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식품유형으로 판매되고 있는 흑삼의 기준 규격안 마련을 위해 인삼류에 관한 규격 및 다양한 안건에 대해 조사하였다. 현재 국내·외 선진국들의 인삼류 지표물질 및 유해물질 관련 규격에 대해서 조사함으로써 각 규격 설정에 대한 기틀...
다양한 식품유형으로 판매되고 있는 흑삼의 기준 규격안 마련을 위해 인삼류에 관한 규격 및 다양한 안건에 대해 조사하였다. 현재 국내·외 선진국들의 인삼류 지표물질 및 유해물질 관련 규격에 대해서 조사함으로써 각 규격 설정에 대한 기틀을 마련하였다. 문헌조사를 토대로, 인삼, 홍삼, 흑삼의 가공방법의 차이점과 이로부터 나타나는 이화학적 특성 및 지표성분인 진세노사이드의 변화량을 검토하였으며, 흑삼에서 특이적인 지표성분 후보군으로는 Rk1, Rg5 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두 물질과 기존 홍삼에 존재하는 지표성분인 Rg3를 포함한 지표성분 규격(안) 및 진세노사이드 시험방법(안)을 제시하였다. 메타분석에 기인한 각 기능성별 모든 논문 데이터 통합으로부터 흑삼의 기능성 내용의 신뢰도가 문헌기반으로는 아직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문헌으로부터 인삼, 홍삼에는 명시되지 않은 흑삼 특수 기능성내용을 검토하기 위해 문헌 조사 및 지표성분량에 근거한 통계적 추론을 진행하였다. 조사로부터, 흑삼의 기능성은 문헌기반으로 신뢰성을 찾기에는 근거가 적으며, 기능성 내용 검증을 위한 연구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흑삼 섭취 시 사람에게 해로울 수 있는 유해물질들의 발생 가능성을 조사하였으며, 중금속 및 벤조피렌의 국내·외 규제와 다양한 문헌을 근거로 하여 중금속의 규격(안)을 제시하였고, 기존 인삼산업법에서 제시한 벤조피렌 규격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연구자들과 인삼 산업 종사자들의 의견을 자문위원회를 통해서 수렴하였으며, 이로부터 흑삼의 규격(안) 제안 및 향후 보완사항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출처 : 국문요약문 6P)
Abstract ▼
Now, black ginseng products were sold in many companies as a food, not categorized as a functional food. But black ginseng could b...
Now, black ginseng products were sold in many companies as a food, not categorized as a functional food. But black ginseng could be categorized as a red ginseng, because of similar making process. So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among many kinds of ginseng (white ginseng, red ginseng and black ginseng) and its products. Initially, we compared the chemical composition, which could be altered by heating and drying process. We found that the composition of ginsenoside were totally changed. Especially non-polar ginsenosides, Rg5, Rk1, were most abundant in black ginseng and its products. So, standard for black ginseng should include both 2 ginsenosides and major compounds even found in red ginseng. Next, we checked the possibilities in functional alterations coming from the composition. But as we have found all the literatures about black ginseng, the number is too little to validate the functionality of black ginseng. Thus, additional research about pharmaceutical activity of black ginseng should be performed to add standard functionality of black ginseng. Finally, we found that some food additives could harm people who eat black ginseng as a functional foods. So, based on many regulations of other countries, we suggested the criteria of heavy metals and benzo[a]pyrene. All the suggestions about the standards were discussed with experts on industry and research, and could show the possibilities for the standardization of black ginseng as functional foods.
① 인삼류 관리제도 조사·분석 (홍삼, 흑삼에 초점)- 국내·외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식품으로서 관리되는 인삼류의 관리 제도를 조사·비교분석함으로써 '흑삼'의 기준·규격을 마련하는데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안들을 검토② 인삼류 가공방법 및 이화학적 특성 조사·분석 (홍삼, 흑삼에 초점)- 다양한 Case study를 통해 인삼에서 홍삼 또는 흑삼으로 가공...
기대효과(Effect) :
- 건강기능식품공전 내에 새로운 흑삼기준을 제안하는데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 시중 유통되는 흑삼제품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보증함으로써 국민들로 하여금 올바른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도록 할 수 있음.- 홍삼의 우수성과 알려진 정도에 비해 흑삼은 그 규제의 부족으로 높은 기능성에 비해 알려지지 않은 실정임. 본 연구를 통해 흑삼 및 흑삼제품의 가치 상승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