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대응 방재를 활용한 녹색성장 촉진방안 연구
Research on integrating Disaster Risk Reduction(DRR) & Climate Chanage Adaptation(CCA) into Developmen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연세대학교
Yonsei University
연구책임자 손홍규
참여연구자 허준 , 엄석진 , 김문모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05
주관부처 소방방재청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등록번호 TRKO201800000842
DB 구축일자 2019-04-20
키워드 기후변화대응.재난위험경감.아시아각료회의.

초록

연구목적
기후변화대응, 재해위험경감와 기본 전략을 분석하고 새로운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기후변화대응 방재를 고려한 관련 기술·정책 개발 및 국제적 선제권 확보

연구내용
기후변화대응, 방재와 녹색성장의 연관성 분석을 통해 상호 연계 방안을 도출하고 해당 분야에서의 선제권 취득을 위해 AMCDRR에서의 논의 주제를 도출한다. 국가간 정보•기술 공유를 통한 아시아지역 방재기술 및 정책을 제시하고 post-AMCDRR의 연속성 제고 방안을 제시한다.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기후변화대응 방재의 요소

Abstract

Ⅱ. Purpose of the research
1. Sinc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saster risk reduction in 2005,the majority of unions around the world is devoting such efforts to alleviate damages from natural disasters by enhancing the capability of the nation.
2.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disaster risk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보고서 요약서 ... 3
  • 요약문 ... 4
  • SUMMARY ... 7
  • 목차 ... 10
  • 그림목차 ... 14
  • 표목차 ... 17
  • 제1장 서론 ... 19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9
  • 1.1.1. 연구의 배경 ... 19
  • 1.1.2. 연구의 목적 ... 20
  • 1.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21
  • 1.2.1. 연구의 내용 ... 21
  • 1.2.2. 연구의 범위 ... 22
  • 제2장 재해위험경감과 기후변화적응 ... 23
  • 2.1. 재해위험경감과 기후변화적응의 정의 ... 23
  • 2.1.1. 재해위험경감의 정의 및 특성 ... 23
  • 2.1.2. 기후변화적응의 정의 및 특성 ... 26
  • 2.2. 재해위험경감 및 기후변화적응 국제 활동 ... 31
  • 2.2.1. 재해위험경감 ... 31
  • 2.2.2. 재해위험경감의 비용·효과 예시 ... 33
  • 2.2.3. 기후변화적응 ... 33
  • 2.3. 유럽 National Platform 및 UNDAF 사례 ... 35
  • 2.3.1. 유럽 National Platform ... 35
  • 2.3.2. UNDAF [United Nations Development Assistance Framework] ... 36
  • 2.4.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의 현황 ... 38
  • 2.4.1.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의 기후변화와 자연재해 ... 38
  • 2.4.2. 기후변화와 자연재해 관련 연구 현황 ... 48
  • 제3장 재해위험경감과 기후변화적응의 통합과 연구 동향 ... 56
  • 3.1. 재해위험경감과 기후변화적응의 유사점과 차이점 ... 56
  • 3.2. 재해위험경감과 기후변화적응의 통합 필요성 ... 60
  • 3.3. 재해위험경감과 기후변화적응의 통합 적용 사례 ... 62
  • 3.3.1. 한국 ... 63
  • 3.3.2. 인도 ... 67
  • 3.3.3. 몰디브 ... 67
  • 3.3.4. 사모아 ... 67
  • 3.3.5. 남아프리카공화국 ... 68
  • 3.3.6. 영국 ... 68
  • 3.3.7. 오스트리아 ... 68
  • 3.3.8. 케냐 ... 68
  • 3.3.9. 카리브해 사례 ... 69
  • 3.3.10. 베트남 ... 69
  • 3.3.11. 기후변화적응 ... 71
  • 3.3.12. 캄보디아의 교육부문 재해위험경감 통합 사례 ... 73
  • 3.3.13. 네팔의 재해위험경감 통합 사례 ... 73
  • 3.4. 재해위험경감과 기후변화적응의 통합 방안 ... 75
  • 3.4.1. 효과적인 재해위험경감을 통한 기후변화적응 강화 ... 75
  • 3.4.2. 기후관련 위험 관리 및 감소 ... 76
  • 3.4.3. 재해위험경감, 기후변화적응 및 개발의 효과적 통합기회 ... 77
  • 3.5. 정책 활동 현황 ... 78
  • 3.5.1. 지역에서의 정책 활동 현황 ... 78
  • 3.5.2. 정부간 기구 ... 79
  • 3.5.3. 지역간 기구 ... 82
  • 3.5.4. 세부지역에서의 지역기구활동 ... 83
  • 3.5.5. 지역에서의 UN 활동 ... 84
  • 3.5.6. 지역에서의 재정지원기구 ... 85
  • 3.5.7. 지역의 다른 단체들 ... 86
  • 3.5.8. 기후변화적응과 재해위험경감에 대한 인터넷 정보 포탈 ... 87
  • 제4장 기후변화를 고려한 재해위험경감과 국가개발 전략의 연계 ... 88
  • 4.1. 개발의 의의 ... 88
  • 4.1.1. 개발의 정의 ... 88
  • 4.1.2. 국가개발과 개발 ... 93
  • 4.2. 재해 및 기후변화와 개발 ... 106
  • 4.2.1. 패러다임의 변화 ... 106
  • 4.2.2. 개발에서 재해와 기후변화를 고려해야 하는 필요성 ... 115
  • 4.2.3. 재해 및 기후변화와 개발의 관계 ... 120
  • 4.3. 기후변화적응, 재해위험경감 및 국가개발 ... 134
  • 제5장 아·태 지역의 기후변화대응 방재를 고려한 성장방안 ... 138
  • 5.1. 연구의 의의 ... 138
  • 5.1.1.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패러다임의 변화 ... 138
  • 5.1.2. 기후변화와 재해위험을 고려한 새로운 국가개발의 패러다임적 접근 : 경제적 국가개발, 환경적 개발 및 사회적 개발 ... 139
  • 5.2. 아·태 지역의 기후변화대응 방재를 고려한 성장방안 ... 141
  • 5.2.1. 정책목표로써 기후변화를 고려한 재해위험경감정책과 국가개발의 중요성 ... 141
  • 5.2.2. 국가 수준의 기후변화를 고려한 재해위험경감정책과 국가개발 연계 전략 ... 144
  • 5.2.3. 아·태지역 국제수준의 기후변화를 고려한 재해위험경감정책과 국가개발 연계 전략 ... 146
  • 5.2.4.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의 기후변화를 고려한 재해위험경감과 국가개발에 관한 인식 설문조사 ... 147
  • 5.3. 한국의 기후변화, 재해위험경감, 국가개발에 대한 정책전문가 인식 조사 ... 173
  • 5.3.1. 설문 개요 ... 173
  • 5.3.2. 설문 분석 ... 174
  • 제6장 아·태 지역의 기후변화대응 방재를 고려한 성장방안의 확산 프레임워크와 한국의 과제 ... 188
  • 6.1. 아·태지역 기후변화대응 방재를 고려한 성장방안의 확산 프레임워크 ... 188
  • 6.2. 아·태지역의 기후변화대응 방재를 고려한 성장방안 확산을 위한 정책우선순위 ... 191
  • 6.2.1. 아·태지역 기후변화대응 방재를 고려한 성장방안 확산을 위한 AHP 설문조사 ... 192
  • 6.2.2. 설문조사 분석 ... 196
  • 6.2.3. 아·태지역 선제권 확보를 위한 한국의 대응 방안 ... 208
  • 제7장 결론 및 제안 ... 218
  • 7.1. 연구의 요약 ... 218
  • 7.2. 정책 제언 ... 219
  • 7.2.1. 국내적 차원 ... 219
  • 7.2.2. 아태지역의 정책선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제언 ... 224
  • 참고문헌 ... 228
  • 부록 ... 236
  • 부록 1. 국외 정책담당자 및 전문가 인식설문조사 ... 236
  • 부록 2. AHP 국외 설문 ... 247
  • 부록 3. 국내 정책담당자 및 전문가 인식설문조사 ... 254
  • 부록 4. AHP 국내 설문 ... 263
  • 부록 5. Background Note ... 271
  • Executive Summary ... 275
  • Preface ... 278
  • 1. INTRODUCTION ... 279
  • 2. HOW DO I START INTEGRATING DRR AND CCA INTO THE POLICIES AND PLANS OF MY DEPARTMENT? ... 282
  • 3. CASE STUDIES ILLUSTRATING CURRENT PROCEDURAL ACHIEVEMENTS AND CHALLENGES IN DRR/CCA INTEGRATION ... 292
  • 3.1. The Republic of Korea: the integration of pre-disaster risk assessment into the development planning sector ... 292
  • 3.2. United Kingdom: the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a multi-level, multi-hazard risk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 ... 296
  • 3.3. The Philippines: an example of a flawed approach to DRR and CCA integration ... 297
  • 3.4. England: Flood Risk Reduction integrated into the Land Use Planning System ... 299
  • 3.5. Cambodia: Integrating DRR into the Education Sector ... 301
  • 3.6. Nepal: The Difficulties of Integration without Legislative or Financial Backing ... 302
  • References ... 304
  • 부록 6. Guidance Note -Draft Version- ... 308
  • 부록 7. 연구수행자료 ... 316
  • 끝페이지 ... 33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