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시정찰 센서네트워크 개발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Sensor Network Developmen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국방과학연구소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연구책임자 이노복
참여연구자 안미림 , 김철호 , 김훈규 , 권미영 , 김대식 , 김용현 , 강태인 , 김주엽 , 윤석우 , 김이형 , 이상훈 , 김동화 , 여명호 , 표철식 , 김내수 , 박상준 , 박현 , 한기평 , 유승목 , 박주덕 , 홍상기 , 문영백 , 함영환 , 정훈 , 박종준 , 이강우 , 지샨 , 드미트리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3-01
주관부처 방위사업청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등록번호 TRKO201800000893
DB 구축일자 2019-04-27

초록

IV. 연구개발결과
(1) 1차년도('09.12 ~ ’10.12)
ㅇ 운용개념기술서
ㅇ 체계규격서
ㅇ 체계설계서
ㅇ 핵심기술별 하드웨어 요구사항 명세서
ㅇ 핵심기술별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명세서
ㅇ 핵심기술별 1차 시제품

(2) 2차년도('10.12 ~ '11.12)
ㅇ 메시지규격서
ㅇ 핵심기술별 하드웨어 설계명세서
ㅇ 핵심기술별 소프트웨어 설계명세서
ㅇ 핵심기술별 시험계획서
ㅇ 핵심기술별 시험절차서 <

Abstract

IV. Deliverables
A. 1st year ( ‘09.12 ~’10.12)
ㅇ Operational Concept Description(OCD)
ㅇ System Subsystem Specification(SSS)
ㅇ System Subsystem Design Description(SSDD)
ㅇ Hardware Requirement Specification(HRS)
ㅇ Software Requirement Specification(SRS)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보고서 요약서 ... 5
  • 요약문 ... 6
  • SUMMARY ... 9
  • CONTENTS ... 12
  • 목차 ... 17
  • 표목차 ... 22
  • 그림목차 ... 24
  • 제1장 서론 ... 34
  • 제1-1절 연구개발의 개요 ... 34
  • 제1-2절 연구개발의 목적 ... 35
  • 1.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 35
  • 2. 세부 연구 목표 ... 35
  • 제1-3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 41
  • 1. 기술적 측면 ... 41
  • 2. 사회적/경제적 측면 ... 41
  • 3. 군사적 측면 ... 42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44
  • 제2-1절 국내외 USN 기반 감시정찰 기술개발 현황 ... 44
  • 1. SensIT(Sensor Information Technology) 프로젝트 ... 44
  • 2. A Line in the Sand 프로젝트 ... 44
  • 3. Exscal 프로젝트 ... 45
  • 4. VigilNet 프로젝트 ... 46
  • 5. Counter Sniper System 프로젝트 ... 47
  • 6. FCS(Future Combat System) 프로젝트 ... 48
  • 7. 국내 기타 감시정찰 기술현황 ... 48
  • 8. 국내외 감시정찰 시스템 제품 ... 49
  • 제2-2절 국내외 USN 핵심 기술개발 현황 ... 50
  • 1. 센서노드 및 싱크노드(게이트웨이, 중계노드) ... 50
  • 2. 내장 소프트웨어 ... 51
  • 3. 네트워크 ... 53
  • 4. 통신망 연동 게이트웨이 ... 54
  • 5. 센서 신호처리 및 융합 ... 55
  • 6. 2/3차원 지도기반 표적, 센서네트워크 도시 ... 55
  • 7. 망 제어 및 관리 ... 55
  • 가. 국내 기술 현황 ... 56
  • 나. 국외 기술 현황 ... 56
  • 8. 센서노드 전개 및 패키징 ... 57
  • 가. 국내 기술 현황 ... 57
  • 나. 국외 기술 현황 ... 57
  • 9. 태양광 에너지 충전모듈 ... 57
  • 10. 노드 아키텍처 및 프레임워크 ... 57
  • 11. 안테나 ... 58
  • 12. 네트워크 설계 및 검증 ... 59
  • 13. 위치인식 알고리즘 ... 59
  • 14. 침입감시 시스템 ... 60
  • 제2-3절 연구결과 기술 현황 ... 60
  • 1. 센서 노드 및 싱크노드(게이트웨이, 중계노드) ... 60
  • 2. 내장 소프트웨어 ... 61
  • 3. 네트워크 ... 62
  • 4. 통신망 연동 게이트웨이 ... 64
  • 5. 센서 신호처리 및 융합 ... 64
  • 6. 2/3차원 지도기반 표적, 센서네트워크 도시 ... 65
  • 7. 망 제어 및 관리 ... 65
  • 8. 센서노드 전개 및 패키징 ... 65
  • 9. 태양광 에너지 충전모듈 ... 66
  • 10. 노드 아키텍처 및 프레임워크 ... 66
  • 11. 안테나 ... 66
  • 12. 네트워크 설계 및 검증 ... 67
  • 13. 위치 인식 알고리즘 ... 67
  • 14. 침입감시 시스템 ... 68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69
  • 제3-1절 과제수행 범위 ... 69
  • 제3-2절 연구 추진 방법 ... 70
  • 1. 추진 체계 및 기관별 역할 ... 70
  • 가. 추진체계 ... 70
  • 나. 기관별 역할 ... 71
  • 다. 공동개발 분야 및 업무내용 ... 72
  • 2. 개발 수행 결과 ... 74
  • 가. 1 차년도 개발 수행 결과 ... 74
  • 나. 2차년도 개발 수행 결과 ... 76
  • 다. 3차년도 개발 수행 결과 ... 77
  • 3. 연구개발 프로세스 ... 78
  • 가. 개요 ... 78
  • 나. 연구개발 수행체계의 목적 ... 78
  • 다. 연구개발 수행체계의 적용 ... 79
  • 라. 연구개발 수행체계의 구성 ... 79
  • 제3-3절 연구 추진 경과 ... 83
  • 1. 연구 사업 추진경과 ... 83
  • 가. 연구 개발 추진 현황 ... 83
  • 나. 연구 개발비 현황 ... 84
  • 다. 참여 인력 현황 ... 85
  • 2. 위탁연구 ... 86
  • 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수행한 위탁연구 ... 86
  • 나. 현대제이콤에서 수행한 위탁연구 ... 86
  • 3. 연구 산출물 ... 87
  • 제3-4절 연구내용 및 결과 ... 87
  • 1. 시스템 개요 ... 87
  • 가. 센서 노드 ... 88
  • 나. 싱크노드(게이트웨이, 중계노드) ... 88
  • 다. 내장 소프트웨어 ... 88
  • 라. 네트워크 ... 88
  • 마. 통신망 연동 게이트웨이 ... 88
  • 바. 표적 탐지, 식별을 위한 신호처리 및 융합 ... 89
  • 사. 2/3차원 지도기반 표적, 센서네트워크 도시 ... 89
  • 아. 망 제어 및 관리 ... 89
  • 자. μ-전자파센서 신호처리 ... 89
  • 차. 센서노드 전개 및 패키징 ... 89
  • 카. 태양광 에너지 충전모듈 ... 89
  • 타. 노드 아키텍처 및 프레임워크 설계 ... 90
  • 파. 안테나 설계 및 프로토타입 제작 ... 90
  • 하. 네트워크 설계 및 검증 ... 90
  • 거. 위치인식 알고리즘 ... 90
  • 너. 침입 감시 시스템 ... 90
  • 더. 테스트베드 ... 91
  • 2. 서브시스템 설계, 제작 ... 91
  • 가. 센서노드 ... 91
  • 나. 싱크노드(게이트웨이, 중계노드) ... 113
  • 다. 내장 소프트웨어 ... 122
  • 라. 네트워크 ... 130
  • 마. 통신망 연동 게이트웨이 ... 138
  • 바. 표적 탐지, 식별을 위한 신호처리 및 융합 ... 161
  • 사. 2/3차원 지도기반 표적, 센서네트워크 도시 ... 170
  • 아. 망 제어 및 관리 ... 175
  • 자. μ-전자파센서 신호처리 ... 182
  • 차. 센서노드 전개 및 패키징 ... 192
  • 카. 태양광 에너지 충전모듈 ... 195
  • 타. 노드 아키텍처 및 프레임워크 설계 ... 199
  • 파. 안테나 설계 및 프로토타입 제작 ... 213
  • 하. 네트워크 설계 및 검증 ... 217
  • 거. 위치인식 알고리즘 ... 224
  • 너. 침입감시 시스템 ... 228
  • 더. 테스트베드 ... 239
  • 제3-5절 자체시험평가 ... 249
  • 1. 자체시험평가절차 ... 249
  • 2. 자체시험평가 방법 ... 250
  • 3. 자체시험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요약 ... 251
  • 4. 자체시험평가 시제품 대상 ... 254
  • 5. 자체시험평가 결과 ... 255
  • 가. 센서 노드 ... 256
  • 나. 싱크노드(게이트웨이, 중계노드) ... 257
  • 다. 내장 소프트웨어 ... 258
  • 라. 네트워크 ... 259
  • 마. 통신망 연동 게이트웨이 ... 261
  • 바. 표적 탐지, 식별을 위한 신호처리 및 융합 ... 262
  • 사. 2/3차원 지도기반 표적, 센서네트워크 도시 ... 263
  • 아. 망 제어 및 관리 ... 264
  • 자. μ-전자파센서 신호처리 ... 265
  • 차. 센서노드 전개 및 패키징 ... 266
  • 카. 태양광 에너지 충전모듈 ... 266
  • 타. 노드 아키텍처 및 프레임워크 설계 ... 268
  • 파. 안테나 설계 및 프로토타입 제작 ... 274
  • 하. 네트워크 설계 및 검증 ... 277
  • 거. 위치인식 알고리즘 ... 279
  • 너. 침입감시 시스템 ... 282
  • 더. 운용시험 ... 285
  • 러. 환경시험 및 전자기적합성(EMC :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시험 ... 285
  • 제3-6절 특허 및 소프트웨어 ... 286
  • 1. 특허 실적 ... 286
  • 2. 소프트웨어 실적 ... 289
  • 제4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 291
  • 제4-1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 291
  • 제4-2절 관련분야 기술발전에의 대외기여도 ... 294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296
  • 제5-1절 추가연구의 필요성 ... 296
  • 제5-2절 타연구에의 응용 ... 297
  • 1. 군수분야 ... 297
  • 2. 민수분야 ... 299
  • 제5-3절 사업화 추진방안 ... 301
  • 1. 현재 추진중인 군수분야 사업화 방안 ... 301
  • 가. 무인지상감시 센서 ... 301
  • 나. 차기 UGS 기술 개발(가칭) ... 302
  • 제6장 참고문헌 ... 303
  • 끝페이지 ... 314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