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품질 묵은 김치의 산업적 생산기술 개발
Develop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to Produce a Long-term Fermented Kimchi with High Quality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식품연구원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연구책임자 박완수
참여연구자 구경형 , 김영진 , 박기재 , 이명기 , 선우지영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9-04
주관부처 농림수산식품부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등록번호 TRKO201800000474
DB 구축일자 2018-11-03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00474

초록

IV. 연구개발 결과
본 연구는 묵은 김치의 산업적 생산기술개발 분야(세부 1)와 묵은 김치의 표준 품질기준 설정 및 규격(안) 제시 분야(세부 2)로 나누어 수행하였으며, 각 연구개발 수행내용에 대한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전통 묵은 김치의 제조현황 조사

묵은 김치의 전문제조업체로서 영농조합법인 신덕식품 등 11개 업체를, 묵은 김치의 전문조리업체로서 (주)상아인터내셔날 등 21개 업소를 언론매체, 인터넷 등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그중 대표적인 묵은 김치의 전문제조업체 7개 업체와 묵은 김치

Abstract

IV. Research Results

In order to develop developing industrial technology to produce a long-term fermented Kimchi with high quality,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separately 1) to develop industrial technology to produce the Kimchi type and 2) to set up a national food standard with some stan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요약문 ... 4
  • SUMMARY ... 15
  • Contents ... 20
  • 목차 ... 22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26
  •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 26
  •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 26
  • 제3절 연구개발의 범위 ... 27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28
  • 제1절 국내외 관련분야에 대한 기술개발 현황 ... 28
  • 제2절 연구결과가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에서 차지하는 위치 ... 28
  • 제3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 29
  • 제1절 연구개발의 이론적, 실험적 접근방법 ... 29
  • 1. 이론적 추진방법 ... 29
  • 2. 실험적 접근방법 ... 30
  • 가. 시판 묵은 김치 및 묵은 김치 조리식품의 현황조사 ... 30
  • 나. 묵은 김치의 장기 저장실험 ... 30
  • 다. 김치 제조공정 분석 ... 37
  • 라. 묵은 김치의 표준 품질기준 설정 및 산업적 묵은 김치의 품질규격(안) 제시 ... 38
  • 마. 일반 분석 방법 ... 39
  • 제2절 연구내용 ... 45
  • 1. 세부 1. 묵은 김치의 산업적 생산기술 개발 ... 45
  • 2. 세부 2. 묵은 김치의 표준 품질기준 설정 및 규격(안) 제시 ... 45
  • 제3절 연구결과 ... 46
  • 1. 전통 묵은 김치의 제조현황 조사 ... 46
  • 가. 묵은 김치의 연생산량 ... 47
  • 나. 묵은 김치의 제조시기 ... 47
  • 다. 원료의 특성 ... 47
  • 라. 묵은 김치의 제조 공정 ... 48
  • 마. 묵은 김치의 발효 및 저장 방법 ... 48
  • 바. 포장방법 ... 49
  • 사. 묵은 김치의 품질관리 방법 ... 49
  • 아. 묵은 김치의 주요 납품처와 유통 및 납품 방법 ... 50
  • 자. 일반 김치와 묵은 김치의 차이 ... 50
  • 2. 전통 묵은 김치의 관능적 묘사 용어 개발 및 평가 방법 설정 ... 50
  • 3. 전통 묵은 김치의 품질 현황 조사 ... 54
  • 가. 시판 및 외식용 전통 묵은 김치의 발효특성 조사 ... 54
  • 나. 시판 및 외식용 전통 묵은 김치의 품질특성 조사 ... 56
  • 4. 묵은 김치의 장기 저장중 저장 용기 및 장소별 발효특성 조사 ... 63
  • 가. 김치 전문제조업체(A업체)에서의 묵은 김치의 현장 저장실험 ... 64
  • 나. 김치 전문제조업체(B업체)에서의 묵은 김치의 현장 저장실험 ... 67
  • 다. 김치 전문제조업체(C업체)에서의 묵은 김치의 현장 저장실험 ... 69
  • 라. 묵은 김치 전문제조업체(D업체)에서의 현장 저장실험 ... 72
  • 마. 묵은 김치의 실험실적 저장실험 ... 77
  • 5. 묵은 김치의 장기 저장중 저장 용기 및 장소별 미생물균상 변화 조사 ... 78
  • 가. 김치 전문제조업체(A업체)에서의 묵은 김치의 현장 저장실험 ... 78
  • 나. 김치 전문제조업체(B업체)에서의 묵은 김치의 현장 저장실험 ... 81
  • 다. 김치 전문제조업체(C업체)에서의 묵은 김치의 현장 저장실험 ... 84
  • 라. 김치 전문제조업체(D업체)에서의 묵은 김치의 현장 저장실험 ... 86
  • 마. 묵은 김치의 실험실적 저장실험 ... 92
  • 바. 묵은 김치의 장기 저장중 젖산균 및 효모의 분리 및 동정 ... 94
  • 6. 묵은 김치의 장기 저장중 저장 용기 및 장소별 품질 분석 및 일반 영양 평가 ... 95
  • 가. 김치 전문제조업체(A업체)에서의 묵은 김치의 현장 저장실험 ... 97
  • 나. 김치 전문제조업체(B업체)에서의 묵은 김치의 현장 저장실험 ... 105
  • 다. 묵은 김치의 전문제조업체(C업체)에서의 현장 저장실험 ... 113
  • 라. 김치 전문제조업체(D업체)에서의 묵은 김치의 현장 저장실험 ... 119
  • 마. 묵은 김치의 실험실적 저장실험 ... 135
  • 7. 묵은 김치의 산업적 생산을 위한 표준제조방법 확립 ... 144
  • 가. 묵은 김치의 제조시기 ... 144
  • 나. 원료의 특성 ... 144
  • 다. 묵은 김치의 제조 공정 ... 144
  • 라. 묵은 김치의 발효 및 저장 방법 ... 145
  • 마. 포장방법 ... 145
  • 바. 묵은 김치의 품질관리 방법 ... 145
  • 사. 묵은 김치의 주요 납품처와 유통 및 납품 방법 ... 146
  • 8. 묵은 김치의 표준 품질기준 설정 및 산업적 묵은 김치의 품질규격(안) 제시 ... 146
  • 가. 묵은 김치의 한국전통식품 표준규격 추진 배경 및 현황 ... 146
  • 나. 경과 상황 ... 147
  • 다. 김치류 표준규격 내 묵은 김치에 대한 주요 개정사항(안) ... 148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149
  • 제1절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 149
  • 1. 전통 묵은 김치의 제조현황 조사 ... 149
  • 2. 전통 묵은 김치의 관능적 묘사 용어개발 및 평가 방법 설정 ... 150
  • 3. 전통 묵은 김치의 품질 현황 조사 ... 150
  • 4. 김장철 배추로 제조한 묵은 김치의 장기 저장중 저장 용기 및 장소별 발효특성 조사 ... 150
  • 5. 묵은 김치의 장기 저장중 저장 용기 및 장소별 미생물균상 변화 조사 ... 151
  • 6. 묵은 김치의 장기 저장중 저장 용기 및 장소별 품질 분석 및 일반 영양 평가 ... 151
  • 7. 고품질 묵은 김치의 산업적 생산을 위한 표준 제조방법 확립 ... 151
  • 8. 묵은 김치의 표준 품질기준 설정 및 산업적 묵은 김치의 품질규격(안) 제시 ... 152
  • 제2절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152
  • 제5장 연구개발 성과 및 성과활용계획 ... 153
  • 제1절 연구개발 성과 ... 153
  • 1. 실용화·산업화 실적(기술이전 등) ... 153
  • 2. 교육·지도·홍보 등 기술 확산 실적 ... 153
  • 3. 특허, 품종, 논문 등 지식재산권 확보 실적 ... 154
  • 4. 성과활용 계획 ... 155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 정보 ... 156
  • 제7장 참고문헌 ... 157
  • 끝페이지 ... 158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