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연구책임자 |
남욱현
|
참여연구자 |
김주용
,
홍세선
,
양동윤
,
이상헌
,
최한우
,
임재수
,
이진영
,
김진철
,
박효석
,
카츠키코우타
,
김지성
,
박수정
,
정기영
,
Martin Smith
|
보고서유형 | 연차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6-12 |
과제시작연도 |
2016 |
주관부처 |
미래창조과학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등록번호 |
TRKO201700000446 |
과제고유번호 |
1711041316 |
사업명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 |
DB 구축일자 |
2017-09-20
|
키워드 |
제4기.금강.지질도.고기후.고환경.Quaternary.Geum River.geological map.paleoclimate.paleoenvironment.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700000446 |
초록
▼
개발결과 요약
최종(연차)목표
○ 제4기 지층 기재 및 분류 기술, 표층 층서 설정 기술 (2년차 65% 달성)
- 제4기 지층 분포 파악, 분류유형 설정 및 암층서/시층서 설정
○ cross-section 기반의 충적층 3D 모델링 작성
- 지질정보 추출 및 중첩 기술 개발, 충적층 3D 모델링 개발
○ 한반도 중서부의 제4기 (선사/역사시대) 인간과 자연의 상호 반응 추적
- 선사, 역사 시대의 인간간섭 추적 (벽골제, 능제, 요교호 등)
개발내용 및 결과
○ 시추공
개발결과 요약
최종(연차)목표
○ 제4기 지층 기재 및 분류 기술, 표층 층서 설정 기술 (2년차 65% 달성)
- 제4기 지층 분포 파악, 분류유형 설정 및 암층서/시층서 설정
○ cross-section 기반의 충적층 3D 모델링 작성
- 지질정보 추출 및 중첩 기술 개발, 충적층 3D 모델링 개발
○ 한반도 중서부의 제4기 (선사/역사시대) 인간과 자연의 상호 반응 추적
- 선사, 역사 시대의 인간간섭 추적 (벽골제, 능제, 요교호 등)
개발내용 및 결과
○ 시추공 70개 등 108개 시추공 정보 확보
○ 정밀 지표 지형조사 완료 (서천,군산,정읍,부안,한산 1:5만 지형도)
○ domian 및 profile type 초안 제시
○ 도심지질도 작성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완료 (전주 혁신도시)
○ 선현세-현세 고토양층의 퇴적기작 해석
○ 연대측정 정밀도 향상 (C-14, OSL, Cs-137, Pb-210)
○ 기후 모델링을 위한 제4기 환경 자료 선별 축적
○ 역사시대 인위적 호소 퇴적물 (벽골제, 능제, 요교호) 이동 추적
○ 금강 구석기 유적지 (만수리, 소로리, 노산리) 일대의 지층 분석
기대효과
○ 관측 기록으로는 알 수 없는 과거 수천-수만년 동안의 자연환경 현상 복원을 시도함으로써 한반도 지형, 지질, 식생 변천사 확립에 기여함
○ 온난화에 따라 한반도에서 어떠한 지표 환경변화가 일어날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앞으로의 환경변화 예측에 기여함
○ 제4기 층서 정립과 퇴적층 연구를 위한 첨단 연구기반을 확보하고, 제4기와 관련한 지질학, 지형학, 고고학 등 학제간 연계 강화에 기여함
적용분야
○ 사회간접자본 (SOC) 확충에 따른 건설재료원 확보, 충적층의 수문관리 및 농지활용, 사면불안정 및 해안침식 등 지질재해 경감 정보제공, 저습지 복원과 활용성 제고, 비금속 산업원료 산지 확보, 고고문화유산 발굴을 위한 퇴적층 정보 제공, 연약지반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지질정보 제공 등에 활용 가능함
Abstract
▼
III. Results
(1) Development of KIGAM Quaternary Mapping Model
- We’ve successfully completed quaternary geological mapping over the mid-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specifically Seocheon, Gunsan, Iksan, Jeongeup, Buan and Hansan regions. We've identified the distribution of Quaternary al
III. Results
(1) Development of KIGAM Quaternary Mapping Model
- We’ve successfully completed quaternary geological mapping over the mid-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specifically Seocheon, Gunsan, Iksan, Jeongeup, Buan and Hansan regions. We've identified the distribution of Quaternary alluvium using 1:25,000 geological map. We also identified that the sedimentation processes of Gunsan area were dominated by tide during the early and mid Holocene.
- Development of a new technique that can identify the natural geomorphological map from the current morphostratigraphy.
- Development of a new technique that can reconstruct the natural geological map from the lithostratigraphic information.
(2) 3D urban geological mapping
- In collaboration with British Geological Survey (BGS), we’ve built a database and developed a 3D geological model over an urban area, specifically western Jeonju region, where a new suburb is rapidly constructed. Specifically, we collected core information over the construction sites and identified basic Quaternary stratigraphy in several regions. We are also working on building a database for the entire areas of the mid-western Korea peninsula. In the future, this experimental 3D geological modeling system can be further extended to visualize 3D quaternary geological structure over wide areas of quaternary stratum.
(3) Development of techniques for the reconstruction of Quaternary surface environment
- Holocene climate changes: We've investigated paleosol sediments in Hanam area around the Han river using total organic carbon content and carbon isotope values. The results of 14C and OSL datings indicate that the 270-cm long paleosol sediments have been formed at least 48,000 years ago. Moreover changes in the sedimentary carbon isotope (δ13C) values revealed that C4 plant abundance in the study area was dynamically tied to continent ice volume variability on multi-millennial time scales.
(4) Development of new techniques for identifying Holocene human activity
- We collected and analyzed diatoms to identify sea level changes over the mid-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Specifically, we identified how sea level changes affected ancient human activities along the coasts and the river mouths. Moreover, we found several strata showing evidences of artificial sediments associated with ancient human activities over Byeokgol-je reservoir - we are actively analyzing the sediments to better understand the origin of the Byeokgol-je reservoir.
- We carefully examined oxidized sediments of Korean west coast to identify any signal of past human activities. We also examined Keum river terrace that was deposited during late Pleistocene to classify quaternary strata.
목차 Contents
- 표지 ... 1제 출 문 ... 2연차보고서 요약서 ... 3요 약 문 ... 4SUMMARY ... 7CONTENTS ... 11목차 ... 12표목차 ... 13그림목차 ... 13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15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15 제2절. 연구개발 범위 ... 15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17 제1절. 국내 제4기 지질연구 현황 ... 17 제2절. 국외 제4기 지질연구 현황 ... 17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19 제1절. 제4기 지질도 작성 기술 개발 ... 19 1. 제4기 지질도 작성 ... 19 2. 서천 도폭 ... 25 3. 군산 도폭 ... 34 4. 정읍 도폭 ... 43 5. 부안 도폭 ... 48 6. 한산 도폭 ... 55 제2절. 도심지역 지질정보 추출 기술 개발 ... 60 1. 도심지역 제4기 지질도 및 3D 지질모델 작성 workflow ... 60 2. 3D 지질모델을 통한 제4기 지질정보의 응용과 활용 분야 확장 ... 64 제3절. 인간간섭 영향 복원 기술 개발 ... 67 1. 서해안 시추코어 내 산화퇴적물 분포에 대한 고찰 ... 67 2. 금강 유역의 후기 플라이스토세 단구지형의 층서적 논의 ... 70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75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77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78제7장 참고문헌 ... 93끝페이지 ... 97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