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연구책임자 |
이경상
|
참여연구자 |
조용하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5-12 |
과제시작연도 |
2015 |
주관부처 |
국무조정실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
등록번호 |
TRKO201600001571 |
과제고유번호 |
1105009527 |
사업명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DB 구축일자 |
2016-05-07
|
키워드 |
나눔활동.봉사활동.기부활동.청소년 나눔교육.청소년 봉사관련 동아리활동.Sharing activities.Volunteer activities.Adolescent sharing education.Adolescent volunteer-related club activities.
|
초록
▼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양극화, 개인주의의 강화 등으로 인해 약화되고 있는 청소년들의 사회공동체성을 강화시키기 위해서 봉사, 물질기부 등 청소년 나눔활동 관련 정책들의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첫째, 봉사, 물질기부 등 청소년 나눔활동의 개념, 영향요인, 참여효과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둘째, 국내외 주요 청소년 나눔활동 관련 정책현황의 특성에 대해 간략히 살펴본 후, 셋째, 청소년 나눔활동의 실태에 대한 양적, 질적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전문가 FGI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양극화, 개인주의의 강화 등으로 인해 약화되고 있는 청소년들의 사회공동체성을 강화시키기 위해서 봉사, 물질기부 등 청소년 나눔활동 관련 정책들의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첫째, 봉사, 물질기부 등 청소년 나눔활동의 개념, 영향요인, 참여효과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둘째, 국내외 주요 청소년 나눔활동 관련 정책현황의 특성에 대해 간략히 살펴본 후, 셋째, 청소년 나눔활동의 실태에 대한 양적, 질적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전문가 FGI를 실시한 다음, 넷째, 정책협의회 등을 거쳐 청소년 나눔활동에 대한 최종적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지난 1년간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83.9%가 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며, 51.8%가 물질기부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나눔활동 관련 사회자본, 도움기회, 주변인 인지, 개인규범, 이타적 동기, 나의 즐거움 등 다양한 요인들이 청소년들의 나눔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나눔활동 중 기부활동,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 학교 교육과정으로 계획된 봉사활동의 순으로 청소년들의 개인적, 사회적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조사결과에서도 양적 조사와 비슷한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전문가 FGI에서는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의 확대 필요, 봉사관련 동아리 활동의 활성화 필요, 청소년 기부활동의 신중한 활성화의 필요, 청소년 나눔활동 교육의 강화 등이 제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 시간 확대, 청소년 나눔활동 교육 강화, 봉사관련 동아리활동의 활성화, 청소년 기부활동의 제한적 활성화, 청소년 나눔활동의 지역사회 연계강화, 청소년 나눔활동 전문 코디네이터의 신설, 청소년 나눔활동 담당교사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 등의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e of policies related to sharing activities of adolescents such as volunteering and donating goods to strengthen the social communal character of adolescents that has been weakening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bipolarization and individualism, an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e of policies related to sharing activities of adolescents such as volunteering and donating goods to strengthen the social communal character of adolescents that has been weakening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bipolarization and individualism, and to present improvement plans.
For this, first, the concept of adolescent sharing activities such as volunteering and donations, impact factors, and theoretical discussions on participation effects were examined. Second, after taking a brief look at the features of policies related to major adolescent sharing activities of Korea and abroad, thir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state of adolescent sharing activities. After conducting expert FGI on experts, fourth, final improvement plans were suggested on adolescent sharing activities through policy meeting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83.9% of Korean adolescents participated in volunteer activities in the past year and 51.8% made donations. It was found that various factors related to sharing activities such as social capital, opportunity to make contributions, awareness of friends and family, personal norms, altruistic motivation, and personal enjoyment affected adolescents in participation of sharing activities.
Also, sharing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the personal and social growth of adolescents in the order of donation activities, self-planned volunteer activities, and volunteer activities planned out as school educational courses. Similar results were deduced in qualitative studies as well. In the expert FGI, need to expand self-planned volunteer activities, need to promote volunteer-related club activities, need for careful activation of adolescent donation activities, and strengthening of sharing activity education for adolescents were presented.
Based on this, policy tasks such as increased self-planned volunteer activity time, strengthened adolescent sharing activity education, activation of volunteer-related club activities, limited promotion of adolescent donation activities, strengthened linking with community of adolescent sharing activities, establishment of expert coordinators for adolescent sharing activities, and strengthened incentives for teachers in charge of adolescent sharing activities were presented.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간사 ... 4
- 국문초록 ... 6
- 연구요약 ... 8
- 목차 ... 12
- 표목차 ... 14
- 그림목차 ... 15
- 제 I 장 서론 ... 16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8
- 2. 연구내용 ... 21
- 제Ⅱ장 이론적 논의 ... 24
- 1. 청소년 나눔활동의 개념 ... 26
- 2. 청소년 나눔활동의 참여요인 및 참여효과 ... 27
- 3. 청소년 나눔활동에 대한 국내외 정책현황 ... 31
- 1) 청소년 나눔활동에 대한 국내 주요 정책현황 ... 31
- 2) 청소년 나눔활동에 대한 외국 주요 정책현황 ... 35
- 제Ⅲ장 연구방법 ... 40
- 1. 문헌연구 ... 42
- 2. 콜로키움 ... 42
- 3. 양적 설문조사 ... 43
- 4. 질적 면접조사 ... 52
- 5. 전문가 자문 ... 55
- 6. 전문가 FGI ... 55
- 7. 정책협의회 ... 55
- 8. 전문가 워크숍 ... 56
- 9. 이슈브리프 발간 ... 56
- 제Ⅳ장 분석 결과 ... 58
- 1. 양적 설문조사 결과분석 ... 60
- 2. 질적 면접조사 결과분석 ... 77
- 3. 전문가 FGI 결과분석 ... 90
- 제Ⅴ장 결론 ... 104
- 1. 연구의 요약 ... 106
- 2. 정책적 제언 ... 108
- 참고문헌 ... 118
- 부록 ... 126
- 부록 1. 한국 청소년의 나눔활동에 대한 대한 조사 ... 128
- Abstract ... 148
- 끝페이지 ... 151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