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게임중독.병태생리.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조기진단.뇌생체신호.Internet and game addiction.Pathophysiology.smart health care system.early diagnosis.neurobiological markers.
초록 ▼
○ 연구개발을 성실히 수행하여 전년도 연구개발 목표를 100% 달성하였으며, 2단계 연구개발을 위한 준비 작업을 완료함. ○ 뇌의 기능적 및 구조적 변화, 주의 편향, 충동 조절 기능, 실행 기능, 정보 처리 과정의 이상 등 임...
○ 연구개발을 성실히 수행하여 전년도 연구개발 목표를 100% 달성하였으며, 2단계 연구개발을 위한 준비 작업을 완료함. ○ 뇌의 기능적 및 구조적 변화, 주의 편향, 충동 조절 기능, 실행 기능, 정보 처리 과정의 이상 등 임상 현장에서 다른 정신질환과의 감별 진단을 위한 다양한 객관적 뇌생체지표를 확립하고 머신러닝을 이용한 진단 알고리즘을 개발함. ○ 인터넷·게임 중독의 조기 선별 및 평가 시 진단에 수렴적 근거자료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급속 안구운동 패러다임 검사를 사용하여 인터넷·게임 중독에서 게임 자극 관련 인지편향 및 갈망을 규명 ○ 외래 클리닉 치료 및 자연 경과 관찰을 진행하여 치료 반응 및 예후 관련 뇌생체신호 지표를 규명하였으며, 2단계에서 진행될 치료 모듈 확립 및 효과의 객관적 검증에 적용하기 위한 기반 마련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Abstract ▼
Purpose & Contents ○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thophysiology of Internet/game addiction through neur...
Purpose & Contents ○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thophysiology of Internet/game addiction through neurophysiological studies on which a more scientific diagnostic system can be constructed . ○ The utilization of this diagnostic system may be further facilitated by combining Smart Health Care System, and this kind of health care service would be useful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ternet/game addiction.
Results ○ International journal publications based on research results ○ Acquirement of patent and intellecutal property (development of cue reactivity and attentional bias task, diagnosis system using eye tracking task paradigm) ○ Formulation of diagnosis, treatment response, and prognosis predicting marker based on neurophysiological signal
Expected Contribution ○ Application of translational research results on signal processing, big data analysis, neurophysiological marker to clinical research ○ Development of smart health care service with high accessibility and availability in daily life for diagnosis and self-monitor of internet and game addiction ○ Prevention of overuse and overdependence of smart media through self monitoring
(출처 : SUMMARY 5p)
표지 ... 1
제 출 문 ... 2
보고서 요약서 ... 3
국문 요약문 ... 4
SUMMARY ... 5
목차 ... 6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6
1. 연구개발 목적 ... 6
2. 연구개발의 필요성 ... 6
3. 연구개발 범위 ... 6
제2장.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 ... 7
제3장. 연구 수행 내용 및 성과 ... 7
1. 인터넷·게임 중독 대조군 피험자 선정 및 코호트 구축 ... 7
2. 뇌생체신호 및 안구운동과제 선정 및 개발 ... 7
3. 임상평가와 뇌생체신호 획득을 통한 인터넷·게임 중독과 물질 중독, 우울, 불안을 포함한 정신과적 증상과의 상호작용 규명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