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숭실대학교 Soongsil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김주연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7-11 |
과제시작연도 |
2016 |
주관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연구재단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
등록번호 |
TRKO201800003106 |
과제고유번호 |
1711044113 |
사업명 |
개인연구지원 |
DB 구축일자 |
2018-04-28
|
키워드 |
뉴로디자인.시선추적.뇌파측정.시각주의력.신경과학.디자인 마케팅.시지각.디자인요인.인지과정.Neuro Design.Eye-tracking.EEG(Electroenphalogram).Visual Attention.Neuroscience.Design Marketing.Visual Perception.Design factor.Cognitive Process.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03106 |
초록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본 연구는 인간이 공간에서 "어떤 방식으로 움직이고", "그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그들이 시각 정보를 통해 어떤 행동 과 선택을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공간에서 어떤 시선이 선호되는지를 정의하는 것이 목표이다. 궁극적인 목표는 공간에서 사람의 시각적 인식 및 선호도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다. 이론적 조사연구를 통하여 주의력 신경과학(Attention Neuroscience), 시각주의력 시선추적, 시지각과 뇌파 선행 연구자료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험 연구는 1)카페 공간에서 좌석 선정 시 주의집중을
연구의 목적 및 내용
본 연구는 인간이 공간에서 "어떤 방식으로 움직이고", "그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그들이 시각 정보를 통해 어떤 행동 과 선택을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공간에서 어떤 시선이 선호되는지를 정의하는 것이 목표이다. 궁극적인 목표는 공간에서 사람의 시각적 인식 및 선호도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다. 이론적 조사연구를 통하여 주의력 신경과학(Attention Neuroscience), 시각주의력 시선추적, 시지각과 뇌파 선행 연구자료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험 연구는 1)카페 공간에서 좌석 선정 시 주의집중을 알아보기 위하여 공간 구성 요소 중 사람 대상체의 유무에 따라 상황을 나누어 뇌파 반응 실험을 하고 이에 대해 분석 2) 카페공간의 배경음악이 카페공간 탐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공간의 배경음악의 장르에 따라 공간에 대한 주시 과정에서 나타난 특성에 대한 분석 3) 공간에서 마감재질의 변화에 따라 공간에서 느끼는 감성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마감재질이 다른 공간에서 각각 어떤 시선이 선호되는지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연구 방법론에 대한 탐구적인 연구이며, 시지각과 관심영역, 주의력, 집중에 관련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카페 공간에서 좌석 선정 시 주의집중에 대한 연구 결과에서 주시와 탐색 시간 범위 및 관측 특성은 구간 분포에서 시간 범위에 따른 관찰 시간의 의미에 따라 구역별 분포에서 의도가 있었을 때 주시 시간은 더 높게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체가 있을 때와 없을 때에 따라 주의집중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대상체가 있는 경우 SMR파, 중베타파, 쎄타파 순서로 활성화되고, 없는 경우는 쎄타파, SMR파, 중베타파 순으로 활성화되었다. 주의집중은 대상체가 있는 경우 좌측 전전두엽의 활성도가 더 높았고, 없는 경우는 우측이 더 높았다. 공간에서 좌석 선정 시 사람이 있는 경우 후반으로 갈수록 주의집중도가 증가했지만, 없는 경우는 중반까지 증가한 후 후반으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넷째, 자극물에 대한 주의집중도는 공통으로 초기 30초까지 감소한 후 증가하기 시작했다.
카페공간의 배경음악이 카페공간 탐색에 따른 연구 결과는 카페 공간의 재즈 음악이 실험참가자의 주시 특성을 변화시켰다. 재즈음악이 있는 카페 공간은 댄스 음악이 있는 곳과 비교했을 때, 공간의 분위기를 긴 시간동안 탐색하게 하며, 공간 탐색 시 소비자의 관심 요소를 변화시켰다. 배경음악 장르 차이에 따라서 실험 참가자의 뇌파 반응과 공간 감성평가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공간 내에 장르와 무관하게 배경음악이 있을 때 두정엽과 후두엽에서 세타파는 감소한 반면, 알파파, 주의집중도, 안정도는 증가했다. 배경음악의 장르별로는 측두엽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재즈에서는 세타파가 감소하였고, 고 베타파가 증가했다. 댄스 장르는 알파파와 빠른 알파파의 증가를 보였다. 다음으로 공간감성 평가는 전체적으로 공간감성 지수(EEQ)재즈 음악이 댄스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디자인 산업의 융합과 매칭: EEG•Eye Tracking 기술과 연구자를 통합하는 융합 연구 플랫폼 운영을 통해 첨단 융합기술력을 확보가능하다. 뉴로디자인을 위한 학제간 융합 연구 차세대 디자인 프로세스를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교육과의 연계: 뇌과학과 공간디자인 관련 융합적 프로그램 강좌 및 뇌파 및 시선추적 연구 관련 워크샵 개발하여 디자인 문화와 첨단 기술의 결합으로 시대의 흐름과 공존 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제공하고 지속적인 해외 및 국내의 워크숍 교류를 통해 창의적인 학생들의 아이디어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데이터베이스화한다.
공간 마케팅: 다양한 인간의 생리적 특성 정보와 함께 도시 공간과의 상호작용 서비스 특성에 적합한 공간을 개발하여 지역 브랜드와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출처 : 요약문 4p)
Abstract
▼
Purpose&contents
This study aims to define what gaze is preferred in space to see how humans "move in space", "what they want", and "what actions and choices they make through visual information". The ultimate goal is to extract data regarding human visual perception and preference based on space
Purpose&contents
This study aims to define what gaze is preferred in space to see how humans "move in space", "what they want", and "what actions and choices they make through visual information". The ultimate goal is to extract data regarding human visual perception and preference based on spaces. Experimental studies were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1) the attention of the cafe in the selection of seats and, 2) the influence of the background music on the space.
This research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in the process of watching the spac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pace in order. 3)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sensibility in a caf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finishing materials used in the space.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related to visual perception, attention area, and concentration are as follows. The attention, search time range, and observation characteristics shows that the observation time is higher when there is intention in th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e observation time. In the area of attention and visual concentration,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people in cafe space. When there people present in the stimulus cafe image, the subject's EEG is activated in the order of the SMR, middle beta, and theta wave, when there are no people, the order is the theta, the SMR and the middle be wave. Attention is focused on the activation of the left prefrontal cortex when people are present, and on the right side when people are not present in the cafe space. The use of jazz music in the cafe space allows the atmosphere of the space to be explored for a long time compared with the use of dance music.
Different generes of background music lead to differences in EEG response and space affective sensibility evaluation. When there is background music in the cafe, regardless of the genre, theta waves decreased in the parietal and occipital lobes, while alpha waves, attention and stability increas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re of the background music were found only in the temporal lobe the use of jazz dance music resulted in an increase in alpha waves and fast alpha waves. To summarize, visual images in the cafe space changed participants’ visual attention. More specifically, the jazz music and presence of people in the cafe led consumers to feel the atmosphere of the space for a long time, and changed consumers’interest in space element. in the regard, further research including a satistical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ubjective appraisal. Based on our findings, space designers are encouraged to plan spaces based on a deeper understanding of human response through the neuroscience database.
Expected Contribution
Convergence and matching of the design Industry: EEG and Eye-tracking technology researchers can be integrated into a convergence research platform to secure advanced technology. Interdisciplinary research for neuro-design will enable the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design processes.
Connecting to education contents: Through exchanges of workshops, students will be able to create a database of ideas and opinions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Spatial Neuro Marketing: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urban space, as well as the various huma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neuro space marketing could be developed.
(출처 : SUMMARY 5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목차 ... 2
- 연구계획 요약문 ... 3
- 연구결과 요약문 ... 4
- 한글요약문 ... 4
- SUMMARY ... 5
- 연구내용 및 결과 ... 6
-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6
- 2.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 8
- 3.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18
- 4.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 20
- 5. 주관연구책임자 대표적 연구실적 ... 21
- 6. 참고문헌 ... 21
- 7. 연구 성과 ... 23
- 8.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 25
- 9. 기타사항 ... 25
- 별첨1 대 표 연 구 성 과 ... 26
- 별첨2 세부 목표 관련 증빙 ... 33
- 끝페이지 ... 111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