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용 동위원소의 안정공급을 위한 아시아-오세아니아지역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cooperation network for the stable supply of medical isotope in Asia-oceania regi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주)삼영유니텍
연구책임자 권석근
참여연구자 김용욱 , 정동화 , 이원경 , 유지엽 , 윤돌미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12
주관부처 교육과학기술부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MEST)
등록번호 TRKO201800001038
DB 구축일자 2019-04-27
키워드 의료용 동위원소.아시아-오세아니아 네트워크.의료용 동위원소 안정공급.아시아-오세아니아지역 의료용 동위원소 네트워크 홈페이지.방사성동위원소.Medjcal Isotopes.Asia-Oceanic Network.Stable Supply of Medical Isotopes.Asia-Oceanic Network for Stable Supply of Medical Isotopes homepage.Radioisotopes.

초록

1. 연구개발목표
국내 의료용 동위원소의 수급불안등의 비상사태 발생 시 인접지역에 의료용 동위원소의 안정 공급망(백업시스템)을 구축하여 원활한 수급 유지를 위한 아시아-오세아니아지역 의료용 동위원소의 안정공급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

2. 연구내용 및 결과
가. 아시아-오세아니아지역 의료용 동위원소 수급관리 기반 구축 및 종합전략 마련
(1) 국내외 현황자료 수집·분석
(2) 아시아-오세아니아지역 의료용 동위원소 네트워크 구축 기본계획 마련
(가) 원자력분야 다자간 국제협력네트워크 구축사례 조사

Abstract

IV. Conclusion
1. Establishment of the basis and total strategy of the Asia-Oceania Network for stable supply of Medical Isotope
- Collection and analysis on the current information in Korea and abroad
- Preparation of the plan for the Asia-oceania network for stable supply of medical isoto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보고서 요약서 ... 3
  • 요약문 ... 4
  • Summary ... 6
  • Contents ... 8
  • 목차 ... 10
  • 표목차 ... 12
  • 그림목차 ... 13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14
  •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15
  • 제2장 국내·외 연구개발 현황 ... 16
  • 제1절 국내외 의료용 동위원소 생산 및 이용현황 ... 17
  • 1. 국내현황 ... 17
  • 가. 한국원자력연구원(하나로 원자로) ... 17
  • 나. 한국원자력의학원(사이클로트론) ... 19
  • 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 첨단방사선연구소(사이클로트론) ... 19
  • 라. 한국원자력연구원 양성자기반공학 기술개발사업단 ... 19
  • 마. 한국원자력연구원 기장군 수출형 연구용 원자로(※건설 진행중) ... 20
  • 2. 해외현황 ... 21
  • 가. 중국 ... 21
  • 나. 일본 ... 23
  • 다. 호주 ... 28
  • 라. 인도네시아 ... 30
  • 마. 방글라데시 ... 31
  • 바. 베트남 ... 33
  • 사. 말레이시아 ... 35
  • 아. 필리핀 ... 36
  • 자. 카자흐스탄 ... 39
  • 차. 태국 ... 41
  • 타. 몽골 ... 44
  • 제3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 45
  • 제1절 아시아-오세아니아지역 의료용 동위원소 네트워크 구축 ... 46
  • 1. 원자력분야 다자간 국제협력 사례조사 ... 46
  • 가. 아시아원자력협력포럼(FNCA) ... 46
  • 나. 아시아·태평양원자력협력협정 지역사무국(RCA RO) ... 49
  • 다. 네트워크기본계획 및 방향수립 ... 51
  • 2. 원자력분야 국제협력 MOU체결사례 조사 ... 52
  • 가. 한·베트남 방사능의학협력 MOU ... 52
  • 나. 한·폴 원자력안전협력 MOU ... 53
  • 3. 아시아-오세아니아지역 의료용 동위원소 네트워크 구축네트워크 구축 ... 54
  • 가. 설립목적 ... 54
  • 나. 운영방향 ... 55
  • 다. 운영체계 ... 55
  • 라. 주요기능 ... 56
  • 4. 아시아오세아니아지역 의료용 동위원소 안정공급 네트워크회의 개최 ... 57
  • 가. 출장개요 ... 57
  • 나. 회의개요 ... 57
  • 다. 주요 논의내용 ... 58
  • 제2절 아시아 오세아니아지역 의료용 동위원소 네트워크 홈페이지 구축운영 ... 59
  • 1. 주요내용 ... 59
  • 2. 향후계획 ... 62
  • 제3절 국가차원의 의료용 동위원소 수급 장기 대응방안 ... 63
  •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65
  • 제1절 연구목표 및 달성도 ... 66
  • 제2절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67
  • 제5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 68
  • 제1절 추가연구의 필요성 ... 69
  • 제2절 활용계획 ... 69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70
  • 제7장 참고문헌 ... 72
  • 부록 ... 74
  • 부록 1. 아시아-오세아니아 의료용 동위원소 네트워크 회의록 ... 77
  • 부록 2.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 of Workshop of FNCA Project on Research Reactor Network ... 79
  • 부록 3. Workshop of FNCA Project on Research Reactor Network 동위원소 생산 및 수요관련 11개국 발표자료 ... 83
  • 부록 4. Molybdenum-99; Privatising Nuclear Medicine(한글번역본) ... 181
  • 끝페이지 ... 199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