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관연구기관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
연구책임자 |
지인배
|
참여연구자 |
김현중
,
서명천
,
박주영
,
서강철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5-08 |
과제시작연도 |
2015 |
주관부처 |
국무조정실 |
사업 관리 기관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
등록번호 |
TRKO201600001474 |
과제고유번호 |
1105010511 |
DB 구축일자 |
2016-05-14
|
초록
▼
연구결과 및 시사점
말산업의 현안 과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주마의 승용마 이용으로 인한 안전 문제와 유통시장 불신, 둘째 전문승용마 부족, 셋째, 실내 마장과 외승로 등 승마시설의 부족, 넷째, 말 사육 및 승마 교육 전문인력 부족등이다. 이에 대한 말산업 육성 정책의 현안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승마시설의 인허가와 농지전용 문제, 둘째, 승용마 공급체계의 미비, 셋째, 한라마의 공급과잉 문제, 넷째, 승마장의 전기요금 문제 등이다.
이와 같은 말산업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말산
연구결과 및 시사점
말산업의 현안 과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주마의 승용마 이용으로 인한 안전 문제와 유통시장 불신, 둘째 전문승용마 부족, 셋째, 실내 마장과 외승로 등 승마시설의 부족, 넷째, 말 사육 및 승마 교육 전문인력 부족등이다. 이에 대한 말산업 육성 정책의 현안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승마시설의 인허가와 농지전용 문제, 둘째, 승용마 공급체계의 미비, 셋째, 한라마의 공급과잉 문제, 넷째, 승마장의 전기요금 문제 등이다.
이와 같은 말산업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말산업 육성 방향을 다음과 같이 여덟 가지 항목으로 정리하였다. 말산업의 고부가가치 산업화, 수요와 공급의 균형 있는 발전, 경마와 승마의 분리 발전, 유소년 승마 활성화, 승마산업 발전을 위한 규제 완화, 실수요 중심의 선택과 집중, 승마의 대중화와 6차산업화, 승마 활성화를 위한 관계부처와의 협력체계 구축이다.
말산업 육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우선 제도적인 측면에서 승마장과 농어촌형 승마시설의 설치 가능 지역 확대, 승마장의 전기요금을 농업용으로 적용, 수요가 많은 곳에 대한 지원 확대 등을 제시하였다. 전문승용마 공급체계 구축을 위한 방안으로 우수 전문승용마 수입 보급, 한라마의 승용마이용, 사육농가와 승마장에 대한 경영 컨설팅 지원, 전문조련센터 설치 확대, 승용마 이력제와 경매제 도입 등을 제시하였다. 승마수요 확대를 위한 유소년 승마 활성화를 위해서는 유소년 승마 활성화 전담조직 설치, 승마산업 육성협의체 구성, 지역별 유소년 승마단 창단, 지역 승마대회 활성화, 승마의 학교체육 정규교과 편입, 승마시설 인증제 도입, 기승능력 인증제 도입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외에 말 사육 및 승마교육 전문인력 양성과 보험 제도 개선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부분에서는 제시한 세부 정책방안들의 시급성과 우선 순위 등을 고려하여 말산업 육성 방안 추진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Abstract
▼
Research Results & Implication
The current horse industry has the following problems: 1) the safety issue and distrust of the circulation market owing to the use of racehorses as riding horses; 2) lack of saddle horses; 3) insufficient indoor horse riding facilities and outdoor equestrian trails;
Research Results & Implication
The current horse industry has the following problems: 1) the safety issue and distrust of the circulation market owing to the use of racehorses as riding horses; 2) lack of saddle horses; 3) insufficient indoor horse riding facilities and outdoor equestrian trails; and 4) shortages of horse breeding and horse riding training experts. The issues in the policies for nurturing the horse industry are as follows: 1) approval for horse riding facilities and farmland conversion; 2) an inadequate supply system of saddle horses; 3) an oversupply of Halla horses; and 4) the problem of equestrian centers' electric charges.
To solve these problems of the horse sector, this research set the direction for its development like the following eight items: development of the horse industry into a high value-added industry; balanced growth of supply and demand; separate development of horse racing and riding; vitalization of children's horse riding; deregulation for the growth of the equestrian industry; selection and concentration focusing on actual demand; popularization and sixth industrialization of horse riding; and establishment of a cooperation system with relevant ministries for promoting riding.
As for detailed measures to nurture the horse industry, in the institutional aspect, we suggested increasing regions that can construct equestrian centers and rural horse riding facilities, applying electric charges for agricultural use to equestrian centers, and expanding support for places with high deman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upply system of saddle horses, we proposed importing excellent riding horses, using Halla horses for riding, supporting management consulting for horse farms and equestrian centers, increasing horse training centers, and adopting traceability and auction systems of riding horses. To vitalize children's riding for a rise in demand for horse riding, it is necessary to set up a department in charge of the promotion of children's riding, establish a council for nurturing the equestrian industry, found a youth club for horse riding in each region, promote local equestrian competitions, include riding in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introduce certification systems for horse riding facilities and equestrian abilities. Additionally, it is needed to foster experts in horse breeding and equestrian education and to improve the insurance system. Last, we presented a mid- and long-term road map for the ways to promote the horse industry, considering the urgency and priority of these detailed policy measures.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머리말 ... 3
- 요약 ... 5
- ABSTRACT ... 7
- 목차 ... 10
- 표목차 ... 12
- 그림목차 ... 16
- 제1장 서 론 ... 19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9
- 2. 선행연구 검토 ... 21
- 3. 연구 범위 및 방법 ... 24
- 제2장 말산업 현황과 말산업 육성 정책 현황 ... 27
- 1. 말산업 현황 ... 27
- 2. 말산업 육성 정책 현황 ... 38
- 제3장 말 사육농가와 승마시설 경영실태 분석 ... 51
- 1. 승용마 생산농가 경영실태 분석 ... 51
- 2. 승마시설 경영실태 분석 ... 63
- 3. 말 사육농가와 승마시설 경영실태 분석의 시사점 ... 83
- 제4장 소비자의 승마수요 분석 ... 87
- 1. 기본 현황 ... 87
- 2. 승마 관련 제도 도입 의향과 전문승용마 기승 의향 ... 94
- 3. 승마의 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IPA) ... 97
- 4. 승마에 대한 선호도 분석 ... 103
- 5. 소비자 승마수요 분석의 시사점 ... 109
- 제5장 말산업과 말산업 육성 정책의 과제 ... 113
- 1. 승마산업 발전의 제약 요인 ... 113
- 2. 말산업 육성 정책의 현안 과제 ... 120
- 제6장 국내외 승마산업 활성화 사례와 시사점 ... 129
- 1. 국내외 승마 활성화 사례 ... 129
- 2. 말산업 6차산업화 사례 ... 149
- 제7장 말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 방안 ... 165
- 1. 말산업 육성 방향 ... 165
- 2. 말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방안 ... 169
- 3. 말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 189
- 제8장 요약 및 결론 ... 195
- 부 록 1 말 사육농가 조사 ... 205
- 부 록 2 승마시설 조사 ... 210
- 부 록 3 승마 소비자 선호도 조사 ... 219
- 참고 문헌 ... 227
- 끝페이지 ... 231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