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갈등 해소를 위한 국민통합 전략과 실행방안 연구
A Study on National Cohesion Strategies for Social Conflict Resoluti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행정연구원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연구책임자 은재호
참여연구자 송정안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7-12
과제시작연도 2017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등록번호 TRKO201800022573
과제고유번호 1105012651
사업명 한국행정연구원
DB 구축일자 2018-06-23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22573

초록

6. 결론 : 국민통합 정책레짐 및 실행 전략 설계
□ 새 정부의 국민통합 정책레짐 구성을 위한 제언
○ 이 연구에서 국민통합이란 사회적 포용과 응집을 기초로 하는 사회통합 개념에 정책적 지향성(intentionality)과 갈등관리를 덧붙여 일국적 차원에서 사회적 관계(social quality)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일련의 노력과 과정을 의미

- 또한 갈등 지수는 높으나 갈등관리 역량은 하위권에 속하는 한국 사회의 특수성을 고려하는 통합 정책이 필요

- 사회적 포용과 응집, 갈등의 사회적 차원

Abstract

The previous governments have launched a presidential advisory committee to promote national integration. The Park administration, for example, has tried to reinforce legal infrastructure and policy framework to enhance social integration in Korea. However, all those efforts remain still insufficien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간사 ... 3
  • 목차 ... 4
  • 표목차 ... 7
  • 그림목차 ... 11
  • 국문요약 ... 14
  • 영문요약 ... 37
  • 제1장 서 론 ... 4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42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절차 ... 44
  • 제2장 사회갈등과 국민통합의 개념 ... 53
  • 제1절 사회갈등의 개념과 해법 ... 54
  • 1. 갈등의 정의 ... 54
  • 2. 갈등의 유형과 사회갈등의 정의 ... 60
  • 제2절 사회통합의 개념과 해법 ... 65
  • 1. 사회적 배제(social exclusion)와 포용(inclusion) ... 66
  • 2.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과 응집(cohesion) ... 72
  • 제3절 국민통합의 개념과 갈등관리 ... 79
  • 1. 국민통합의 개념 ... 79
  • 2. 한국 정부의 정책역량과 갈등관리 역량 ... 82
  • 3. 한국 사회의 국민통합 모형 ... 88
  • 제3장 국민통합 및 사회갈등 현황진단 ... 91
  • 제1절 국민통합 수준진단 ... 92
  • 1. 국민통합 국제비교 ... 92
  • 2. 한국 국민통합 현황 ... 106
  • 3. 분석 결과 요약 및 정책적 함의 ... 139
  • 제2절 사회갈등 수준진단 ... 143
  • 1. 조사 개요 ... 143
  • 2. 조사 결과 ... 146
  • 3. 전체 논의 및 정책적 함의 ... 161
  • 제4장 국민통합 및 사회갈등 미래 예측 ... 163
  • 제1절 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미래 예측 ... 164
  • 1. 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특성 ... 164
  • 2. 4차 산업혁명의 미래예측 ... 168
  • 제2절 4차 산업혁명의 적응도 국별 현황 ... 172
  • 1. 분석 지표 ... 172
  • 2. OECD 회원국 국제비교 ... 176
  • 제3절 4차 산업혁명과 국민통합・사회갈등 ... 183
  • 1. 측정변수, 측정자료, 분석모형 ... 183
  • 2. 4차 산업혁명 적응도와 국민통합 ... 186
  • 3. 4차 산업혁명 적응도와 사회갈등 ... 196
  • 4. 종합분석 ... 204
  • 제5장 국민통합 정책레짐 및 실행전략 ... 209
  • 제1절 델파이 분석 ... 210
  • 1. 자료 수집 ... 211
  • 2. 조사 목적 ... 211
  • 3. 조사 개요 ... 211
  • 제2절 조사단계 및 내용 ... 213
  • 1. 조사 단계 ... 213
  • 2. 조사 내용 ... 213
  • 제3절 조사 결과 ... 218
  • 1. 국민통합 정책 유형별 우선순위 ... 218
  • 2. 포용적 통합정책 세부 정책별 중요도 및 추진 시급성 ... 219
  • 3. 응집적 통합 정책 세부 정책별 중요도 및 추진 시급성 ... 222
  • 4. 포용적 갈등관리 방법 필요성 우선순위 ... 224
  • 5. 응집적 갈등관리 방법 필요성 우선순위 ... 227
  • 6. 국민통합 정책 추진체계 우선순위 ... 229
  • 제6장 결 론 ... 233
  • 제1절 국민통합 정책 레짐을 위한 제언 ... 234
  • 1. 국민통합 정책의 네 차원 ... 234
  • 2. 국민통합 정책 방향 ... 236
  • 제2절 국민통합정책 추진체계를 위한 제언 ... 242
  • 참고문헌 ... 247
  • 국내문헌 ... 248
  • 국외문헌 ... 252
  • 부록 ... 259
  • 부록1. 국민통합 정책레짐에 관한 전문가 델파이 ... 260
  • 부록2. (가칭)「대한민국100년·국민통합위원회」설립 및 운영방안 ... 298
  • 끝페이지 ... 311

표/그림 (142)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