ... 307
- 끝페이지 ... 38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